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역량 관련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Education Status, Educational Needs, and Nursing Competence of Regional Trauma Intensive Care Unit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321 - 331  

김경미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사 역량을 파악 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5개 권역 외상 중환자 치료센터에 근무하는 123명 간호사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사 설문지는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사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외상 중환자 간호 교육 참여는 78.9%이었다. 외상 중환자 간호 교육 중요도 결과 '태도'는 3.64, '지식'은 3.52, '기술'은 3.47로 나타났다. 교육 요구도 결과 '지식'은 3.18, '태도'는 3.05, '기술'은 2.97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역량 조사 결과 '윤리적 역량'은 3.62, '심미적 역량'은 3.53, '인격적 역량'은 3.39, '과학적 역량'은 3.3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시점에 맞고 적용 가능한 외상 간호교육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실습위주의 교육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성과 간호역량증진을 위한 전략모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status, e,ducation needs and competencies of nurses in the regional trauma intensive care unit.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23 nurses from 5 hospitals in the regional intensive Care Unit trauma.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the ed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권역 외상센터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 현황과 교육 요구도, 역량의 차이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임상경력, 중환자실 근무 기간, 외상 중환자실 근무 기간에 따른 역량의 차이를 파악하여 교육 요구도의 현황과 간호사 역량을 높이기 위한 간호사의 질적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권역 외상센터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 현황과 교육 요구 및 간호사 역량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역량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사 역량을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권역 외상센터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가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보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 중이지만,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과 교육 요구 및 간호사의 역량을 파악하여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역량을 파악한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교육 참여 프로그램에는 외상 간호 핵심 간호 기술 기본과정, ‘상 간호 핵심과정, 중환자 간호교육, 한국형 전문외상 처치술, 학술대회, 보수교육 외상 응급환자 간호, 외상환자 간호 등이며, 국외 외상 간호교육 참여 프로그램에는 심폐소생술 후 외상간호, 외상 간호 보수교육, 외상 중환자 중급간호 과정 등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외상 중환자 간호 업무의 요구도는 ‘지식’, ‘태도’, ‘기술’ 순으로 나타나, 외상 중환자 간호사의 지식 관련 교육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셋째, 외상 중환자 간호사 역량 조사 결과, 윤리적 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심미적 역량, 인격적 역량, 과학적 역량 순의 나타나 간호사의 과학적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이론과 실습 위주의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며, 외상 중환자 간호사의 과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권역 외상센터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를 임의 추출하였으므로 표본 대상의 대표성에 있어 연구결과를 모든 간호사에게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전체 사망원인 중 암, 뇌혈관질환에 이어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손상으로 인한 사망은 전체 사망원인 중암, 뇌혈관질환에 이어 중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보고되고 있으며 다른 질환에 비하여 비교적 젊은 층에 발생함으로써 심각한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1].
권역외상센터란 무엇인가? 2%로 감소 추세이지만 아직도 미국, 독일, 일본의 10-20%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다. 권역외상센터란 외상으로 인한 다발성 손상, 과다출혈 등의 중증외상환자에 대해 365일 24시간 병원 도착 즉시 응급수술이 가능하고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외상전용 전문치료센터를 말하는데 보건복지부는 2012년부터 권역 외상센터의 설치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사망률을 2020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20% 미만으로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2-5]. 외상 환자의 예방 가능한 사망의 주요 원인은 미흡한 초기 대처 능력, 실무지침 부족, 지연된 치료 시간, 부적절한 처치 등 의료인의 역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2. M. M. Shapiro. (1998). A career ladder based on Benner's model. An analysis of expected outcomes. J Nurs Adm, 28(3), 13-19. DOI : 10.1097/00005110-199803000-00005 

  3. Kosis. (2019). Emergency Medical Status Statistics [Online]. http://kosis.kr 

  4. H. M. Son, M. H. Koh, C. M. Kim & J. H. Moon.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6), 988-997. DOI : 10.4040/jkan.2001.31.6.988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Information on Support for Regional Discharge Center in Welfare [Online]. http://www.index.go.kr/ 

  6. W. C. Lee, C. H. Jo, K. W. Jung, Y. G. Min, S. C. Choi, K. W. Kim & K. J. Lee. (2010).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the transfer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in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Journal of Trauma and 23(1), 6-15. 

  7. Y. Kim, K. Y. Jung & J. S. Kim. (2001). Problems in trauma care and preventable death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2(1), 45-56. 

