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교우관계의 영향력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friendship to academic persistence and drop out and mediation effect of school adaptation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5 no.4, 2011년, pp.87 - 109  

김효은 (계명문화대학 패션디자인과) ,  김기원 (행정안전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self improvement, social support of parents, friendship, school adaptation, drop out. In our research model, goal setting, self improvement,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hip is exogenous variable and school adaption and drop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휴학생 비율은 어떠한가? 4년제 대학에서 발생하는 중도탈락의 문제도 심각하지만 전문대학의 중도탈락문제는 4년제 대학과 비교할 때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10년 동안의 학생 변동 상황을 살펴보면 전체 재적학생 중 휴학생의 비율이 4년제 대학은 약 31%내외로 유지되고 있지만 전문대학은 1999년 33.1%에서 중도에 38.5%로 늘었다가 최근에는 35%내외의 높은 휴학생 비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제적학생의 비율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의 제적학생비율은 2000년 3.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제적학생 비율은 어떠한가? 5%로 늘었다가 최근에는 35%내외의 높은 휴학생 비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제적학생의 비율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의 제적학생비율은 2000년 3.8%를 기록한 이 후 2010년까지 4%대에서 머물러 있으나 전문대학은 제적학생의 비율이 2000년 4.9%에서 2008년 8.3%를 기록한 후2010년 7.3%를 나타내서 4년제와 비교할 때 거의두 배에 가까운 제적률을 보이고 있어 심각성은 더하다2) 이러한 중도탈락은 패션디자인 관련 학과에도 예외는 아니다. 김효은3)은 대학의 구조조정으로 패션관련 학과와 학생 정원이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전문대학과 기능대학 예체능계열 패션관련 학과 학생의 2008년과 2009년도 중도탈락률’은대상 대학별로 다소 높아진 점을 지적하면서 중도탈락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상당 수의 대학들이 학교 문을 닫을 수 밖 에 없는 실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2003년부터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인적자원의 감소로 인하여 고등교육 기관의 입학정원은 고등학교 졸업생 수 보다 더 많아진 실정이며 이와 같은 졸업생 수와 입학정원의 차이는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다1). 따라서 상당수의 대학은 학생들을 유치하지 못하여 학교 문을 닫을 수 밖 에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교육통계서비스", (2011, 3. 11), 한국 교육개발원 정보공시. 자료검색일 2011, 3. 11 자료출처 http://std.kedi.re.kr 

  2. 김효은(2010), "학업흥미도 향상을 위한 패션전공교육 프로그램", 패션비즈니스, 14(1), pp.184-197. 

  3. 이석열(2008), "대학생의 개인 특성 및 대학특성요인이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관계 분석", 교육행정연구, 26(3), pp.277-299. 

  4. 김수연(2007), "학생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 분석", 진로교육연구, 20(1), pp.111-141. 

  5. Beaty-Guenter, P.(1992), "Sorting, Supporting, Connecting, and Transforming: Retention strategy at community college",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18(2), pp. 113 - 129. 

  6. 신붕섭(2001), "전문대학의 발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방안", 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1학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협의회, pp.21-35. 

  7. Ferguson, J.M., Wisner, R.E., & Discenza, R. (1986), "Developing a framework for student retention: A challenge to traditional enrollment approaches". NASPA Journal, 24(2), pp.2-9. 

  8. Hossler, Don, Bean, John P.(1990), "The Strategic Management of College Enrollment". San Fracisco: Jossey-Bass Publishers. 

  9. Astin, A. W. (1977), "What matters most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San Francisco: Jossey-Bass. http://www.nacada.ksu.edu/Clearinghouse/AdvisingIssues/retention.htm. 

  10. 이석열(2008), "대학생의 개인 특성 및 대학특성요인이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관계 분석", 교육행정연구, 26(3), pp.277-299. 

  11. Price, L. A.(1993), Characteristics of Early Student Dropouts at Allegany Community College and Recommend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Cumberland, MD: Allegany Community College. ED 361 051. 

  12. Timothy, J. P., Jessica, K., Stephanie M. M., Neal S., & Frederick L. O. (in press). "A detection model of college withdrawal",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3. 김재웅(1992), "미국 대학생 중도 탈락: 개인, 사회구조, 대학의 상대적 중요성", 교육행정연구, 10(1), pp.17-48. 

  14. 오영재(2005), "대학 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1), pp.327-356. 

  15. 황연주(2005), "학생 재등록 향상을 위한 대학 서비스 질 측정 사례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4(2), pp.279-296. 

  16. 김수연(2006),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중도탈락 요인 분석". 한국교육, 33(4), pp.33-62. 

  17. 이병식(2003), "대학생의 학업 중단에 미치는 대학 기관특성의 탐색적 분석", 교육학연구, 41(2), pp.135-154. 

