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실내공기오염물질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농도 분석
Analysis of Indoor Air Pollutants from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with Different Environment in Ulsan, Korea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7 no.1, 2011년, pp.97 - 116  

이치현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이병규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양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의학교실) ,  이지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의학교실) ,  오인보 (울산대학교 환경보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indoor air pollutants from elementary school with different environment. Air sampling and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from classrooms and hallways from three target elementary schools in the fall and winter seasons. The winter average concentrations of $PM_{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울산지역 초등학교의 실내공기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계절(가을과 겨울)과 지역(A: 주거 및 교통밀집지역, B: 산업 및 교통배출 오염물 풍하지역, C: 조선업종 인근 주거지역)과 같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내공기오염의 특성을 비교하여 초등학교의 실내공기질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여과지 포집에 의한 PM10 측정기가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PM10 측정기의 높은 소음으로 인한 수업방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였다.
  •  현재 초등학교의 실내공기질은 ‘학교보건법’에 의해서 규제를 받고 있지만, 학생들의 여러가지 실내활동과 건물의 신축이나 리모델링 등의 환경적 조건에 의해서 기준농도를 초과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을철과 겨울철 초등학교 교실의 환기정도에 따른 실내공기질을 비교하고, 저학년과 고학년의 실내활동 차이와 학교가 위치한 지역적 특성에 따른 실내공기질의 비교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초등학교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에 대기오염 발생원이 있거나 실내 거주자 수가 늘어날 때 실내환경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실내 거주자들의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량도 쉽게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 1973; Anderson, 1972). 최근의 고층빌딩이나 많은 실내시설들에서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약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보온을 위해 외기와 연결된 대부분의 환기장치나 창문 또는 출입문 등을 닫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여름철에는 지구온난화 등에 의해 상승한 고온의 외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환기 없이 에어컨 등의 냉방장치를 가동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그래서 추운 겨울철이나 더운 여름철에 에너지 절약과 추위나 더위에 쉽게 이기기 위하여 실내를 밀폐시키고 냉방 및 난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환기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NAS, 1993). 그 결과 실내에 대기오염 발생원이 있거나 실내 거주자 수가 늘어날 경우 실내환경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실내 거주자들의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량도 쉽게 증가할 수가 있다.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실내공기오염물질은 가전제품의 사용, 조리나 난방 시 연료의 사용, 세제와 화장품 사용과 같은 실내활동에 의해서 발생하고, 건물의 건축 시 사용되는 건축자재, 페인트, 접착제 등의 건물표면 자체에서도 발생한다(Lee and Cho, 2002; Samfield, 1992; Sterling, 1985).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 물질에는 포름알데하이드나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알데하이드류 및 아세톤이나 MEK (Methyl ethyl ketone)와 같은 케톤류가 있고(Marchand et al., 2006), 벤젠이나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이 있다(Kostiainen, 1995). 또한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라돈, 석면 등과 같은 것도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물질이다(NRC, 1987; Shair and Heitner, 1974; Sabersky et al., 1973; Thompson et al.
실내공기오염물질의 발생원은 무엇인가? 그로인해 사람들이 실내공기질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많은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실내공기오염물질은 가전제품의 사용, 조리나 난방 시 연료의 사용, 세제와 화장품 사용과 같은 실내활동에 의해서 발생하고, 건물의 건축 시 사용되는 건축자재, 페인트, 접착제 등의 건물표면 자체에서도 발생한다(Lee and Cho, 2002; Samfield, 1992; Sterling, 1985).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 물질에는 포름알데하이드나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알데하이드류 및 아세톤이나 MEK (Methyl ethyl ketone)와 같은 케톤류가 있고(Marchan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윤신(2000) 한국의 실내공기질 현황과 문제점,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제25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3-18. 

  2. 정영숙, 이정렬(2000) 학교보건, 현문사, pp. 23-28. 

  3. Anderson, I. (1972) Relationships between outdoor and indoor air pollution, Atmos. Environ., 6, 275-279. 

  4. Bartlett, K.H., S.M. Kennedy, M. Brauer, B. Dill, and C. van Netten (1999) Predictors of exposure to indoor $CO_2$ and bioaerosol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door Air, 1, 252-257. 

  5. Celebi, U.B. and N. Vardar (2008) Investigation of VOC emissions from indoor and outdoor painting processes in shipyards, Atmos. Environ., 42(22), 5685-5695. 