  8. J. G. West, D. D. Trunkey & R. C. Lim. (1979). Systems of trauma care: a study of two counties. Archives of surgery, 114(4), 455-460. DOI : 10.1001/archsurg.1979.01370280109016 

  9. M. Ding, H. Metcalfe, O. Galagher & J. M. Hamdorf. (2016). Evaluating trauma nursing education 3-42 

  10.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2008). AACN scope and standards for acute and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Aliso Viejo, CA: An AACN Critical Care Publication. 

  11. P. Goettner. (2000). Effective e-learning for healthcare. Health Management Technology, 21(12). 

  12. W. J. Berke & T. L Wiseman. (2003). The e-learning answer. Nursing Management, 34, 26-29. 

  13. S. Y. Joe, Y. M. Seo, E. K. Jeong & J. Y. Choi. (2016).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nurses in the regional trauma centers.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4(2), 53. DOI : 10.31148/kjmnr.2016.34.2.52 64-63. 

  14. The Board of Certification for Emergency Nursing. (2015). A National Role Delineation Study of the Trauma Nurse Executive Summary. The Board of Certification for Emergency Nursing. 

  15. S. Y. Joe, Y. M. Seo, E. K. Jeong & J. Y. Choi. (2016).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Nurses in the Regional Trauma Centers. Armed Forces Nursing research. 34(2), 52-68. DOI : 10.31148/kjmnr.2016.34.2.52 

  16. C. W. Park, J. Y. Ahn, K. S. Seo, J. B. Park, M. J. Lee, J. K. Kim & J. Y. Choi. (2018).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d initial management, mortality of severe traum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9(6), 624-635. 

  17. K. H. Lee. (2013). Optimal trauma care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56(9), 748-750. DOI : 10.5124/jkma.2013.56.9.748 

  18. Y. S. Son. (2009).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43-155. 

  19. H. S. Park. (2010). Kim KN. Factors affecting burnout in ICU nurse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3), 409-418. 

  20. Y. W. Woo, K. H. Kim & K. S. Kim. (2013).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1), 33-41. DOI : 10.14475/kjhpc.2013.16.1.33 

  2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1016/c2013-0-10517-x 

  22. S. Y. Joe, Y. M. Seo, E. K. Jeong & J. Y. Choi. (2016).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nurses in the regional trauma centers.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4(2), 52-68. DOI : 10.31148/kjmnr.2016.34.2.52 

  23. S. Y. Kim. (2016). A development of simul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nursing competency and education needs for nurses. Master's thesis of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H. W. Kim & E. Y. Suh. (2012). Nursing students' immer-sion experiences in a comprehensive simulation scenariousing high-fidelity human patients imulator among nursing stud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0(1), 89-99. 

  25. Y. J. Jung, Y. H. Im, T. H. Kim, M. A. Keum, D. S. Ma & K. H. Kyoung. (2012). Outcomes for employment of a trauma clinical nurse specialist in the treatment of trauma patients.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5(4), 254-260. 

  26. A. S. Kendrick, D. L. Ciraulo, T. S. Radeker, P. L. Lewis, C. M. Richart & R. A. Maxwell. (2006). Trauma nurse specialists' performance of advanced skills positively impacts surgical residency time constraints. The American Surgeon, 72(3), 224-227. DOI : 10.1097/00005373-200412000-00056 

  27. W. S. Yoon, K. H. Park, Y. S. Seo, S Y Lee & K. H. Jung. (2007). Development of the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on emergency nursing for military nursing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5(2), 1-31 

  28. C. A. Cannon, B. J. Paulanka & S. A. Beam. (1994). A statewide assessment of preferences of registered nurses desiring academic credit-bearing continu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0(4), 229-235. DOI : 10.1016/8755-7223(94)90024-8 . 

  29. J. K. Koh, M. S. Jung, M. A. Choi, Y. I. Park, K. S. Bang, J. A. Kim & H. Y. Jang. (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87-96. 

  30. Y. H. Jang, Y. S. Cho & M. S. Kwack. (2006). A study of factors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7-19 

  31. Y. I. Park, J. A. Kim, J. K. Ko, M. S. Jeong, K. S. Bang, M. A. Choi & H. A. Jang. (2013). Literature Analysis for Identifying Nursing Competencies. Korea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4), 663-674. 

  32. N. S. Ha & J. Choi. (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3), 286-294. DOI : 10.11111/jkana.2010.16.3.2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