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소비자들의 가십(Gossip) 행동성향에 관한 연구
Fashion Consumers' Gossip Behavior Tendency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5 no.4, 2011년, pp.135 - 143  

이승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소지인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s' gossip behavior tendency with regard to collectivis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ree hundred fifty-five college students (male: 123, female; 227) in the 20s age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 여자 대학생 소비자들의 가십행동을 조사함으로써 가십행동 성향에 따라 집단주의, 공적 자기의식, 성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십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다음으로 공적 자기의식의 높고 낮음에 따라 가십 행동 성향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공적 자기의식을 고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그 결과 가십행동 성향은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과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
  •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 소비자의 가십행동이 잠재 소비자에게 구매를 유도하고 마케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해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 소비자의 가십행동 성향을 파악하여 그 에 알맞은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시해보고자 한다.
  • 특히 가십행동이 패션소비자행동과 절대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류분야에서 패션소비자들의 가십행동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패션소비자들의 가십행동에 관해 조사하는 것이며, 가십행동과 관련있는 변인 즉, 집단주의(Collectivism), 공적 자기의식(Public Self-Con sciousness), 성별과 같은 변인들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자, 여자 대학생 소비자들의 가십행동을 조사함으로써 가십행동 성향에 따라 집단주의, 공적 자기의식, 성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십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 본 연구는 패션 소비자들의 가십행동이 패션 소비자들 간의 중요한 정보소스로 사용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패션 소비자들의 가십행동을 통해 마케팅전략을 기획하는 기업에게 마케팅전략 수립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 정보를 제시해 주었다. 또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문제 1) 집단주의 성향에 따라 가십행동 성향의 차이를 조사해본다.
  • 연구문제 2) 공적 자기의식에 따라 가십행동 성향의 차이를 조사해본다.
  • 연구문제 3) 성별에 따라 가십행동 성향의 차이를 조사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enigstein 외에 의하면, 공적 자기의식이란? Fenigstein 외18)에 의하면, 공적 자기의식이란 자기 자신을 타인에 의해 인식되어지는 사회적인 대상으로 인식하며 자신에 대한 주의나 관심 성향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평가되어지는 자신의 인상형성이나 자기표현, 언어, 그리고 행동방식 등에 주의가 매우 집중된다고 한다.
공적 자기의식의 특징은? Fenigstein 외18)에 의하면, 공적 자기의식이란 자기 자신을 타인에 의해 인식되어지는 사회적인 대상으로 인식하며 자신에 대한 주의나 관심 성향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평가되어지는 자신의 인상형성이나 자기표현, 언어, 그리고 행동방식 등에 주의가 매우 집중된다고 한다.19)
프랑스 사회학자 에드가르 모랭은 가십을 뭐라고 표현하였는가? 프랑스 사회학자 에드가르 모랭(Edgar Morin)은 '가십은 행위의 부산물 정도가 아니라 스타를 키우는 플랑크톤이다' 라고 가십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정치인, 연예인들의 가십은 보통사람들에게 호기심꺼리이기에 때로는 일파만파로 물의가 되기도 하지만 반면, 좋은 가십은 유행과 인기를 잇는 모티브가 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oster, E. (2004), "Research on gossip: Taxonomy, methods, and future Direc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8(2), pp. 78-99. 

  2. Sommerfeld, R. D., Krambeck, H. J., Semmann, D., & Milinski, M, (2007), "Gossip as an alternative for direct observation in games of indirect reciprocity", Proc Natl Acad Sci U S A., 104(44), pp.17435-17440. 

  3. Dunbar, R. I. (2004), "Gossip in evolutionary perspectiv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8, pp.100-110. 

  4. McAndrew, F. T. (2008), "The science of gossip: Why we can't stop ourselves", Scientific American. 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cfm?idthe-science-of-gossip 

  5. Benny, B., Stern, B., & Gould, S. (1988), "Ideal age concepts: An exploration", i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5, eds. Micheal J. Houston,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p.146-152. 

  6.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 pp.117-140. 

  7. Sarah, R. & Salovey, P. (2004), "A Society comparison account of gossip",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8(2), pp.122-137. 

  8. Nicholas D., & Bordia, P. (2007), "Rumor, gossip and urban legends", Diogenes, 213, pp.19-25. 

  9. Hofstede, G. (1983), "The cultural relativity of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Theo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75(3), pp.75-89. 

  10. Hofstede, G. (1991), 세계의 문화와 조직, 차재호, 나운영(역)(1996). 학지사. 

  11. Hui, C. H., & Triandis, H. C.(1986). Individualism-collectivism: A study of cross-cultural researche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7, 225-248. 

  12. 최선형(2000),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의복소비 행동과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논집, 20(1), pp.65-80. 

  13. 심정희(2007),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행동, 의복 추구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1(11), pp.1574-1585. 

  14. Fenigstein, A., Scheier, M., & Buss, A. (1975), "Public a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 pp. 522-527. 

  15. Schlenker, B., & Weigold, M.(1990), "Selfconsciousness and self-presentation: Being autonomous versus appearing autonomo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pp.820-828. 

  16. 손은정 (2007), "공적 자기의식,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및 신체상에 대한 태도가 성형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2(1), pp. 63-81. 

  17. Rowold, K. L. (1995), "Dress and human behavior research: Sampling subjects and consequences for stat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4), pp. 262-272. 

  18. 이승희 (2010), "패션 소비자들의 브랜드 민감성과 공적 자기의식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4(4), pp. 102-110. 

  19. Nevo, O., Nevo, B., & Derech-Zehavi, A. (1994), The tendency to gossip as a psychological disposition: Constructing a measure and validating it. In R. F. Goodman & A. Ben-Ze'ev (Eds.), Good gossip (pp.180-192). Mahwah, NJ: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