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8, 2011년, pp.1145 - 1157  

김동현 (한국교원대학교) ,  김효남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수업 3곳의 총 27차시 수업에 참여하여 녹화하였으며, 전사 및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은 Sinclair와 Coulthard(1975)의 이론에 근거한 정민수 등(2007)의 분석틀에서 교사 피드백 부분을 김영순(2010)의 분석틀로 일부 수정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이었다. 분석 후 분석결과 확인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수업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IRF 패턴 유형은 관리적 질문-단답형 응답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사례를 통해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몇 가지 패턴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은 막연히 개방적 질문, 지연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좋다는 인식보다 학습 내용의 난이도 및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패턴 전략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3명은 평소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하여 막연히 편안한 분위기, 개방적 질문과 지연적 피드백 정도로 인식하거나 전략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연수 등 다양한 전문성 향상 기회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tract the features of verb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cience-gifted students in their class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s observed 27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the science gifted of three elementary teachers. To analyze the 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을 추출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실시한 연구로, 세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소속 교사 3명의 총 27차시 수업의 녹화자료와 수업자 설문지를 서로 연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의 IRF 패턴 및 교사 설문을 분석하여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며, 나아가 현장의 초등 과학영재 담당교사들이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가설 설정

  • S: 제가 생각하기에는 에너지는 충분했던 것 같은데 오히려 하얀 쪽 경사와 빨간 쪽 경사가 다르단 말 이예요. 빨간 색 쪽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저쪽에서 걸리면서 원심력 때문에 이게 튀어나온 것 같아요(R3)
  • Ss: 원심력하고 구심력이 같이 작용해요.(R3)
  • T: 구심력. 이 쥐불놀이에는 어떤 원리가 같이 있어요?(F6) Ss: 원심력하고 구심력이 있어요.(R3)
  • T: 그래, 여러분들이 만들었던 쥐불놀이는 돌리면 뭐가 생겨?(Q1)
  • T: 네 원심력과 구심력의 원리가 들어가 있는 거예요.(F2)
  • T: 어 색깔 보면 알 수 있지요.〔F2〕
  • T: 오늘 공부하게 될게, 용액의 진하기가 달라지면 어떤 것이 달라지는지 한번 볼 건데요. 그래서 무게와 부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를 해보고, 음 우리가 보통 액체의 진하기를 어떻게 알 수 있지요?〔Q1〕
  • T: 원심력이 생기는데, 그냥 원심력이 생기면 어떻게 줄을 놓으면 어떻게 되요?(F6)
  • T: 자 여기 보면 돌다가 바깥으로 날아가지요? 왜 그럴까요?(Q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경희(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2. 

  2. 김동현, 김효남(2010).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초등교과교육연구, 12, 1-17. 

  3. 김동현(2010). 초등학교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영순(2010).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현경, 최병순(2009).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359-372. 

  6. 김현애, 고정민(2008). 초등 과학 몰입수업에서 원어민 교사 발화. 응용언어학회지, 24(1), 205-224. 

  7. 남정희, 이순덕, 임재항, 문성배(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53- 970. 

  8. 박수경(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34-40. 

  9.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 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10. 박혜영(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이 질문 유형 및 질문을 통해 살펴본 수업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자료. 

  11. 방유미(2005).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심규철, 김현섭(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2), 479-484. 

  13. 우희정(2003). 영재교육 프로그램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에 관한 실태 연구. 건국대학교석사학위 논문. 

  14.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민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7(3), 252-260. 

  15. 이지향, 김동진, 황현숙, 박세열, 백인환, 박국태 (2010).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영재 교육 연구, 20(3), 721-741. 

  16. 이호연(2006).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오필석(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pp.297-308. 

  18. 정경원(2004). 새로운 영재재능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0.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1.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 1048. 

  22. Black, P., & Wil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 Policy & Practice. 

  23. Blosser. P. E. (2000). Asking the Right Questions. Arlin: on. Virginia: NSTA press. in J. H. Borland. (1989).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for the gift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24. Carin, A. A. (1997).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8th). Upper Scaddle River: Merrill Publishing Company. 

  25. Chin, C (2006). Classroom interaction in science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to students'respon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1), 1315-1346. 

  26. Clark, B(2002). Growing up gifte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children at home and at school(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7. Cliatt, M. J. P., Show, J. M & Sherwood, J. M. (1980). Effects of training on the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1, 1061-1064. 

  28. Edward.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 Routledge. 

  29. Flanders, N. A. (1970). Analyzing teaching behavior reading. MA./London: Addison- Wesley. 428-433. 

  30. Gallagher, J. 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4th ed). Boston: Allyn & Bacon. 

  31. Erdogan, I. & Campbell, T. (2008). Teacher question and interaction patterns in classrooms facilitated with differing Levels of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4), 1891- 1914. 

  32. Lang, Q. C., Wong, A. F. L.& Fraser, B. J. (2005). Student perception of chemistry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teacher interactions and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gifted education classes in Singapor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2), 299-321. 

  33. Maker, C. J., & Nielson A.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Austin, TX: Pro- Ed, Inc. 

  34. Scott, p. (1998). Teacher talk and meaning making in science classroom: A Vygotskian analysis and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2, 42-80. 

  35. Sinclair, J. and Coulthard, M. (1975). Towards an Analysis of Discours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