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적의 지하댐 입지 선정을 위한 효율적 평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ethod to Evaluate the Optimal Location of Groundwater Dam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3, 2020년, pp.245 - 258  

정진아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  박은규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하댐 입지조건에 대한 수치 모사 결과에 인공신경망 기반 반응 표면법을 적용함으로써 지하댐 건설에 따른 지하수 저류 가능량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입지조건으로 기반암 및 충적층수리전도도, 하도의 깊이, 하도의 지하수 유동 방향으로의 경사가 고려되었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이용한 몬테카를로 기반 수치 모사 결과를 종합한 결과, 암반층 수리전도도 및 하도의 깊이가 지하댐 저유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도의 지하수 유동 방향으로의 경사도가 가장 미약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수치 모사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된 입지조건과 이의 결과를 입력 및 출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인공신경망 기반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 결과, 모델을 통해 예측된 저유량과 실제 수치 모사를 통해 산정된 저유량 간의 상관성이 0.9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비선형 예측 모델이 지하댐 개발 대상 지역에 대한 수치 모사 수행 없이 지하댐 건설에 따른 저유량을 즉각적으로 산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발된 예측 모델은 서로 다른 지역의 저유 가능량을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비교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은 국내 전 지역에 대하여 지하댐 개발 최적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효율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data-driven response surface method using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is developed to evaluate the potential storage capacity of groundwater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groundwater dam.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of alluvium and basement rock, depth and slo...

주제어

표/그림 (1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절 및 지역적 특성이 강한 국내 강우 특성에 따라 무엇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가? 계절 및 지역적 특성이 강한 국내 강우 특성에 따른 용수공급의 어려움과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장기간 가뭄 등에 대비한 적극적 대처 방안으로 안정적이며 친환경적인 수자원 확보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안정적 수자원확보가 어려운 도서 및 해안지역, 가뭄 등에 취약하여 비상시를 대비한 수자원확보 불가피 지역, 지하수 수량 및 수질이 불안정한 지역, 하천수 및 호소수 접근성이 양호하지 못한 지역에서의 수자원확보 및 시설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계층분석과정은 어떤 과정인가? 계층분석은 다수의 목적, 고려항목, 및 의사결정 주체자 등이 연계된 복잡한 의사결정을 위해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다. 이는 각 상위 계층 항목에 대한 하위 계층 후보들에 대한 평가 인자들의 중요도를 전문가의 주관적 평가 혹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항목별 점수로 선형조합한 후,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최하위 계층 중 특정 후보를 최종안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계층분석과정은 주관적인 평가 요인을 통한 의사 결정기법으로 정량적 모델에 기초하기보다는 직관 및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비교적 단순한 논리를 통해 최적 입지를 선정하기 때문에 적용이 간편하며, 지리정보시스템(GIS)와 결합하여 광역적 지역에서 적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계층분석과정의 특징은? 이는 각 상위 계층 항목에 대한 하위 계층 후보들에 대한 평가 인자들의 중요도를 전문가의 주관적 평가 혹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항목별 점수로 선형조합한 후,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최하위 계층 중 특정 후보를 최종안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계층분석과정은 주관적인 평가 요인을 통한 의사 결정기법으로 정량적 모델에 기초하기보다는 직관 및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비교적 단순한 논리를 통해 최적 입지를 선정하기 때문에 적용이 간편하며, 지리정보시스템(GIS)와 결합하여 광역적 지역에서 적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국내 연구로, 이상일 및 김병찬 (2003)이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rkhordari, J. (2015) The pre-selection of suitable sites for small underground dams in arid areas using GIS (A case study in Yazd_Ardakan watershed). International Geoinformatics Research and Development Journal, v.6(1), p.18-27. 

  2. Carsel, R. F. and Parrish, R. S. (1988) Developing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Water Resour. Res., v.24(5), p.755-769. 

  3. Domenico, P. A. and Schwartz, F. W. (1998) Physical and Chemical Hydrogeology, 2nd Ed., Wiley & Sons, New York. p.506. 

  4. Dorfeshan, F., Heidarnejad, M., Bordbar, A. and Daneshian, H. (2014) Locating Suitable Sites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Dams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 Environment and Life Sciences (EELS-2014), Dec. 23-24, Dubai, UAE, 86-90. 

  5. Jeon, S., Koo, M., Kim, Y. and Kang, I. (2005) Statistical Analysis of Aquifer Characteristics Using Pumping Test Data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for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0(6), p.32-44. 

  6. Kim, J., Lim, K., Park H. and Rhee, B. (2013) Analyzing the Effect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Using Groundwater Model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3). p.11-22. 

  7.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4) An annual report on the rural groundwater management subsystem.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12p. Republic of Korea. 

  8. Lee, S.-I. and Park, B.-C. (2003)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Underground Dam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8(4), p.36-44. 

  9. Ministry of the Environment Overseas Environmental Cooperation Center (2004) Model project to combat desertification. Technical Report of the Subsurface Dam. 

  10. Mohammad, K. M. (2012) Model for Determination the Optimum Location of Subsurface Dam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dvances in Environmental Biology, v.6(3), p.1292-1297. 

  11. Onder, H. and Yilmaz, M. (2005) Underground Dams: A too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European Water, v.11(12), p.35-45. 

  12. Rezaei, P., Rezaie, K., Nazari-Shirkouhi, S. and Tajabadi, M. R. J. (2013) Application of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nalysis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the Best Location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Dam. Acta Polytechnica Hungarica, v.10(7), p.187-205. 

  13. Richard, G. N. (2011) MODFLOW-NWT, A Newton formulation for MODFLOW-2005. U.S. Geological Survey. Chapter 37 of Section A, Groundwater Book 6, Modeling Techniques. 

  1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Service. (2008) Stream Restoration and Design.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654. 

  15. Van Genuchten, M. Th. (1976)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 Soc. J., v.44(5). p.892-898. 

  16. Yong, H.-H., Song, S.-H., Myoung, W.-H., An, J.-G. and Hong, S.-W. (2017),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of agricultural subsurface da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2(3), p.18-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