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사회적-도덕적 동기 및 도덕적 의사결정의 신경학적 기제에 대한 개관 연구
The review of neural basis for prosocial moral motivation and moral decision-making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4 no.4, 2011년, pp.555 - 570  

정주연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한상훈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덕적으로 옳다고 여겨지는 행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친사회적-도덕적 행위에 대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도덕적 행위의 동기 부여에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 장치(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를 사용한 인지 신경 과학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실제 보상 및 동기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알려진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 VS)의 활성화를 발견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원래 VS는 보상 반응의 핵심적 영역으로 물질적 보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보상이 주어졌을 때, 친사회적 감정을 강하게 경험할 때에도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도덕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회적 상황에서 친사회적 도덕감을 경험할 때 보상에 민감한 영역인 VS가 활성화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리뷰 연구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상황에서 감정의 동기 부여 역할 및 관련 신경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 VS를 중심으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 구조를 개관함으로써 친사회적, 도덕적으로 동기 부여가 되는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 및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o morally right behavior that we cognitively know, prosocial moral motivation is necessary. Previous studies revealed emotion is important for prosocial moral motivation. This was supported by cognitive neuroscience studies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in which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Adam 등(2008)의 연구에서 비개인적 딜레마와 개인적 딜레마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비개인적 딜레마는 어떤 수단을 이용하여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시키는 상황을 비개인적 딜레마로 설정하고, 자신이 직접 한 사람을 희생시키는 상황을 개인적 딜레마로 설정한 과제를 함께 구성하였다. Adam 등(2008)의 비개인적 딜레마 과제는 신체접촉 여부에 따른 차이로만 설명될 가능성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비개인적 딜레마를 사용함으로써 개인적 딜레마와 비개인적 딜레마 간 일반적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각 회기에 사용된 딜레마 판단 과제는 서로 다른 것으로 각기 한 번씩만 제시되었다.
  • 아직도 친사회적 도덕감을 경험하는 것이 왜 그 자체만으로 보상적 효과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러나 본 리뷰 연구에서는 친사회적 도덕감을 경험할 때일반적으로 보상 및 동기와 관련하여 VS영역이 활성 화를 보이는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두 가지 가능한 해석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대에 대한 깊은 공감적 경험을 하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친사회적 도덕감은 상대와의 친밀감을 높이고, 감정적으로 하나 됨을 경험 하게 함으로써 보상적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 따라서 본 리뷰 연구에서는 정신적 보상으로서 친사회적 감정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동기적 역할과 이를 담당하는 VS의 기능 및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영역들의 역할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 및 개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적 의사결정 시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동기 부여가 되는 상황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고, 관련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논의하면서 특정 상황에서 도덕적 동기화가 되는 이유에 대해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그 동안 도덕적 딜레마 과제를 사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 되어 왔으나, 강조되는 맥락의 차이에 따라 도덕적 딜레마 과제를 수행할때 이에 관여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사회에서 정해진 규범, 사람들 간 암묵적으로 정해진 규칙 에서 벗어나지 않고,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으면서 서로 도와가며 원만한 생활을 하는 것을 친사회적이라고 하는 이상 ‘친사회적’ 이란 틀을 형성한 사회적 규범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도덕적 갈등 상황이 벌어졌을 때 사람들은 더욱 친사회적인 도덕감을 느끼고, 동기화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 도덕적 판단에 있어 슬픔, 연민 등의 공감적 감정을 많이 유발 시키는 공감에 호소하는 맥락과 사회적으로 부여된 도덕적 규범에 대한 고려가 강조되는 사회적 규범을 중시 하는 맥락 중 어떤 경우에 사람들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더욱 더 친사회적 도덕감을 느끼고, 동기화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도덕적 딜레마 과제를 사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 되어 왔으나, 강조되는 맥락의 차이에 따라 도덕적 딜레마 과제를 수행할때 이에 관여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 , 2001)을 하는 전두극피질(frontopolar cortex, FPC)이 서로 잘 기능해야 학습을 통한 도덕성 습득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또한 vmPFC가 손상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상반된 실험 결과를 예로 들며 감정과 이성이 서로 독립 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님을 설명하였다. 실제 복내측 전전두피질이 손상된 환자들은 감정 유발이 강하게 일어나는 개인적 딜레마 과제를 수행할 때에도 피부전도반응이 정상인의 비개인적 딜레마 과제 수행 시와 차이가 없었으며, 다섯 명을 살리기 위해 한 명을 희생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반응도 증가 하였다(Koenigs et al.
