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and Perspective Teacher Education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3 no.4, 2011년, pp.633 - 649  

강현영 (목원대학교) ,  고은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태순 (목원대학교) ,  조완영 (충북대학교) ,  이경화 (서울대학교) ,  이동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초록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해 수학교사는 여러 가지 역량을 필요로 하지만, 수학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연구자의 입장과 현직교사의 입장은 종종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련 선행연구와 본 연구자들의 현직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경험에 기초하여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와 특징을 반영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 역량 요소를 도출하고, 연구자의 입장에서 도출된 각 요소에 대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또한 과거 교사 양성 과정의 대학에서 배운 수학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는지 그리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교육이 교수 역량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사의 수업 역량과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ariety of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in mathematics has been discussed. It has been expected tha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competencie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eachers' perspectives rather than researchers' to narrow the possible disc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선행연구와 본 연구자들의 현직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경험에 기초하여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22가지의 역량( 참조)을 선별하여 보기로 제시하였다.
  • 이러한 선행연구는 공통적으로 좋은 수학수업의 특성을 밝히거나 이러한 특성을 수학교육 이론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원인을 규명한다. 또한 문헌 연구, 설문 조사, 면담 등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 요구되는 역량들은 어떠한 것인지 등에 대해 제시하여 좋은 수업을 위한 교직 전문성, 사범대학의 바람직한 교육과정과 역할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연구의 경우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역량을 주로 연구자 또는 예비교사의 눈으로 도출하거나 그 과정에서 현직교사의 역할은 미비하였다.
  • 본 연구는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를 현직 수학교사의 입장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범대학에서 배운 대학수준의 수학지식이 수학교사의 역량을 배양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와 현재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전반적 내용이 수학교사의 좋은 수학수업을 위한 역량을 배양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수학교사의 입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본 연구자들의 현직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경험에 기초하여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22가지의 역량(<표 Ⅲ-3> 참조)을 선별하여 보기로 제시하였다.
  • ’라고 질문한 후 22개의 보기를 제시한 후, 각각에 대해 6점의 리커트 척도5)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외의 다른 역량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자유롭게 의견을 서술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란을 제시하였다. 사범대학에서 배운 대학수준의 수학지식이 역량 배양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B 부분에서는 ‘여러분이 과거 대학에서 학습한 수학지식(해석학, 위상수학, 현대대수학, 미분기하학 등)이 다음과 같은 수학교 사의 역량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 십니까? 해당되는 곳에 √ 표로 응답해 주십시오.
  • 이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와 특징을 반영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 역량 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본다. 또한, Klein이 제기한 이중단절(우정호, 1998)의 문제를 고려하여, 과거 교사 양성 과정의 대학에서 배운 수학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교육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또한, Klein이 제기한 이중단절(우정호, 1998)의 문제를 고려하여, 과거 교사 양성 과정의 대학에서 배운 수학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교육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사의 수업 역량과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았다. 이 절에서는 앞의 분석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논의하고, 각 문항에 대해 수학교사들이 서술형으로 작성한 추가 의견을 통해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 실제로 최근에는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보다는 교사의 인터뷰와 실제 수업 분석을 바탕으로 한 상향식 접근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Wilson, Cooney, & Stinson, 2005; Pang, 2008; Lin, & Li, 2009).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좋은 수학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 역량 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본다. Krainer(2005)의 세 번째 관점을 채택한다.
