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성적 자극과 감성적 자극에 따른 인지처리 기능 및 재인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fMRI 분석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Cognitive Process and Brain Activation Study on the Rational/Emotional Advertising Appeals: Emphasis on fMRI Experiments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27 no.1, 2016년, pp.61 - 99  

최도영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  이건창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이성적 정보와 감성적 정보에 대해 어떠한 정보 유형이 광고소구의 관점에서 더 효과적인가를 반응시간재인 측면에서 검증함과 동시에, 정보의 유형별로 뇌 기능 상의 관계를 fMRI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정보유형별 인지처리 상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첫 번째 실험은 두 종류의 자극 유형에 해당하는 광고카피 - 이성에 소구하는 자극과 감성에 소구하는 자극 - 에 대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피실험자가 결정하게 하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으며, 자극의 제시로부터 소구 형태를 판단하기까지 소요되는 반응시간의 측정을 통해 각 자극 유형별 효과를 측정하고, 이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분석하여 인지처리 상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두번째 실험은 자극 유형별로 재인효과를 측정하고, 이 때 활성화되는 뇌 기능 영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재인 시의 인지처리 상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연구를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시간의 측면에서 감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이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빠르게 이루어 졌고, 재인 측면에서는 이성적 자극에 대한 기억의 효과가 감성적 자극에 대한 기억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fMRI를 이용한 뇌 기능상의 특징을 보면 이성적 자극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뇌 영역들은 행동 조정 혹은 작업 기억과 연계된 곳이었다. 반면, 감성적 자극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뇌 영역은 언어처리와 연계된 곳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성적 자극과 감성적 자극의 소구 효과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소구 형태별로 뇌 기능상의 인지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participants' response time and recognition in the decision-making situation would vary according to either rational or emotional stimuli and analyzed how brain functions are related to each type of stimuli by means of fMRI. We tried to address the difference of cogn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적 자극은 무엇과 연계되는가? 둘째, fMRI를 이용한 뇌 기능상의 특징을 보면 이성적 자극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뇌 영역들은 행동 조정 혹은 작업 기억과 연계된 곳이었다. 반면, 감성적 자극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뇌 영역은 언어처리와 연계된 곳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성적 자극과 감성적 자극의 소구 효과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소구 형태별로 뇌 기능상의 인지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지처리 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인간이 외부로부터 얻는 다양한 자극과 정보를 저장, 인출, 활용하는 인지처리 과정은 의사결정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며, 다양한 인지적 요인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ung, Gore, & Goldman-Rakic, 2002; Schacter, Guerin, & Jacques, 2011). 또한, 의사결정을 위한 인지처리과정에 있어서 이성적 정보와 감성적 정보에 대한 처리과정 및 이들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인지처리 과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정보처리이론을 고려하면, 이러한 외부 자극들에 대해 의사결정을 위한 인지적 내부처리 과정은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유형별 인지처리 상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 실험 두 가지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이성적 정보와 감성적 정보에 대해 어떠한 정보 유형이 광고소구의 관점에서 더 효과적인가를 반응시간과 재인 측면에서 검증함과 동시에, 정보의 유형별로 뇌 기능 상의 관계를 fMRI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정보유형별 인지처리 상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첫 번째 실험은 두 종류의 자극 유형에 해당하는 광고카피 - 이성에 소구하는 자극과 감성에 소구하는 자극 - 에 대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피실험자가 결정하게 하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으며, 자극의 제시로부터 소구 형태를 판단하기까지 소요되는 반응시간의 측정을 통해 각 자극 유형별 효과를 측정하고, 이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분석하여 인지처리 상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두번째 실험은 자극 유형별로 재인효과를 측정하고, 이 때 활성화되는 뇌 기능 영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재인 시의 인지처리 상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연구를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cheson, D. J., & Hagoort, P. (2013). Stimulating the brain's language network: syntactic ambituity resolution after TMS to the inferior frontal gyrus and middle temporal gyru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5(10), 1664-1677. 

  2. Ambler, T., Ioannides, A., & Rose, S. (2000). Brands on the brain: Neuro-images of advertising. Business Strategy Review, 11, 17-30. 

  3. Bennett, C. M., Wolford, G. L., & Miller, M. B. (2009). The principled control of false positives in neuroimaging.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4(4), 417-422. 