  • 다음 장에서는 감정 중에서도 친사회적 도덕감의 종류를 배려 기반 감정과정의 기반 감정 두 가지로 나누어 관련 신경 기제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도덕적 의사 결정 및 도덕적 행위에 친사회적 감정이 도덕적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 및 신경학적 처리 과정을 VS영역을 중심으로 살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도덕적 의사결정 시 이성적 사고 및 감정 처리에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가 어떻게 VS영역과 연결되어 친사회적,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지,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
  • 먼저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의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살펴볼 것이다. 초기 도덕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연구한 학자들은 이성을 강조 했었다(Kohlberg, 1969, 1984; Piaget, 1932).
  • 본 논문은 친사회적 도덕감과 도덕적 판단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들을 개관하는 리뷰 논문으로 작성되었지만, 경험적 증거에 대한 추가적인 소개를 통해 도덕적 의사결정 시 VS가 활성화 되는 이유 및 관련 상황에 대한 더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리뷰 연구에서는 친사회적, 도덕적 행위에 대한 동기화를 이끄는 도덕적 감정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러한 감정이 어떻게 도덕적 행위에 대한 동기 부여의 역할을 하게 되는지 도덕적 의사결정 시 일어나는 신경 활성 메커니즘을 통해 살펴보았다. 친사회적, 도덕적 동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정 중 친사회적 도덕감은 크게 배려 기반 감정과 정의 기반 감정으로 나누어진다.
  • 따라서 본 리뷰 연구에서는 정신적 보상으로서 친사회적 감정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동기적 역할과 이를 담당하는 VS의 기능 및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영역들의 역할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 및 개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적 의사결정 시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동기 부여가 되는 상황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고, 관련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논의하면서 특정 상황에서 도덕적 동기화가 되는 이유에 대해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후 통첩 게임은 어떤 상황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동일하게 vmPFC가 손상된 환자에게 최후 통첩 게임을 시켰을 때에는 보통 불공평한 감정을 느낄 때 발생되는 비이성적 판단 반응이 나타났다 (Koenigs & Tranel, 2007). 최후 통첩 게임은 두 참가자중 한 명이 받은 돈을 원하는 대로 다른 참가자에게 분배할 수 있는데, 이 때 돈을 분배 받은 참가자가 분배 금액에 동의할 경우에는 두 참가자 모두 분배된 돈을 받을 수 있지만, 거절할 경우에는 양쪽 모두 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vmPFC 손상 환자는 돈을 받겠다고 허락만 한다면 적은 금액이지만 분배된 돈이 자신의 것이 됨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돈을 조금만 분배한 경우에는 그 돈을 받는 것을 거절하고 돈을 적게 분배한 대상을 처벌하려고 하는 반응을 보였다.
배려 기반의 감정의 특성은 무엇인가? 친사회적 도덕감으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감정은 배려 기반의 감정이다. 배려 기반의 감정은 공감과 이타주의 같은 사회적 감정의 개입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와 다양한 사회 상황적 요구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특성이 있다(Moll et al., 2002, 2007).
이중 과정 이론은 무엇을 시초로 처음으로 고려되기 시작했나? 이중 과정 이론은 감정과 이성은 서로 분리되어 도덕적 의사결정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판단 시 감정과 이성은 서로 경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고 말한다. 이 이론은 Greene 등(2001)의 연구를 시초로 처음 고려되기 시작했다. Greene 등(2001)은 참가자들이 비개인적 딜레마(impersonal dilemma)와 개인적 딜레마(personal dilemma) 과제를 읽고, 각 상황에서 다섯 명을 살리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거나(비개인적 딜레마), 대신 한 명을 죽이는 것(개인적 딜레마)이 적절한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을 할 때의 뇌 활성 영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