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AQ-pollen 모델을 이용한 참나무 꽃가루 확산 고해상도 수치모의 및 검증
A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and Evaluation of Oak Pollen Dispersion Using the CMAQ-pollen Model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3 no.1, 2017년, pp.31 - 44  

오인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환경보건센터) ,  김규랑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방진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환경보건센터) ,  임윤규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  조창범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오재원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양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  황미경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variability of the oak pollen concentra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simulated by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based pollen dispersion model, which is the CMAQ-pollen model integrated with the improved oak polle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모의할 수 있는 수정된 배출량 모델과 CMAQ 모델을 제시하고, 수도권 지역 봄철 사례기간 참나무 꽃가루 확산에 대한 해상도 높은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대상영역 내 모니터링된 실측 꽃가루 농도와의 비교를 통해 모델링 결과를 검증하고 향후 참나무 꽃가루 수치예보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한 대표적인 바이오에어로졸인 참나무 꽃가루를 수치모의 할 수 있는 배출량 모델(PEM-oak)과 수정된 CMAQ 모델(CMAQpollen)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들을 이용하여 봄철 약한 달간(2014년 4월 9일∼5월 11일)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측정값과의 검증을 통해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종이자 알레르기성 (allergenicity)이 높은 참나무 꽃가루를 (Oh,2007; Lee et al., 2006) 모의할 수 있는 수정된 배출량 모델과 CMAQ 모델을 제시하고, 수도권 지역 봄철 사례기간 참나무 꽃가루 확산에 대한 해상도 높은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대상영역 내 모니터링된 실측 꽃가루 농도와의 비교를 통해 모델링 결과를 검증하고 향후 참나무 꽃가루 수치예보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대상일 선정은 지점별 꽃가루 집중비산기간(참나무 꽃가루 누적농도의 10~90%에 해당되는 기간) 중강수가 없는 날, 임의의 특정 풍계가 20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6일로 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꽃가루농도 측정값이 참나무 산림지역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므로 수송효과와 관련한 바람변화에 따른 꽃가루 농도변화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선정된 6일(P1: 4월 15, 19일; P2: 4월 19일; P3: 4월 19, 20, 29일)의 시간별 평균농도를 이용하여 최적의 fitting curve를 가우시안 분포를 가정하여 식 7을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조건은 꽃가루농도 측정값이 참나무 산림지역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므로 수송효과와 관련한 바람변화에 따른 꽃가루 농도변화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선정된 6일(P1: 4월 15, 19일; P2: 4월 19일; P3: 4월 19, 20, 29일)의 시간별 평균농도를 이용하여 최적의 fitting curve를 가우시안 분포를 가정하여 식 7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가루는 무엇으로 잘 알려져있는가? 꽃가루는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공기 중 항원(aeroallergens)으로 잘 알려져 있다(Sofiev et al.,2013).
꽃가루 수치모델링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꽃가루 수치모델링은 크게 꽃가루 배출량 추정과 대기로 배출된 꽃가루의 확산이류 과정을 포함한다. 배출량 추정과정은 신뢰성 있는 꽃가루 농도 예측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식생(발생원)의 분포, 꽃가루 생성량과 생물학적 계절변화, 주요 기상인자들과의 관계식 등을 통해 추정 가능하다.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 예보가 한계가 존재하는 이유는? , 2008), 이를 기반으로 기상청에서는 참나무, 소나무, 잡초류를 대상으로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 예보를 시행 중에 있다(KMA, 2016). 하지만 통계모델의 지역적 제한성과 농도값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고 해상도 높은 정량적 예측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sher, M.I., S. Montefort, B. BjorLSTen, C.K. Lai, D.P. Strachan, S.K. Weiland, H. Williams, and the ISAAC Phase Three Study Group (2006) Worldwide tim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eczema in childhood:ISAAC phases one and three repeat multicountry cross-sectional surveys, Lancet, 368, 733-743. 

  2. Begges, P.J. (2004)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eroallergens: past and future, Clinical & Experimental Allergy, 34, 1507-1513. 

