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산염 및 황산염 집적 염류 토양의 전기역학적 개량
Electrokinetic Restoration of Saline Soil Accumulated with Nitrate and Sulfat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6 no.5, 2011년, pp.18 - 23  

조정민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성웅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도형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양중석 (KIST 강릉분원) ,  백기태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okinetic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salts were investigated using nitrate and sulfate accumulated saline greenhouse soil. Within 8 days, 95% of nitrate was removed from the soil, while sulfate removal was 19% for 8 days. The low removal of sulfate came from adsorption reaction on the s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특성으로 전기동력학적 기술을 염류 직접 토양 처리에 적용할 경우 질산성 질소는 수 시간 내에 대부분 제거되나, 황산염은 토양에 계속 잔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질산염과 황산염이 동시에 집적된 실제 비닐하우스 염류집적 토양을 활용하여 전기동력학적 기술을 적용할 때 각 염류의 이동 특성을 평가하고자 진행하였다. 특히 처리기간에 따라 토양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동특성을 평가하여 전기동력학적 공정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류집적 농경지의 경우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과다 섭취, 관개용수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환원 등의 방법의 한계점과 위험성은 무엇인가? 염류집적 농경지의 경우 직접적인 정화기술을 적용하기 보다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과다 섭취, 관개용수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환원 등의 방법이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다(김대수 외, 2006).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부분적인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으며, 산화-환원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질산성 질소로 산화되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전기동력학적 정화기술은 이온성 오염물질을 토양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다(박성우 외,2008; 조정민 외, 2009; 박근용 외, 2010).
토양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된것은 무엇인가? 삶에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토양 및 지하수 환경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폐광산의 중금속 오염, 산업단지의 토양 오염, 이전 미군기지의 오염 문제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토양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농경지의 염류집적은 이러한 일반적인 중금속이나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은 아니지만 새로운 형태의 토양오염 또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토양의 질 하락을 유발하고 있다.
농경지의 염류집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더욱이 폐광산의 중금속 오염, 산업단지의 토양 오염, 이전 미군기지의 오염 문제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토양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농경지의 염류집적은 이러한 일반적인 중금속이나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은 아니지만 새로운 형태의 토양오염 또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토양의 질 하락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계절에 상관없이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비닐하우스 농업을 통해 재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대수, 양재의, 옥용식, 유경열, 2006, 시설재배지 유공관 암거 배수에 의한 염류집적 경감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2), 65-72. 

  2. 농촌진흥청, 2004, 농업환경 변동조사사업보고서, 농촌진흥청. 

  3. 박근용, 김도형, 백기태, 2010, Cu, Pb, As 복합 중금속오염 토양의 전기동력학적 정화에서 전해질의 영향 평가, 지하수토양환경, 15(5), 1-7. 

  4. 박성우, 조정민, 류병곤, 김경조, 백기태, 양중석, 2008, Zn와 Ni로 오염된 토양의 산을 이용한 전처리 및 산순환 동전기 정화의 타당성 연구, 지하수토양환경, 13(6) 17-22. 

  5. 서영호, 조병욱, 문윤기, 최준근, 강안석, 정병찬, 정영상, 2010, 시설재배지에서 황산칼리 관리가 염류집적 및 원예작물에 미치는 영향, 농업과학연구, 26(1), 44-48. 

  6. 정병간, 최정원, 윤을수, 윤정희, 김유학, 정구복, 1998, 우리나라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 화학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1), 9-15. 

  7. 조정민, 류병곤, 박성우, 김경조, 백기태, 2009, 동전기 정화기술을 이용한 Zn, Ni, F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지하수토양환경, 14(1), 36-43. 

  8. Cho, J.-M., Kim, D.-H., Yang, J.-S., and Baek, K., 2011, Electrokinetic Restoration of Sulfate-Accumulated Saline Greenhouse Soil, CLEAN-Soil Air Water. (in press). 

  9. Cho, J.-M., Kim, K.-J., Chung, K.-Y., Hyun, S.-W., and Baek, K., 2009, Restoration of Saline Soil in Cultivated Land Using Electrokinetic Process, Sep. Sci. Technol., 44, 2371-2384. 

  10. Cho, J.-M., Park, S.-Y., and Baek, K., 2010, Electrokinetic Restoration of Saline Agricultural Lands, J. Appl. Electrochem., 40, 1085-1093. 

  11. Kim, D.-H., Cho, J.M., and Baek, K., 2011. Pilot-scale ex situ electrokinetic restoration of saline greenhouse soil, J. Soil Sed. (in press). 

  12. Kim, K.-J., Cho, J.-M., Baek, K., Yang, J.-S., and Ko, S.-H., 2010, Electrokinetic removal of chloride and sodium from tidelands, J. Appl. Electrochem., 40, 1139-1144. 

  13. Lee, Y.-J., Choi, J.H., Lee, H.G., Ha, T.H., and Bae, J.H., 2011, Pilot-scale study on in situ electrokinetic removal of nitrate from greenhouse soil, Sep. Purif. Technol., 79(2), 254-263. 

  14. Ha, T.H., Choi, J.H., Maruthamuthu, S., Lee, H.G., and Bae, J.H., 2009, Evaluation of EK system by DC and AC on removal of nitrate complex, Sep. Sci. Technol., 44, 2269-2283. 

  15. Jia, X., Larson, D., Slack, D., and Walworth, J., 2005, Electrokinetic control of nitrate movement in soil, Eng. Geol., 77, 273-283. 

  16. Ottosen, L.M., Ferreira, C.M.D., and Christensen, I.V., 2010, Electrokinetic desaliniation of glazed ceramic tiles, J. Appl. Electrochem., 40(6), 1161-1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