$\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기온변화와 기온변동성에 대한 통계적 연구
A Statistical Analysis on Temperature Change and Climate Variabilit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18 no.1, 2011년, pp.1 - 12  

김현철 (군산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최승경 (숙명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윤보라 (군산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우리는기온의변화와기온변동성을알아보기위해한국의다섯지점에서측정한월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에 대한 50년간의 장기시계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온은 196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월평균기온을 기준으로 울산은 연평균 $1.26^{\circ}C$, 서울은 $1.19^{\circ}C$ 상승하였으나 추풍령은 $0.13^{\circ}C$ 상승하여 지점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또 계절별로 다른 현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온변동성에 대한 분석결과, 변동성의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observed temperature data for 50 years on 5 representative points in Korea to verify global warming and the increase in climate variability. We found that there was some level of global warming but we could not disregard the effects of urbanization. In addition, we could not find an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온이 상승하는 것은 도시화나 전쟁, 대규모 산불이나 화산의 폭발과 같은 자연 재해 등의 결과로 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한국에서도 기온변동성의 증가현상이 장기적인 추세로 나타나고 있는가?하는 점이다. 이 의문은 온난화현상에 대한 의문보다 더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여러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지점의 기온데이터를 검토하여 한국의 온난화 여부를 평가한 후 여기에 비추어 기온변동성이 장기적으로 증가해왔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들은 과연 ‘온난화와 기온변동성 증가가 관련이 있다’는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가설이 관측 데이터의 장기 시계열 자료에 의해서 지지받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기온증가를 경험했는지를 스위스의 두 지역에 대한 장기 기온 시계열 자료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 기온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50년 동안의 기온자료를 순차도표로 그려보는 것은 관측값의 수가 너무 많아 뚜렸한 패턴이 없을 때는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를 월별로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를 고안하였다. 각 지역별로 월별 평균기온을 10년 단위로 다시 평균하여 60년대의 평균과 2000년대의 평균을 표시하는 방법인데, 평균값을 직접 나타내지 않고 전기간(50년간)의 각 지역별 월별 평균기온으로부터 편차를 계산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 우리는 이상과 같은 방법들을 통하여 1960 ∼ 2009년동안 5개지역의 기온이 과연 변하였다고 말 할 수 있는지와 기온변동성도 함께 변하였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기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연구대상기간인 1960 ∼ 2009년의 평균기온을 기준기온으로 정하였다. 원래 평년기온이라 하여 최근 30년의 평균기온을 사용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이 장기 시계열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으므로 전체기간 동안의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60년대와 2000년대의 양 끝 10년간의 기온이 기준기온과 비교하여 어떤 값을 갖는지를 분석하여 기온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한다.
  • 앞에서 우리는 기온의 상승현상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 이러한 온난화현상이 변동성의 증가와 함께 나타났는지 확인해보자. 먼저 그림 5에는 계절별로 일최고기온의 월평균값과 월단위의 표준편차를 산점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온난화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온난화현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우리가 사용한 방법은 다섯개지역 각각과 다섯개지역 전체에 대한 평균기온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다. 기온의 변화가 있다면 10년씩 매월의 평균기온에 차이가 있을 것이고 이는 그래프를 통해 확인 될 수 있을 것이다.
2009년 4월 21일 기상청이 발표한 '최근 봄철 기온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보도자료에서 무엇을 지적했나? 2009년 4월 21일 기상청은 「최근 봄철 기온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이 자료는 당시의 봄 기온 변화분석을 통해 전국 일평균기온이 15.5°C의 차이를 보이는 등 봄철 기온 변화가 컸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런 현상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봄철 기온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나타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 중 인위적인 온실가스와 황산분무가 함께 지구의 평균온도을 얼마나 상승시켰나? 누구나 알기 쉽게 다양한 사진과 도표를 통해 온난화를 지적하고 원인과 대책을 다루는 Gore (2006)의 저서 「불편한 진실」과 같은 내용의 영화, 그리고 각종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대중도 사실로 인식하고 있다. IPCC (2001)는 20세기 중 인위적인 온실가스와 황산분무가 함께 지구의 평균온도를 0.5 ± 0.2°C 상승시켰다고 했다. 이 연구가 아니어도 많은 연구들이 지구온난화를 지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djeck, M. C., Allison, E. H., Halls, A. S. and Dulvy, N. K. (2010). Impacts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on fishery-based livlihoods, Marine Policy, 34, 375?383. 

  2. Beniston, M. and Goyette, S. (2007). Changes in variability and persistence of climate in Switzerland: Exploring 20th century observations and 21st century simulations, Global and Planetary Change, 57, 1-15. 

  3. Boer, G. J., Flato, G. and Ramsden, D. (2000). A transient climate change simulation with green house gas and aerosol forcing: Projected climate to the twenty-first century, Climate Dynamics, 16, 427-450. 

  4. Elagib, N. A. and Abdu, A. S. A. (1997). Climate variability and aridity in Bahran, Journal of Arid Environment, 36, 405-419. 

  5. Gore, A. (2006). , 김명남역, 좋은생각,서울. 

  6. Gregory, J. M. and Mitchell, J. F. B. (1995). Simulation of daily variability of surfac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Europe in the current and $2{\times}CO_2$ climates using the UKMO climate model, Quarterly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121, 1451-1476. 

  7.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Katz, R.W. and Brown, B. G. (1992). Extreme events in a changing climate: Vari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averages, Climate Change, 21, 289?302. 

  9. Mearns, L. O., Giorgi, F., McDaniel, L. and Schields, C. (1995). Analysis of variability and diurnal range of daily temperature in a nested regional climate model: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and doubled $CO_2$ results, Climate Dynamics, 11, 193-209. 

  10. Mearns, L. O., Schneider, S. H., Thompson, S. L. and McDaniel, L. R. (1990). Analysis of climate variability in general circulation models: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in variability in $2{\times}CO_2$ experim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5, 20469-20490. 

  11. Southworth, J., Randolph, J. C., Habeck, M., Doering, O. C., Pfeifer, R. A., Rao, D. G. and Johnston, J. J. (2000). Consequences of future climate change and changing climate variability on maize tields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82, 139-158. 

  12. SPSS (1999). SPSS Trends 10.0, SP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