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ISM과 상세 지형정보에 근거한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Using PRI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3 no.1, 2011년, pp.35 - 40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윤진일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남한에서는 270m 해상도의 강수분포도가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북한지역에는 강수관측점의 수가 남한에 비하여 매우 적어서 남한과 같은 방법으로 강수분포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자료가 불충분한 북한지방의 강수추정을 위해 우선 낮은 해상도의 강수기후도를 PRISM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격자 내 지형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여기에 상대적으로 자료가 풍부한 남한의 '지형-강수 관계'에 근거한 보정값을 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남한 지역 270m 해상도의 DEM에서 자동기상관측소와 표준기상관측소 위치의 격자값을 추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AWS+KMA 및 KMA에 해당하는 가상지형을 만든 다음, 둘 간의 편차를 얻었다. 강수량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하여 둘 간의 편차를 얻어 경사향별로 고도편차-강수편차 간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북한 지역의 270m 해상도의 DEM과 27개 기상대 고도 값으로 IDW한 가상지형 간의 편차를 구한 다음, 남한에서 얻은 회귀식을 적용하여 보정값을 계산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해 2,430m 해상도로 PRISM모형을 구동하고 보정값을 적용하여 최종강수량을 얻었다. 제작된 강수기후도에 따르면 북한지방의 연간 총 강수량은 지역평균이 1,196mm이며 표준편차는 298mm인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high-definition precipitation maps with a 270 m spatial resolution are available for South Korea,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geospatial availability of precipitation water for the famine - plagued North Korea. The restricted data access and sparse observations prohibit application of th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다 정밀한 북한지방의 강수기후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자료가 풍부한 남한의 지형-강수관계를 도출한 후 이를 북한 지방에 적용하는 방법이 제시된바 있으나(Yun, 2000),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간 강수추정 방식의 통일을 위하여 남한에서 이용되고 있는 방식인 PRISM모형을 이용하되 우선 낮은 해상도로 강수분포도를 제작하고, 지형-강수관계로 도출된 보정 값을 이에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통해 낮은 관측밀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경우 강수관측을 위한 표준기상대는 몇 개인가? go.kr), 북한의 경우 알려진 강수관측소가 표준기상대 27개에 불과하므로 270m 해상도로 제작되고 있는 남한의 산악강수추정 기법을 북한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그 신뢰도는 남한에 비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강수 추정 시 최근 10여 년간 가장 널리 이용된 방법은 무엇인가? , 1992; Seino, 1993; Nalder and Wein, 1998). 최근 10여 년간 가장 널리 이용된 방법은 지형통계-공간내삽 하이브리드 기법으로서 수치고도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과 산악의 여러 요소에 따라 지점마다 가중회귀계수를 달리 추정하도록 하는 산악강수모형을 결합한 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이다(Daly et al., 1994; Johnson et al.
세계통신망 자료의 기상요소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들 관측지점의 해발고도는 선봉의 3m로부터 삼지연의 1,368m까지 폭넓게 분포 되어 있으며, 지리적 위치는 위도-경도로 표현된다. 기상요소로는 해면기압, 평균/최고/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평균습도, 평균풍속, 운량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1973년부터 2009년까지 36년간의 강수량 자료를 발췌하여 월별 평년 값을 계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ng, U., K. Yun, K. S. Cho, J. H. Yi, and J. I. Yun, 2009:The PRISM-based rainfall mapping at an enhanced gridcell resolution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72-78. (In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aly, C., R. P. Neilson, and D. L. Phillips,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33, 140-158. 

  3. Johnson, G. L., P. A. Pasteries, G. H. Taylor, and C. Daly,1999: Spatial climate products ? a new dimension for climate applications. Preprints, 11th Conference on AppliedClimatology, Dallas, Texa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107-113. 

  4. Nalder, I. A., and R.W. Wein, 1998: Spatial interpolation ofclimatic normals: test of a new method in the Canadianboreal forest.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2,211-225. 

  5. Phillips, D. L., J. Dolph, and D. Marks, 1992: A comparison ofgeostatistical procedures for spatial analysis of precipitationin mountainous terrai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58, 119-141. 

  6. Seino, H., 1993: An estimation of distribution of meteorologicalelements using GIS and AMeDAS data. Journal ofAgricultural Meteorology(Japan) 48, 379-383. 

  7. Shin, S. C., M. G. Kim, M. S. Suh, D. K. Rha, D. H. Jang,C. S. Kim, W. S. Lee, and Y. H. Kim, 2008: Estimationof high resolution gridded precipitation using GIS andPRISM. Atmosphere 18, 71-81. (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 

  8. Thiessen, A. H., 1991: Precipitation averages for large areas.Monthly Weather Review 39, 1082-1084. 

  9. Yun, J. I., 2000: Estimation of climatological precipitationof North Korea by using a spatial interpolation scheme.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2, 16-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Yun, J. I., 2010: Agroclimatic maps augmented by a GIStechnolog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Meteorology 12, 6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ttp://www.kma.go.kr/(20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