  18. Tinto,V.(1992), "Student Attrition and Retention", From Clark, B.R and Necre, G (Eds) The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Pergemon Press, Oxford, pp. 1697-1709. 

  19. Swell, W. H., & Hauser, R. M. (1975), "Education, Occupation, and Earnings. Achievement in the Early Career". New York: Academic Press. 

  20. Astin, A. W. (1991). "Assessment for Excellence-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New York: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and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1. Tinto, V (1987). "Increasing student retention", San Francisco: Jossey Bass. 

  22. Price, L. A.(1993), Characteristics of Early Student Dropouts at Allegany Community College and Recommend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Cumberland, MD: Allegany Community College. ED 361 051. pp.1-18. 

  23. 서선주(2004), "사이버대학생의 중도탈락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 Ell, K. (1984),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 review", Social Service Review, 58(1), pp.133-149. 

  25. 이홍구(2003),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2(5), pp.147-157. 

  26. 강성희(1991), "아동의 생활사건과 적응에서 사회적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 역할",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수경(2004), "학교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Cohen, S. & Hoberman, H. M.(1993), "Child-mother attachment of six years 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elopment, 61, pp.152-162. 

  29.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최충식(2006),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가와 사회적 지지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pp. 300-314. 

  32. 이수경(2004), "학교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 

  33. Felner, R. D., Ginter, M., & Primavera, J. (1982), "Primary prevention during school transitions: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0, pp. 277-290. 

  34. Astin, A. W. (1993), What matters most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Bass. 

  35. Rendon, L. (1995), "Facilitating retention and transfer for the first generation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s", Paper presented at the New Mexico Institute, Rural Community College Initiative, (Espanola, NM, March 1, 1995). 

  36. Noel. L, Levitz, R., & Saluri, D. (Eds) (1985), "Increasing student reten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37. Tinto(1987), "The principle of effective retention", Paper presented at the Fall Conference of the Maryland College Personnel Association (Largo, MD, November 20, 1987), pp. 1-15. 

  38. 이시은, 이재창(2005), "대학생의 애착유형, 부모 또래 애착, 그리고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pp. 947-963. 

  39. Allen, J. P. & Land, D. (1999), "Attachment in adolescence",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Guilford. from http://people.virginia.edu/-psykliff/pubs/abstract_chrono_allen_land_1999.html 

  40. 장연정(200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Laible, D. J., Carlo, G., & Raffaelli, M. (2000), "The differential relations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 to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 pp. 45-59. 

  42. 조은정(2008),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친구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5(6), pp. 299-322. 

  43. 이수경(2004), "학교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2. 

  44. Aboud, F. E., & Mendelson, M. J. (1996), "Determinants of friendship selection and quality: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W. M. Bukowski, A. F. Newcomb, and W. W. Hartup (Eds),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pp.87-112. 

  45. Collarelli, S. M. and Bishop, R. C. (1990), "Career commitment: Functions, correlations, and management", Group and Organization Studies, 15, pp.158-176. 

  46. 김지응(2008), "대학생의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외식전공 학생의 Mentor에 대한 신뢰에 다른 차이비교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1(2), pp.77-101. 

  47. 정명화, 경경숙, 박성미(2005), "전문대학생의 학과 적응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 교육학연구, 43(1), pp.1-26. 

  48. 신지영(2000),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 응집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박동건, 최대정(2003), "창업자의 역량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2), pp.61-92. 

  50.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27. 

  51. 정태화(2002), "미국에서 전문대학 학생보유 연구에 관한 시사점 분석: 재학생 감소 시기를 중심으로", 직업교육 연구, 21(1), 한국 직업교육학회, pp.327-342. 

  52. Chou, C. P., & Bentler, P. M. (1995), "Estimates and tes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Rick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pp.37-55. 

  53. West, S. G., Finch, J. F.,&,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pp.56-75. 

  54. 이기종(2000), 구조방정식모형, 교육과학사, p.15. 

  55. Bentler P. M.(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pp. 238-246. 

  56. Tucker, L. R.,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pp.1-10. 

  57. Brown M. W.,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Long J.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pp.136-162. 

  58.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Washington, DC: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pp. 290-312. 

  59.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 pp. 717-731 

  60. Rendon, L. (1995), "Facilitating retention and transfer for the first generation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s", Paper presented at the New Mexico Institute, Rural Community College Initiative, (Espanola, NM, March 1, 1995). pp. 6-7. 

  61. "조별과제는 공산주의가 왜 망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 (2011. 6. 7) twitter 자료검색일 2011. 6. 10, from http://goo.gl/LKQNr 

  62. 류혜숙, 조형숙(2008),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 입문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pp. 249-2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