  6. Clarisse, B., A.M. Laurent, N. Seta, Y. Le Moullec, A. El Hasnaoui, and I. Momasd (2003) Indoor aldehyde: measurement of contamination levels and identification of their determinants in Paris dwellings, Environ. Res., 92, 245-253. 

  7. Hansen, E.B. and J. Thernoe (2005) Oxides of nitrogen in welding, cutting and oxy-acetylene heating processes; A review of emission rates, exposure levels and control measures, International conference health and safety in welding and applied processes, http://www0.force.dk/hswap/web-dat a/PDF/Procedings. pdf, 131-146. 

  8. IARC (2000)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s,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9. Kim, S.W. and C.H. Nam (1997)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lating to environ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3(3), 7-26. 

  10. Kostiainen, R. (1995)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indoor air of normal and sick houses, Atmos. Environ., 29, 693-702. 

  11. Lagercrantz, L., M. Wistrand, U. Willen, P. Wargocki, T. Witterseh, and J. Sundell (2000) Negative impact of air pollution on productivity: previous Danish findings repeated in new Swedish test room, Proceedings of Healthy Buildings, 1, 653-658. 

  12. Lee, B.K., A. Kim, T.T.T. Duong, and H. Kim (2006) A study of analysis and reduction of particulate concentration in the classroom of an elementary school, Proceedings of BUEE 2006;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98-103. 

  13. Lee, B.K. and J.B. Cho (2002) Risk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rough daily life cycle in the industrial city in Korea, Water Air Soil Pollut.: Focus 2, 155-171. 

  14. Malherbe, L. and C. Mandin (2007) VOC emissions during outdoor ship painting and health-risk assessment, Atmos. Environ., 41(30), 6322-6330. 

  15. Marchand, C., B. Bulliot, S. Le Calve, and Ph. Mirabel (2006) Aldehyde measurements in indoor environments in Strasbourg(France), Atmos. Environ., 40(7), 1336-1345. 

  16. Mendell, M.J., W.J. Fisk, M.R. Petersen, C.J. Hines, M. Dong, D. Faulkner, J.A. Deddens, A.M. Ruder, D. Sullivan, and M.F. Boeniger (2002) Indoor particles and symptoms among office workers: results from a double-blind cross-over study, Epidemiology, 13(3), 296-304. 

  17. Myhrvold, A.N., E. Olsen, and O. Lauridsen (1996) Indoor environment in schools-pupils health and performance in regard to $CO_2$ concentrations, Indoor Air, 4, 369-374. 

  18.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1993) Human exposure assessment for airborne pollutants, Washington D.C. 

  1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7) Policies and procedures for control of indoor air qualit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 Sabersky, R.H., D.A. Sinema, and F.H. Shair (1973) Concentrations, decay rates and removal of ozone and their relation to establishing clean indoor air, Environ. Sci. Technol., 7(4), 347-353. 

  21. Samfield, M.M. (1992) Indoor air quality data base for organic compounds, EPA-600/13. 

  22. Shair, F.H. and K.L. Heitner (1974) Theoretical model for relating indoor pollutant concentrations to those outside, Environ. Sci. Technol., 8, 444. 

  23. Sterling, D.A. (1985)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ir: An overview of sources, concentrations, and health effects, Indoor Air and Human Healths, 387. 

  24. Thompson, D., T.D. Brown, and J.M. Beer (1973) Formation of NO in a methane-air flame, Original research article Symposium (International) on Combustion, 14(1), 787-799. 

  25. Wargocki, P., D.P. Wyon, and P.O. Fanger (2004) The performance and subjective responses of call-center operators with new and used supply air filters at two outdoor air supply rates, Indoor Air, 14, 7-16. 

  26. Wargocki, P., D.P. Wyon, J. Sundell, G. Clausen, and P.O. Fanger (2000) The effects of outdoor air supply rate in an office on perceived air quality, sick building syndrome (SBS) symptoms and productivity, Indoor Air, 10(4), 222-236. 

  27. Wargocki, P., D.P. Wyon, Y.K. Baik, G. Clausen, and P.O. Fanger (1999) Perceived air quality, sick building syndrome (SBS) symptoms and productivity in an office with two different pollution loads, Indoor Air, 9(3), 165-179. 

  28. Yoo, J.H., E.H. Kang, Y.H. Son, S.Y. Ha, and J.M. Choi (2006) A Study on the Field Evaluation about the Indoor Air Quality of Schools Newly Built in Changwon,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5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