  3. Binkowski, F.S. and Shankar, U. (1995) The regional particulate matter model: 1. Model description and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00(D12), 26191-26209. 

  4. Burkard (2001) 7-day recording volumetric spore trap. (http://www.burkard.co.uk/7dayst.htm accessed November 2016) 

  5. Cabezudo, B., M. Recio, J.M. SanchezLaulhe, M.D. Trigo, F.J. Toro, and F. Polvorinos (1997) Atmospheric transportation of marihuana pollen from North Africa to the southwest of Europe. Atmospheric Environment, 31, 3323-3328. 

  6. Campbell, I.D., K. McDonald, M.D. Flannigan, and J. Kringayark (1999) Long-distance transport of pollen into the Arctic, Nature, 399, 29-30. 

  7. Corden, J. and W. Millington (1999) A study of Quercus pollen in the Derby area, UK, Aerobiologia, 15(1), 29-37. 

  8. D'amato, G., L. Cecchi, S. Bonini, C. Nunes, I. Annesi Maesano, H. Behrendt, G. Liccardi, T. Popov, and P. Van Cauwenberge (2007) Allergenic pollen and pollen allergy in Europe, Allergy, 62(9), 976-990. 

  9. Duhl, T.R., R. Zhang, A. Guenther, S.H. Chung, M.T. Salam, J.M. House, and E. Salathe (2013) The Simulator of the Timing and Magnitude of Pollen Season (STaMPS) model: a pollen production model for regional emission and transport modeling,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Discussions, 6(2), 2325-2368. 

  10. Efstathiou, C., S. Isukapalli, and P. Georgopoulos (2011) A mechanistic modeling system for estimating largescale emissions and transport of pollen and coallergens, Atmospheric Environment, 45, 2260-2276. 

  11. Emberlin, J., S. Jones, J. Bailey, E. Caulton, J. Corden, S. Dubbels, J. Evans, N. Mcdonagh, W. Millington, J. Mullin, R. Russel, and T. Spencer (1994) Variation in the start of the grass pollen season at selected sites in the United Kingdom 1987-1992, Grana, 33(2), 94-99. 

  12.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https://egis.me.go.kr/[accessed November 2016]. 

  13. Healthcare Bigdata Hub (2014) http://opendata.hira.or.kr/ [accessed November 2016]. 

  14. Helbig, N., B. Vogel, H. Vogel, and F. Fiedler (2004) Numerical modelling of pollen dispersion on the regional scale, Aerobiologia, 3, 3-19. 

  15. Jato, V., F.J. Rodriguez-Rajo, and M.J. Aira (2007) Use of Quercus ilex subsp. ballota phenological and pollen-production data for interpreting Quercus pollen curves, Aerobiologia, 23(2), 91-105. 

  16. Kapyla, M. (1984) Diurnal variation of tree pollen in the air in Finland, Grana, 23(3), 167-176. 

  1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2016) http://www.kma.go.kr/ [accessed November. 2016]. 

  18. Kim, M.K. and S.W. Oh (1999) Change of causative inhalant allergens in respiratory allergic patients in Chungbuk district,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19(5), 696-7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C.-S., W.-K. Lee, J.-H. Yoon, and C.-C. Song (2006)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6), 663-6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im, Y.-K., K.R. Kim, C. Cho, M. Kim, H. Choi, M.J. Han, I. Oh, and B. Kim (2015) Development of a oak pollen emission and transport modeling framework in South Korea, Atmosphere, 25(2), 221-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ullins, J. and Emberlin, J. (1997) Sampling pollens, Journal of Aerosol Science, 28(3), 365-370. 

  22.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5) Development of applied biometeorology model (III):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affected to high airborn oak pollen concentration and improvement of forecasting mode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4) Advanced Research on Applied Meteorology (II) Advanced Research on Bio-Meteorology: improvement for pollen dispersion modeling system using WRFCMAQ.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3) Development of applied biometeorology model (I)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y for pollen forecast system.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Norris-Hill, J. (1995) The modelling of daily Poaceae pollen concentrations, Grana, 34(3), 182-188. 

