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인공함양 개발 유망지역 분석
Site Prioritization for Artificial Recharge in Korea using GIS Mapping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6 no.6, 2011년, pp.66 - 78  

서정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진삼 ,  김용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getting difficult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because more than half of annual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ummer season and its intensity is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Artificial recharge schemes such as well recharge of surface water and roof-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공함양은 해당지역의 지질 및 수리지질 특성과 같은 과학적인 요인에 따라 제한 될 수 있으며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필요지역이 차별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인공함양 가능지역과 인공함양 필요지역을 각각 파악한 후 이들 지역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인공함양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결정하고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한국 내에서 인공함양 개발가능성 지역을 분석하였다.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 상습적인 자연재해로 물 공급에 영향을 받는 지역 등 인공함양 필요지역과 비양수량, 지하수면까지의 깊이, 강수량, 지질 등의 요소들을 사용하여 인공함양의 가능지역의 자료들을 통합한 후, 중첩시켜 최종적으로 “인공함양 개발 유망지역”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함양을 통한 수자원 확보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예상되는 필요지역과 수리지질학적인 측면에서 정호주입식 인공함양이 적용 가능한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사용하여 각각 분석평가 한 후 중첩하여 최종적으로 전국 규모의 ‘인공함양 개발 유망지도’를 제작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이처럼 단층과 절리의 발달 정도, 카르스트지형의 유무, 공동의 유무 등에 따라 암석의 수리전도도 값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비양수량에 단층과 절리의 영향이 반영되었다고 가정하였기에 화성암과 변성암의 수리전도도에 단층과 절리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는 수리전도도를 이용하기로 하였다. 수리전도도가 낮은 값을 보이는 화강암과 변성암을 하나의 등급으로 통합하여, 화강암·변성암- 퇴적암 - 석회암 - 충적층 - 화산암의 순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리정보시스템이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은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김계현, 1998),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인적자원의 총체적 조직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GIS는 대상의 단순한 표현뿐만 아니라 자원의 관리와 계획, 운영에 대한 결정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일종의 계획 관리 도구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GIS와 일반적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GIS는 대상의 단순한 표현뿐만 아니라 자원의 관리와 계획, 운영에 대한 결정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일종의 계획 관리 도구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GIS가 공간적 위치 관계를 갖는 지리자료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속성자료만 관리하는 일반적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 구별된다.
지하수면까지의 깊이가 인공함양 가능성 평가에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는 이유는? 지표면에서 지하수면까지의 깊이가 깊을수록 인공함양 시킬 수 있는 지하수의 저장 공간이 크게 되므로 인공함양에 더욱 유리하다. 따라서 지하수면까지의 깊이는 인공함양 가능성 평가에 중요한 인자로 평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1999-2008, 지하수 관측연보. 

  2. 김계현, 1998, GIS 개론, 대영사, p. 426. 

  3. 김용철, 김용제, 2010, 대수층 함양관리 기술 동향, 지질학회지, 46(5), p.521-533. 

  4. 김용철, 김용제, 문덕철, 강봉래, 고기원, 박기화, 2008, 제주친화형 대수층 인공함양 기술, 제 7회 제주지하수 학술세미나 자료집. 

  5. 김형수, 2003, 한국에서의 인공함양 적용 사례 및 개발 방안,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 및 함양기술 개발" 연구성과 발표 및 지하수 인공함양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p. 1-30. 

  6. 소방방재청, 상습가뭄재해지역현황 (personal contact). 

  7. 우윤정, 함세영, 정재열, 이상선, 정차연, 박윤석, 김봉상, 2003, 양수 시험 분석에 의한 제주도 화산암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 2003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 292-295. 

  8. 이사로, 최휘찬, 민경덕, 1999, GIS를 이용한 지질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7(1), 147-153. 

  9. 전선금, 구민호, 김용제, 강인옥, 2005,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양수시험 자료를 이용한 국내 대수층 특성의 통계적 분석, 지하수토양환경, 10(6), 32-44. 

  10. 최병수, 1999, 제주도 지하수의 우물 비양수량 자료를 이용한 대수층상수 결정방법, 지하수환경, 6(4), 180-187. 

  11.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2008, 물과미래, 제16회 세계 물의날 자료. p. 202. 

  12. 환경부, 2009, 2008 상수도연보(상). 

  13. Dillon, P., 2005, Futur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Vol. 13, No. 1, pp. 

  14. ESRI Korea, 2008, ArcGIS Desktop II: Tools and Functionality, p. 5-8. 

  15. Huntley, D., Nommensen, R., and Steffey, D., 1992, The use of specific capacity to assess transmissivity in fractured-rock aquifers, Ground Water, 30(3), 396. 

  16. Casaer, J., Hermy, M., Coppin, P., and Verhagen. R., 1999, Analyzing sapce use patterns by Thiessen polygon and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nterpolation: a non parametric method for processing telemetric animal fix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3(5), 499-511. 

  17. Gale, I.N., Williams, A.T., Gaus, I., and Jones, H.K., 2002, ASR-UK: Elucidating the hydrogeological issues associated with aquifer storage and recovery in the UK. UK Water Industry Research Limited, BGS Report No. CR/02/156/N, p. 45. 

  18. Kamaleshwar Pratap, K. V. Ravindran and B. Prabakaran, 2010, Groundwater Prospect Zoning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 Case Study in Dala-Renukoot Area, Sonbhadra District, Uttar Pradesh,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28(4), 249-264. 

  19. Mashael Al Saud, 2010, Mapping potential areas for groundwater storage in Wadi Aurnah Basin, western Arabian Peninsula,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iques, Hydrogeology, 18(6), 1481-1495. 

  20. Murray, R., Tredoux, G., Ravenscroft, P., and Botha, F., 2007, Artificial recharge strategy: ver. 1.3. Department of Water Affairs and Forestry, Rep. of S. Africa, p. 194. 

  21. National Research Counsil, 1994, Groundwater recharge using waters of impaired water qual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2. Patrick A., Franklin W., 1990, Physical and Chemical Hydrogology, John Wiley and Sons, Inc, Canada. 

  23. Pyne, R.D.G., 2005, Aquifer storage recovery: A guide to groundwater recharge through wells, ASR Systems LLC, Florida, USA. ISBN 0-9774337-090000. 

  24. Razack, M. and Huntley, D., 1991, Assessing transmissivity from specific capacity in a large and heterogeneous alluvial aquifer, Ground Water, 29(6), 856-861. 

  25. Vishnu P. Pandey, 2010, Estimation of Groundwater Storage Potential of Kathmandu Valley Aquifers Using GIS Technique, ground water summit. 

  26. Environmental Modeling Systems, Incorporated:www.emsi. com, 2011.1.21 

  27. ESRI:www.esri.com, 2011.1.21 

  28. GIS DEVELOPMENT : www.gisdevelopement.net, 2011.2.21 

  29. Integarated Ground Water Information Service:www.gims.go.kr/ monitor, 2011.1.21 

  3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www. kigam.re.kr, 2011.1.21 

  3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www.kma.go.kr/weather/ observation/data_monthly.js, 2011.1.21 

  32. Peace River Manasota Regional Water Supply Authority: www.regionalwater.org, 2011.3.16 

  33.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www.wamis.go.kr, 2011. 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