  • 본 연구는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를 현직 수학교사의 입장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범대학에서 배운 대학수준의 수학지식이 수학교사의 역량을 배양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와 현재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전반적 내용이 수학교사의 좋은 수학수업을 위한 역량을 배양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수학교사의 입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최승현, 임찬빈(2006)3)은 2004년, 2005년에 걸쳐서 진행된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 I, II」에서 개발된 수업 평가 일반 기준과 NCTM(1991, 1993)에서 개발한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과 수업관찰 및 면담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수학 과목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의 방향으로는 수학 교사의 수업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포괄적 기준, 수학과 모든 내용 영역에 적용 가능한 종합적 기준, 목적과 상황에 유연하게 선택가능한 종합적인 기준 목록, 하나의 개별 기준도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 판단 가능하도록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은 수학 및 수학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 ‘계획’으로서 수업설계, ‘수업 실천’으로 교실 환경 및 수업분위기와 수업실행, 교사가 자신의 전문성 계발을 위해 해야 할 것인 ‘전문성’ 영역을 중심으로 평가자의 관찰지표들을 제시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와 특징을 반영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 역량 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본다. 또한, Klein이 제기한 이중단절(우정호, 1998)의 문제를 고려하여, 과거 교사 양성 과정의 대학에서 배운 수학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는지 살펴본다.
  • 마지막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교육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사의 수업 역량과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았다. 이 절에서는 앞의 분석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논의하고, 각 문항에 대해 수학교사들이 서술형으로 작성한 추가 의견을 통해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 최승현(2007)은 국내·외 내용교수지식(PCK) 관련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 분석틀에 입각하여 수업 아이디어 및 교실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여 수학과 고유의 PCK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나타난 특징을 범주화하여 선정된 주제나 개념에 따라 PCK 유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과 고유 내용을 지도하기에 효과적인 방법 지식을 찾아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분석 결과에 나타난 특징을 범주화하여 선정된 주제나 개념에 따라 PCK 유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수학과 고유 내용을 지도하기에 효과적인 방법 지식을 찾아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학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요소들로 수학 내용 지식,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수학 학습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등을 포함하고 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의 수업 역량을 기초로 하여 현장교사의 시각에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교사 전문성에 대한 영역 중 수업 능력과 관련된 역량들을 중심으로 공통된 요소들을 선별하고, 본 연구자들의 현직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경험에 기초하여 설문에 역량들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수학수업에 대해 그동안 현직교사들의 시각에서 제안된 것은 주로 무엇이었는가?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관점은 해당 국가의 사회 문화적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Pang, 2009), 수업 현장에서 경험한 현직 교사들의 시각은 우리나라 특유의 사회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좋은 수학수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현직교사들의 시각에서 제안된 것은 주로 일반적인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역량이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사가 수업을 경험하면서 생각한 역량들이 충분히 반영되어 제시되지는 못하 였다.
Krainer(2005)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를 찾는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Krainer(2005)는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를 찾는 수학교육 연구의 관점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사는 자신이 처한 수업 상황에 따라 각자의 기준을 세워나가므로 좋은 수학수업을 판단하는 보편적인 기준을 거부하는 관점으로, 상향식(bottom-up) 과정을 추구한다. 좋은 수학수업은 ‘특수화’의 문제이며, 교사의 수만큼 다양한 좋은 수학수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둘째 좋은 수학수업의 보편적인 기준을 세우려는 관점으로, 하향식(up-down) 과정을 추구한다. 보편적인 기준을 근거로 수학 수업의 질을 판단하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관점은 좋은 수학수업의 기준을 거부나 확립의 대상이 아니라 협상과 구성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이다. 특수한 수업으로부터 근거를 수집하고 동시에 보편적인 방향을 따라가면서 기준을 구성해가는 입장이다. 좋은 수학수업은 특수화뿐만 아니라 일반 화의 문제이며, 상향식 과정과 동시에 하향식 과정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연구자와 교사 사이의 협력을 중요시 한다. Krainer (2005)는 앞으로의 수학교육연구는 세 번째 관점을 채택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관점은 무엇에 따라 다른가? 그러나 우리나라의 연구의 경우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역량을 주로 연구자 또는 예비교사의 눈으로 도출하거나 그 과정에서 현직교사의 역할은 미비하였다.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관점은 해당 국가의 사회 문화적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Pang, 2009), 수업 현장에서 경험한 현직 교사들의 시각은 우리나라 특유의 사회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좋은 수학수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현직교사들의 시각에서 제안된 것은 주로 일반적인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역량이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사가 수업을 경험하면서 생각한 역량들이 충분히 반영되어 제시되지는 못하 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