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존 접촉농도가 양돈슬러리 2차 처리수의 고도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zone Concentration on AOP Efficiency of Secondary Effluent from Pig Slurry Pur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7 no.3, 2011년, pp.181 - 188  

정광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전승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류승현 ,  김재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곽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안희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정만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유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돈분뇨 슬러리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하여 오존과 과산화수소 등을 적용한 시험결과를 요약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일한 시료에 동일한 처리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주입한 오존 농도에 따라 처리수의 색도변화가 육안적으로 쉽게 확인할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2. BOD와 COD 그리고 색도는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8.4 g/hr 오존 주입 수준에서의 제거효과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SS는 오존 적용농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질소와 인도 오존처리 효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돈분뇨 슬러리 2차 처리수에 오존을 적용할 경우 색도 등 오염성 물질 제거효과와 더불어 생물학적 안정성 확보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4. 돈분뇨 슬러리 3차 처리수에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할 경우 2차 오염에 의한 잔존세균의 감소효과 및 암모니아 발산감소로 인해 돈분뇨 2차 및 3차 처리수의 중수도 개념으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n increasing livestock population, animal manure produc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This trend has forced farmers to spend more money for animal manure treatment in their farm. Therefore, research utilizing animal manure as a renewable resourc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은 축산현장의 이런 기대에 부응하는 측면에서, 정화처리시설을 갖춘 개별 양돈농가에 적용할 수 있는 오존 이용 고도처리 조건과 정화처리 방류수 고도처리 효율증대 방안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퇴․액비 이용과정의 문제점은? 이로 인해 거의 모든 양돈 슬러리는 지금까지 퇴비화와 액비화에 의해 처리되어 왔으며 정책적,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퇴· 액비화에 의한 양돈슬러리 처리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서 농장주들이 정화처리 방법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기존의 퇴․액비 이용과정에서 문제요인이 되는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가축분뇨 퇴․액비 수급 불균형 등과 같은 난제로부터 자유스럽고, 사계절 안정적인 가축분뇨처리가 가능할 수 있는 정화처리 기술에 대한 기대가 높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양돈분뇨 슬러리의 정화가 쉽지 않은 이유는? 농장단위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전량 육상에서 처리하여야하는 현실에 직면한 농장주들은 안정적인 가축분뇨 처리방법에 대해 고심하고 있으며, 이 연장선상에서 양축규모가 2,000~3,000두를 넘어서는 농장주들의 정화처리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서서 많이 높아지고 있다. 양돈분뇨 슬러리는 수분함량이 통상적으로 92~98% 정도에 이르며 총 질소 함량과 총 인 그리고 BOD 등이 일반 산업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색도를 함유하는 특성으로 인해 정화처리가 쉽지 않은 편이다. 이로 인해 거의 모든 양돈 슬러리는 지금까지 퇴비화와 액비화에 의해 처리되어 왔으며 정책적,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퇴· 액비화에 의한 양돈슬러리 처리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양돈 슬러리는 지금까지 퇴비화와 액비화에 의해 처리된 이유는? 농장단위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전량 육상에서 처리하여야하는 현실에 직면한 농장주들은 안정적인 가축분뇨 처리방법에 대해 고심하고 있으며, 이 연장선상에서 양축규모가 2,000~3,000두를 넘어서는 농장주들의 정화처리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서서 많이 높아지고 있다. 양돈분뇨 슬러리는 수분함량이 통상적으로 92~98% 정도에 이르며 총 질소 함량과 총 인 그리고 BOD 등이 일반 산업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색도를 함유하는 특성으로 인해 정화처리가 쉽지 않은 편이다. 이로 인해 거의 모든 양돈 슬러리는 지금까지 퇴비화와 액비화에 의해 처리되어 왔으며 정책적,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퇴· 액비화에 의한 양돈슬러리 처리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윤희. 이철희, 이순화. 2007. Ozone과 UV를 이용한 Cryptosporidium의 불활성화 효과. 대한환경공학회지. 29(1):31-39. 

  2. 박노석, 김정현, 김성은, 김부길. 2004. 혼화가 오존 물질 전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6(10):1172-1176. 

  3. 신원대, 정유진, 성낙창. 2005. 전기장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페놀의 오존산화. 대한환경공학회지. 27(12):1292-1297. 

  4. 이병호, 김성혁. 2005. 고농도 오존을 적용한 DOF와 $PO_2$ 시스템의 축산폐수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27(11):1162-1167. 

  5. 정광화, 김재환, 곽정훈, 정만순, 이광희. 2009. 미세기포화 오존과 자외선, 초음파,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돈분뇨슬러리 고도처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5(3):209-216. 

  6. AOAC. 2007.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INTERNATIONAL. 

  7. APHA.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8. Beltran, F. J., Gonzalez, M., Rivas, F. J. and Martin. M. 1994. Oxidation of mecoprop in water with ozone and ozone combined with hydrogen peroxide, Ind. Eng. Chem. Res., 33, 125. 

  9. Ledakowiez, S. and Gonera. M. 1999. Optimization of oxidants dose for combined chemical biological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Water Res., 33, 2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