  26. Oh, I., Y. Kim, K.-R. Choi, and J.H. Lee (2013) Relationship between Pollen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6), 780-7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 I., Y. Kim, K.R. Choi, M. Suzuki, and J. Lee (2012) Pollen simulations in a coastal urban area of Ulsan, Korea: Preliminary results using WRF-CMAQ model, Proceeding of the 13th International Palynological Congress and 9th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Palaeobotany Conference, Tokyo, Japan, Paper No SS28-O05. 118. 

  28. Oh, J.-W. (2009) Development of Pollen Concentration Prediction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2(6), 579-5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Oh, J.-W., I.J. Kang, S.W. Kim, M.H. Kook, B.S. Kim, J.T. Cheong, and H.B. Lee (2009a)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ollen and Outbreak of Pollinosis in Childhood,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19(1), 4-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Oh, J.-W. (2007) Characteristics of allergic pollen and the pollen amount was recently changed in Korea, Korean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7(1),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Oh, Y.-C. H.-A Kim, I.-J. Kang, J.-T. Cheong, S.-W. Kim, M.-H. Kook, B.-S. Kim, H.-B. Lee, and J.-W. Oh (2009b)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len count and the outbreak of allergic diseases,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19(4) 354-3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Park, K.-J., H.-A. Kim, K.R. Kim, J.-W. Oh, S.-Y. Lee, and Y.-J. Choi (2008)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llen Concentration i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67-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Raynor, G.S., E.C. Ogden, and J.V. Hayes (1970) Dispersion and deposition of ragweed pollen from experimental sourc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9(6), 885-895. 

  34. Saito, H., M. Ohkubo, and J. Kunitomo (2006) Pollen production of a Quercus phillyraeoides stand in Shodoshima Island, Kagawa [in Japanese], Japanese Journal of Palynology, 52(1), 47-52. 

  35. Schueler, S. and K.H. Schlunzen (2006) Modeling of oak pollen dispersal on the landscape level with a mesoscale atmospheric model, Environmental Modeling & Assessment, 11, 179-194. 

  36. Siljamo, P., M. Sofiev, E. Filatova, L. Grewling, S. Jager, E. Khoreva, and J. Kukkonen (2013) A numerical model of birch pollen emission and dispersion in the atmosphere. Model evalu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7(1), 125-136. 

  37. Singer, B.D., L.H. Ziska, D.A. Frenz, D.E. Gebhard, and J.G. Straka (2005) Research note: Increasing Amb a 1 content in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pollen as a function of rising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Functional Plant Biology, 32(7), 667-670. 

  38. Sofiev, M., P. Siljamo, H. Ranta, and A. Rantio-Lehtimaki (2006) Towards numerical forecasting of longrange air transport of birch polle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 feasibilit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0, 392-402. 

  39. Sofiev, M. and K-C. Bergmann (2013) Allergenic pollen: A review of the production, release, distribution and health impacts. Edited by L. Cecchi, 1st Ed., Springer Netherlands. 1-7. 

  40. Sofiev, M., P. Siljamo, H. Ranta, T. Linkosalo, S. Jaeger, A. Rasmussen, A. Rantio-Lehtimaki, E. Severova, and J. Kukkonen (2013) A numerical model of birch pollen emission and dispersion in the atmosphere. Description of the emission modul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7, 45-58. 

  41. Vogel, H., A. Pauling, and B. Vogel (2008) Numerical simulation of birch pollen dispersion with an operational weather forecast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2, 805-814. 

  42. Zhang, R., T. Duhl, M.T. Salam, J.M. House, R.C. Flagan, E.L. Avol, F.D. Gilliland, A. Guenther, S.H. Chung, B.K. Lamb, and T.M. VanReken (2013) Development of a regional-scale pollen emission and transport modeling framework for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lergic airway disease, Biogeosciences Discuss, 10, 3977-4023. 

  43. Zink, K., A. Pauling, M.W. Rotach, H. Vogel, P. Kaufmann, and B. Clot (2013) EMPOL 1.0: a new parameterization of pollen emission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6(6), 1961-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