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실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및 난이도 분석을 통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요구도
Educational Needs Based on Analysis of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of ICU Nursing Practice for ICU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3, 2011년, pp.373 - 382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김진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박영례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ducational needs of ICU nurses based on an analysis of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for ICU nursing practice.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with 80 questions in 14 ICU nursing categories.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임상실무에서 수행되고 있는 중환자 간호업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난이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호사들은 전문적인 수준의 간호업무가 필요할 때, 업무 수행에 대해 부족함이나 어려움을 느낄 때, 혹은 최신의 지식과 기술을 획득하여 자신의 전문적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실무교육을 받는다고 하였다(Lee et al.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임상실무에서 수행되고 있는 간호업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난이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수행되고 있는 중환자 간호업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난이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5개 의료기관 중환자실에 근무하고 임상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 295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8월부터 10월까지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에 의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중환자 간호업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그리고 난이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환자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실무에서 수행되는 간호업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난이도를 파악하고 중환자 간호업무에서 우선 순위로 필요로 되는 교육요구도를 규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ing(2004)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간호사들의 약물에 대한 이해는 매우 제한적이였고 간호사의 투약에 대한 불안감은 매우 높았다. 이에 이와 관련된 간호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서 수행되고 있는 중환자 간호업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난이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은 의사소통, 투약간호, 신체사정, 진단적 검사, 응급간호, 그리고 순환기계 간호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의료 환경 변화는 간호사의 역할 변화와 확장, 제공되는 간호의 질적 향상, 그리고 높은 지식과 기술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간호사들로 하여금 지속적인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따라서 본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중환자간호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교육요구도를 만족시키고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며 최대의 교육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필요성과 요구도에 부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효율적인 교육방법으로 구성된 중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간호사에게는 어떠한 능력이 요구되는가? 중환자실은 중증도가 가장 높은 환자를 간호하고 24시간 집중감시와 간호 및 치료가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수부서로 중환자실 간호사에게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 그리고 첨단 의료장비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이 요구된다(Son, Koh, Kim, & Moon, 2001).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2008)에 의하면 중환자 간호는 기본적인 위생 간호에서부터 높은 수준의 지적 판단이 필요한 특수 간호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고 숙련된 간호를 포함하며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환자실의 주요 장비를 관리함은 물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각종 검사 및 사정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판단하여 적절히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중환자실이란 무엇인가? 중환자실은 중증도가 가장 높은 환자를 간호하고 24시간 집중감시와 간호 및 치료가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수부서로 중환자실 간호사에게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 그리고 첨단 의료장비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이 요구된다(Son, Koh, Kim, & Moon, 2001).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2008)에 의하면 중환자 간호는 기본적인 위생 간호에서부터 높은 수준의 지적 판단이 필요한 특수 간호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고 숙련된 간호를 포함하며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환자실의 주요 장비를 관리함은 물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각종 검사 및 사정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판단하여 적절히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2008). AACN scope and standards for acute and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Aliso Viejo, CA: An AACN Critical Care Publication. 

  2. Armitage, G., & Knapman, H. (2003). Adverse events in drug administr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1, 130-140. 

  3. Berke, W. J., & Wiseman, T. L. (2003). The e-learning answer. Nursing Management, 34(10), 26-29. 

  4. Bristow, P. J., Hillman, K. M., Chey, T., Daffurn, K., Jacques, T. C., Norman, S. L., et al. (2000). Rates of in-hospital arrests, deaths and intensive care admissions: The effect of a medical emergency team.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73, 236-240. 

  5. Chant, S., Jenkinson, T., Randle, J., & Russell, G. (2002). Communication skills: Some problems i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 12-21. 

  6. Cho, W. S. (2002). A study on the types and causes of medication errors and related drugs: By analyzing AJNs medication error 73 case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16, 176-189. 

  7. Gibson, J. M. (1998). Using the delphi technique to identify the content and context of nurses'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7, 451-459. 

  8. Giddens, J. F. (2007). A survey of physical assessment techniques performed by RNs: Lessons for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2), 83-87. 

  9. Goettner, P. (2000). Effective e-learning for healthcare. Health management Technology, 21(12), 63-64. 

  10. Kim, K. E. (2004).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intension to leave the job.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 Kim, K. S., Kim, J. A., Kwon, S. H., & Song, M. S. (2010),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1), 177-196. 

  12. King, R. L. (2004). Nurse's perceptions of their pharmacology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5, 392-400. 

  13. Lee, E. N., Kim, B. J., Kang, K. H., Kim, S. S., & Kim, Y. S. (2008).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99-111. 

  14. Lee, J. H. (200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job analysis tool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Lee, K. M. (2004).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education course for ICU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6. Lee, M. M., Yoo, J. S., & Chang, S. J. (2010). A study on the in-service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critical care nurses' characteristic.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2), 49-60. 

  17. Maguire, P., & Pitceathly, C. (2002). Key communication skills and how to acquire them. British Medical Journal, 325, 697-700. 

  18. Milch, C. E., Salem, D. N., Pauker, S. G., Lundquist, T. G., Kumar, S., & Chen, J. (2006). Voluntary electronic reporting of medical errors and adverse events. An analysis of 92,547 reports from 26 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 165-170. 

  19. Park, H. S., & Gang, E. H.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810-821. 

  20. Pascoe, T., Hutchinson, R., Foley, E., Watts, I., Whitecross, L., & Snowdon, T. (2007).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es working in Australian general practices.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4(3), 33-37. 

  21. Ryu, K. M., Kim, S. H., Seo, P. W., Ryu, J. W., Kim, S. K., Kim, Y. H., et al. (2008). Initial experience of the emergency bypass system (EBS) for the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due to a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Society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41, 329-334. 

  22. Rosenstein, A. (2002).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Impact on nurse satisfaction and retentio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2(6), 26-34. 

  23. Son, H. M., Koh, M. H., Kim, C. M., & Moon, J. H.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988-997. 

  24. Thomas, E. J., Sexton, J. B., & Helmreich, R. L. (2003). Discrepant attitudes about teamwork among critical care nurses and physicians. Critical Care Medicine, 31, 956-959. 

  25. Travale, I. L. (2007).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for novice nurses in critical car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8, 132-138. 

  26. Vollers, D., Hill, E., Roberts, C,, Dambaugh, L., & Brenner, Z. R. (2009). AACN's health work environment standards and an empowering nurse advancement system. Critical Care Nurses, 29(6), 20-27. 

  27. Wheeldon, A. (2005). Exploring nursing roles: using physical assessment in the respiratory unit. British Journal of Nursing, 14, 571-5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