  4. Cavada, C., Company, T., Tejedor, J., Cruz Rizzo, R. J., & Reinoso Suarez, F. (2000). The anatomical connections of the macaque monkey orbitofrontal cortex: a review. Cerebral Cortex, 10(3), 220-242. 

  5. Chandy, R. K., Tellis, G. J., MacInnis, D. J., & Thaivanich, P. (2001). What to say when: advertising execution in evolving marke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8, 399-414. 

  6. Chatterjee, P., Hoffman, D. L., & Novak, T. P. (2003). Modeling the clickstream: implications for web-based advertising efforts. Marketing Science, 22(4), 520-541. 

  7. Cook, I. A., Warren, C., Pajot, S. K., Schairer, D., & Leuchter, A. F. (2011). Regional brain activation with advertising images. Journal of Neuroscience, Psychology, and Economics, 4(3), 147-160. 

  8. Courtney, S. M., Petit, L., Maisog, J. M., Ungerleider, L. G., & Haxby, J. V. (1998). An area specialized for spatial working memory in human frontal cortex. Science, 279, 1347-1351. 

  9. Cutini, S., Scatturin, P., Menon, E., Bisiacchi, P.S., Gamberini, L., Zorzi, M., & Dell'Acqua, R. (2008). Selective activation of the superior frontal gyrus in task-switching: an event-related fNIRS study. Neuroimage, 42(2), 945-955. 

  10. DeBono, & Snyder. (1989). Understanding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role of form and function in product evalu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 416-424. 

  11. de Fockert, J.W., Rees, G., Frith, C.D., & Lavie, N. (2001). The role of working memory in visual selective attention. Science, 291(2), 1803-1806. 

  12. Dennis, A. R., George, J. F., Jessup, L. M., Nunamker, Jr., J. F., & Vogel, D. R. (1988). Information technology to support electronic meetings. MIS Quarterly, 12, 591-624. 

  13. Desimone, R., & Duncan, J. (1995). Neural mechanisms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8, 193-222. 

  14. Fazio, R. H., Lenn, T. M., & Efferein, E. A. (1984). Spontaneous attitude formation. Social Cognition, 2, 217-234. 

  15. Feldman, J. M., & Lynch, Jr., J. G. (1985). Self-generated validity and other effects of measurement o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3(3), 421-435. 

  16. Garnder, M. P. (1985). Mood states o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81-300. 

  17. Goldberg, I. I., Harel, M., & Malach, R. (2006). When the brain losses its self: prefrontal inactivation during sensorimotor processing. Neuron, 50(2), 329-339. 

  18. Golden, L., & Johnson, K. A. (1983). The impact of sensory preferences and thinking vs feeling appeal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Bagozzi, R. P. and Tybout, A. M. (Ed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Ann Arbor, MI, 203-208. 

  19. Holbrook, M. B., & O'Shaughnessy, J. (1984). The role of emotion in advertising. Psychology and Marketing, 1(2), 45-64. 

  20. Johar, J. S., & Sirgy, M. J. (1991). Value-expressive versus utilitarian advertising appeals: when and why to use which appeal. Journal of Advertising, 20(3), 23-33. 

  21. Johnson-Laird, P. N. (1988). The Computer and the Mind: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Science.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22. Johnson, M. K., Raye, C. L., Mitchell, K. J., Greene, E. J., & Anderson, A. W. (2003). fMRI evidence for an organization of prefrontal cortex by both type of process and type of information. Cereb Cortex, 13, 265-273. 

  23. Katz, W. (1983). Point of view: a critique of split-brain theor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3(2), 63-66. 

  24. Kenning, P., Plassmann, H., & Ahlert, D. (2007). Applications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market research. Qualitative Market Research, 10, 135-152. 

  25. Klein, I., Paradis, A., Poline, J., Kosslyn, S. M., & Bihan, D. L. (2000). Transient activity in the human calcarine cortex during visual-mental image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2, 15-23. 

  26. Kringelbach, M. L. (2005). The human orbitofrontal cortex: linking reward to hedonic experienc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6, 691-702. 

  27. Kringelbach, M. L., & Rolls, E. T. (2004).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the human orbitofrontal cortex: evidence from neuroimaging and neuropsychology. Neurobiology, 72(5), 341-372. 

  28. Leung, H. C., Gore, J. C., & Goldman-Rakic, P. S. (2002). Sustained mnemonic response in the human middle frontal gyrus during on-line storage of spatial memoranda. Journal of Cognitive Nueroscience, 14, 659-671. 

