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 진료실적 추이에 관한 연구
The tren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use among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aged 35 years and older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21 no.4 = no.67, 2011년, pp.585 - 598  

황라일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  김경하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연구센터) ,  윤지원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  이정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use with relation to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 among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older than 35 over the last decade.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which were drawn from the "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는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의 증가 추이와 이들의 진료비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임·출산 관련 보장성 강화 정책의 대안을 제시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고령 임산부 증가 추이 및 이들의 특성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임·출산 관련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부터 2009년까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명에서 2009년 1.15명으로 감소하였고, 연간 총 출생아수 역시 1970년 100만 6,000명에서 2009년 44만 5,200명으로 50% 이상 급감하여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통계청, 2011). 출산력 저하는 생산가능연령감소에 따른 노인부양부담 가중, 경제성장속도 위축, 사회보장제도 및 인프라 확장을 위한 공공재원 조달 문제 등 국가 발전의 장애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김경하 등, 2009).
정부가 모색한 저출산 문제 대안책은 무엇인가? 한편 정부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의 일환으로 임산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건전한 출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임신출산(이하 임․출산) 관련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즉, 임산부가 건강한 태아를 분만할 수 있는 출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산전진찰에 대한 보험급여 혜택, 자연분만 본인부담 면제, 미숙아 본인부담 면제 및 임산부 출산지원금 지원 등 임․출산 관련 급여혜택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보장성 관련 정책들은 임산부의 연령, 소득, 거주지 등 대상자 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적용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건강보험 보장성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임산부 중 고위험 집단을 세분화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김경하 등, 2009).
출산력 저하는 국가 발전에 있어서 어떤 장애 요인이 되는가? 15명으로 감소하였고, 연간 총 출생아수 역시 1970년 100만 6,000명에서 2009년 44만 5,200명으로 50% 이상 급감하여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통계청, 2011). 출산력 저하는 생산가능연령감소에 따른 노인부양부담 가중, 경제성장속도 위축, 사회보장제도 및 인프라 확장을 위한 공공재원 조달 문제 등 국가 발전의 장애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김경하 등, 2009). 이러한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최근 30년 동안 여성의 교육기회 및 사회 참여 확대, 결혼연령 지연, 재혼여성 증가, 불임 치료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하여 출산 연령이 고령화되어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길기철, 이귀세라, 권지영, 박인양, 김사진, 신종철 등. 40세 이상 고령임신이 주산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주산회지 2007; 18(2): 125-130. 

  2. 김경하, 강임옥, 이정석, 황라일, 김정희, 최강희. 임출산 관련 의료이용행태 및 비용분석.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3. 김경하, 황라일, 윤지원, 김진수. 임부의 산전진찰 의료이용양상 및 진료비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009; 19(4): 53-65. 

  4. 김태은, 이순표, 박종민, 황병철, 김석영.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산모 연령이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주산회지 2009; 20(2): 146-152. 

  5. 김진형. 亞 '만혼' 보편화..한국 초혼 연령 가장 높아. 머니투데이 2011년9월15일 

  6. 박문일. 임신부 관리 현황과 문제점.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모자보건학회; 2004. 

  7. 박희수. 정부 출산장려정책과 재출산 의도에 관한 연구 - 보육시설 이용 여성을 대상으로 - (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8. 박희준, 신진호, 조현일. 임신 5명 중 1명'고위험' ${\cdot}{\cdot}{\cdot}$ 태아 생존율 높이기 비상. 세계일보 2011년 9월 13일. 

  9. 박희진, 이숙환, 차동현, 김인현, 전혜선, 이경진 등.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산과적 예후. 대한산부회지 2006; 49(10): 2066-2074. 

  10. 서경, 박문일, 김석영, 박중신, 한영자. 1995년-2000년 한국의 모성사망비 및 모성사인의 변화. 대한산부회지 2004; 47(12): 2345-2350. 

  11. 서경. 고령임신의 위험 및 바람직한 어머니의 출산 연령.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모자보건학회; 2005. 

  12. 안건우. 고령산모.싱글대디 등 '新 복지 사각층'. KTV 2010년 8월 31일. 

  13. 통계청: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2011. 

  14. Dickute J, Padaiga Z, Grabauskas V, Nadisauskiene RJ, Basys V, Gaizauskiene A. Maternal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risk of low birth weight in Lithuanua. Medicina 2004; 40 :475-482. 

  15. Jahan MK, Shafiquzzaman M, Nahar K, Rahman M, Sultana N, Rahman MM, Begum R. Outcome of pregnancy in women 35 years of age and above. Mymensingh Med J 2009; 18(1): 7-12. 

  16. Lampinen R, Vehvilainen-Julkunen K, Kankkunen P. A review of pregnancy in women over 35 years of age. Open Nurs J 2009; 6(3): 33-38. 

  17. Yang YO, Peden-McAlpine C, Chen CH.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Taiwanese women having their first baby after the age of 35 years. Midwifery 2007; 23(4): 343-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