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tent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FNP)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nursing practice items in schools of nurs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81 professors who were teaching FNP and 166 clinical nurses. The research questionnaire included 14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본간호실습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온 학점과 시수 부족, 기자재 및 시설 설비의 부족, 교과범위에 대한 기준 부재, 대학 간 교육환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대학이 사용가능한 기본간호실습 교육 내용의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제시된 실습 범위와 간호술 항목별 실습의 필요도, 우선순위와 근거 등은 향후 대학의 현실에 맞게 실습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의 기본간호학 교수 81명과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종합병원에 재직 중이거나 대학원에 재학 중인 간호사 166명을 대상으로 기본간호실습 내용의 현황과 실습 항목별 필요도를 파악하고, 교수와 간호사간 기본간호실습 필요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본간호실습 내용의 표준화 마련에 토대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기본간호 실습교육 내용의 현황과 교수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한 간호술 항목별 기본간호실습 교육의 필요도를 질문지를 통해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기본간호 실습교육 내용의 현황을 조사하고 교수와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술 항목별 기본간호실습 교육의 필요도를 파악하여 비교함으로써 기본간호실습 교육 내용의 표준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습내용 중심의 기본간호실습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며 나아가 실습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기본간호 실습 내용과 실무현장의 간호업무 내용 간의 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본간호학 교수와 실무간호사들의 기본간호실습 항목에 대한 필요도 인식과 기본간호실습 내용의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본간호실습 내용의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이 간호학생에게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본간호학은 전문직 간호의 토대가 될 기본 이론과 기술을 익히는 간호학습의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간호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실습실에서 실무 경험을 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간호 실무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Yoo, 1995). 간호학생은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을 통하여 임상실습에 대비한 간호지식을 이용한 실제적인 기술을 습득하여 임상간호 중재 능력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하게 되므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Kim, Lim, & Kim, 2003).
기본간호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기본간호학은 전문직 간호의 토대가 될 기본 이론과 기술을 익히는 간호학습의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간호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실습실에서 실무 경험을 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간호 실무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Yoo, 1995). 간호학생은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을 통하여 임상실습에 대비한 간호지식을 이용한 실제적인 기술을 습득하여 임상간호 중재 능력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하게 되므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Kim, Lim, & Kim, 2003).
기본간호실습 교육의 문제점으로 어떤 점들이 지적되고 있는가? 이러한 변화와 발전 노력에도 다음의 몇 가지 사안이 기본간호실습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교과 항목 및 수업시간 안배가 대학마다 다르고, 임상실무에서 요구하는 간호실무능력이 충분히 교육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Byeon et al., 2003-b; Yoo, 2000), 실습 공간 및 기자재의 부족과 실습교육 환경과 상황이 임상현장과 다른 점(Kang & Kong, 1997; Lee & Seo, 1998), 신규간호사의 임상간호 교육 내용과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과의 불일치 문제와 대학마다 다른 실습 방법과 내용(Byeon, 2005; Je, 1999)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최근 간호사의 임상실무 수행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임상의 요구를 반영한 기본간호실습 내용의 표준화 요구가 증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Ko, I. S., et al. (2003-a). Analysis on basic nursing content required for the clinical performance by novic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omental Nursing, 10, 427-436. 

  2.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Ko, I. S., et al. (2003-b). Clinical nursing comperency for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0, 47-56. 

  3. Byeon, Y. S., (2005).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prac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169-176. 

  4. Byun, Y. S., Won, J. S., Kim, A. K., Shin, Y. H., & Jang, H. J. (2000). Study objectives for the national qualifying exarnination and course contents of fundament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7, 97-108. 

  5. Han, M. H. (2008). Educational effects of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y on student m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5, 14-21. 

  6. Je, M. S. (1999).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6, 331-346. 

  7. Kang, K. S., & Kong, E. S. (1997). A study on the content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Focused on nursing professors and clinical deuca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83-95. 

  8. Kim, J. I., Kim, K. H., Paik, H. J., Sohng, K. Y., Eom, M. R., Oh, S. Y., et al. (2010).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st for competency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 362-370. 

  9. Kim, J. I., Lim, N. Y., & Kim, K. S. (2003). Development of standard of educational equip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BSN programs. Joura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0, 415-426. 

  10. Kim, J. Y., & Choi, E. Y. (2009).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in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 200-206. 

  11. Kim, K. H., Kang, K. S., Kim, K. S., Kim, W. O., Byun, Y. S., Sohng, K. Y., et al. (2002).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9, 7-15. 

  12. Kim, Y. H. (2010).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orectedmess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 240-248. 

  13. Lee, Y. W., & Seo, W. S. (1998). A study on the conten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650-661. 

  14. Lee, W. S., Cho, K. C., Yang, S. H., Roh, Y. S.,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 64-72. 

  15. Lim, N. Y., Sohng, K. Y., Shon, Y. H., Kim, J. I., Gu, M. O., Kim, K. H., et al. (2005). A comparison of learning objectiv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between 2000 and 2004 Yea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2, 278-283. 

  16. Park, S. N., & Lee, S. K. (2008). Factors influencing basic n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5, 6-13. 

  17. Shin, E. J. (2008).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5, 380-386. 

  18. Song, J. H., & Moon, M. J. (2008). Frequency and importance of nursing practice between novice nurses and student nurses. Jour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5, 22-33. 

  19. Song, Y. S. (2009). A correlation study on self-efficacy, disposition to critical thinking and nursing competency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 56-63. 

  20. Yoo, J. H. (1995). A study on the practical education in fundamentals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 199-211. 

  21. Yoo, M. S. (2000).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7, 60-70. 

  22.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27-3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