  29. Liu, S. S., & Stout, P. A. (1987). Effects of message modality and appeal on advertising acceptance. Psychology and Marketing, 4(3), 167-187. 

  30. Matthias, H. T., Borad, J. C., Tang, C. Y., Lange, G., Wei, T. C., Jonson, R., Nusbaum, A. O., & Buchsbaum, M. S. (2001). Differential amygdala activation during emotional decision and recognition memory tasks using unpleasant words: an fMRI study. Neuropsychologia, 39, 556-573. 

  31. Mostafa, M. M. (2012). Brain processing of vocal sounds in advertising: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y.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9, 12144-12122. 

  32. Mostafa, M. M. (2013). The persistence of memory: an fMRI investigation of the brain processing of surrealistic imagery i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19(5), 341-359. 

  33. Ohme, R., Reykowska, D., Wiener, D., & Choromanska, A. (2009). Analysis of neurophysiological reactions to advertising stimuli by means of EEG and galvanic skin response measures. Journal of Neuroscience, Psychology, and Economics, 2, 21-31. 

  34. Pavlou, P. A., & Stewart, D. W. (2000). Measuring the effects and effectiveness of interactive advertising: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1), 62-78. 

  35. Plassmann, H., Ambler, T., Braeutigam, S., & Kenning, P. (2007). What can advertisers learn from neuro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6, 151-175. 

  36. Postle, B. R., Stern, C. E., Rosen, B. R., & Corkin, S. (2000). An fMRI investigation of cortical contributions to spatial and nonspatial visual working memory. Neuroimage, 11, 409-423. 

  37. Puto, C. P., & Wells, W. D. (1984). In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al advertis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im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6, 638-643. 

  38. Raij, T. (1999). Patterns of brain activity during visual imagery of letter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1(3), 282-299. 

  39. Ray, M. L., & Barta, R. (1983). Emotion and persuasion in advertising: What we do and don't know about affec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534-548. 

  40. Rodgers, S. & Thorson, E. (2000). The interactive advertising model: how users perceive and process online ad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1), 42-61. 

  41. Rogers, P. R., Miller, A., & Judge, W. Q. (1999). Using information-processing theory to understand planning/performance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strateg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0, 567-577. 

  42. Rogers, R. D., & Monsell, S. (1995). Costs of a predictable switch between simple cognitive task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4(2), 207-231. 

  43. Rolls, E. T. (2004). The functions of the orbitofrontal cortex. Brain and Cognition, 55(1), 11-29. 

  44. Roselli, F., Skelly, J. J., & Mackie, D. M. (1995). Processing rational and emotional message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mediation of persu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1(2), 163-190. 

  45. Rowe, J. B., Toni, I., Josephs, O., Frackowiak, R. S., & Passingham, R. E. (2000). The prefrontal cortex: response selection or maintenance within working memory?. Science, 288, 1656-1660. 

  46. Schacter, D. L., Guerin, S. A., & Jacques, P. L. (2011). Memory distortion: and adaptive perspective.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5, 467-474. 

  47. Shavitt, S. (1990). The role of attitude objects in attitude fun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6, 124-148. 

  48. Smith, M. E., & Gevins, A. (2004). Attention and brain activity while watching television: components of viewers engagement. Media Psychology, 6, 285-305. 

  49. Stewart, D. W., Pavlou, P. A., & Ward, S. (2002). Media influences on marketing communications. In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Jennings Bryant and Dolf Zillman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53-396. 

  50. Visser, M., Jefferies, E., Embleton, K. V., & Ralph, M. A. L. (2012). Both the middle temporal gyrus and the ventral anterior temporal area are crucial for multimodal semantic processing: distortion-corrected fMRI evidence for a double gradient of information convergence in the temporal lobe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4(8), 1766-1778. 

  51. Weinstein, S. A., Appel, V., & Weinstein, C. (1980). Brain-activity responses to magazine and television advertising.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0, 57-63. 

  52. Weinstein, W., Drozdenko, R., & Weinstein, C. (1984). Brain wave analysis in advertising research: Validation from basic research and independent replications. Psychology & Marketing, 1, 83-95. 

  53. Wells, W., Burnett, J., & Moriarty, S. (1998). Advertising: Principles and Practice, (3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