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준능동형 실시간 Feedback 진동제어시스템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stimation of Semi-active Real-time Feedback Vibration Control System 원문보기

구조물진단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15 no.1 = no.65, 2011년, pp.85 - 94  

허광희 (건양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전준용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는 교량 구조물을 대상으로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자 준능동형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진동제어를 위한 대상 교량 구조물은 서해대교를 약 1/200 크기로 규모화 하여 설계/제작한 모형 교량 구조물을 사용하였고, 실험실 여건을 고려해 규모화 된 El-centro 지진파형으로 구조물을 가진하였다. 또한, 교량 상판 중앙지점에는 전자석이 채용된 전단형 MR 댐퍼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발생된 진동을 제어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변위계 및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응답(변위, 가속도)을 획득하였다. 이때 진동제어의 실험은 크게 비-제어, 수동 on/off 제어, Lyapunov 안정론 기반 제어 그리고, Clipped-optimal 제어조건으로 구분하여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때 진동제어의 효과는 상판 중앙지점에 대하여 각 실험방법 별 절대최대변위와 절대최대가속도 그리고, 인가전원의 소모량 등을 성능지수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진동제어실험의 결과로부터, Lyapunov 제어 및 Clipped-optimal 제어방법 모두 구조물의 발생 변위 및 가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진동제어 시 요구되는 외부 인가전원의 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 구성한 준능동형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시스템은 교량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적극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concerned to constitute a semi-active realtime feedback vibration control system and evaluate it through experiments in order to control in realtime the vibration externally generated, specially on the bridges which is structurally flexible. For the experiment of vibration control,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교량 구조물에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준능동 제어장치인 MR 댐퍼를 이용해 다양한 제어 조건 별 진동제어실험을 수행하고, 각 제어 조건 별 제어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 사용된 진동제어장치로는 직경 0.
  • 본 논문에서는 교량 구조물의 동특성을 파악하고, 이 결과로부터 상태공간방정식의 구성 행렬(A~D 행렬)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UGS사의 I-DEAS를 활용하였고, 이때 상부구조는 2D 얇은 Shell 요소, 가로보 및 주탑은 1D Beam 요소 그리고, 케이블은 1D Rod 요소를 사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진동제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 교량구조물을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이때 대상 교량구조물은 서해대교의 사장교 구간을 약 1/200 크기로 규모화 하여, 전체길이 4.
  • 본 논문에서는 준능동 제어장치인 MR댐퍼를 이용해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Lyapunov제어및 Clipped-optimal 제어알고리즘 기반의 준능동형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 각 제어방법 별 진동제어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임의의 랜덤하중(El-centro 지진파)이 부여된 모형 교량 구조물을 대상으로 진동제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조건은 비-제어, 수동 off/on 제어, Lyapunov 제어 그리고, Clipped-optimal 제어상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 여기서 진동제어실험셑은 규모화된 모형 교량구조물과 랜덤지진파형의 외부가진력, 그리고 전단형 MR 댐퍼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진동제어의 성능평가는 크게 3가지 평가지표(절대최대변위, 절대최대가속도, 소모전원 등)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 MR 댐퍼와 두 가지 제어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준능동형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은 구조물의 발생된 랜덤진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이때 진동제어 시 가진력의 진동수 성분에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진동수 성분을 갖는 가진력 및 가진방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제어 효과를 판단하는 것은 현실적인 진동제어 문제에도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며,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진동수 성분을 갖는 대표적인 랜덤 가진력(El-centro 지 진력)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상․ 하방향의 진동에 대한 제어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때, 본 논문에서 사용된 El-centro 지진력은 특정 진동의 종류 및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 아닌, 단지 모형 교량 구조물에 임의의 진동을 생성시키기 위한 목적․ 수단의 개념으로 채택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동형 제어방법의 장점은? 먼저 점탄성 댐퍼, 마찰 댐퍼, 동조질량 댐퍼 및 기초격리 시스템 등을 이용한 수동형 제어방법은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실 구조물에 적용이 용이하고, 장치가 갖는 성능범위 내에서는 높은 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진동저감을 위해 추가적인 외부전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이․ 응용되고 있다. 또한 능동질량 댐퍼, 혼성질량 댐퍼 및 능동가변강성시스템 등을 이용한 능동형 제어방법은 구조물에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하중 조건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 있고, 특히 구조물의 응답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수동형 제어방법은 제어장치의 기계적인 한계로 인해 다양한 하중조건에 충분한 대응이 어렵다는 점에서, 한편 능동형 제어방법은 초기 높은 설치비용과 경우에 따라 큰 외부전원을 요구한다는 점 등에서 효과적인 진동제어를 위해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에너지 소산을 위한 장치 중 수동형 제어방법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의 제어는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방법에 따라 크게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때 각 방법별 에너지 소산을 위한 장치(damper)가 별도로 요구된다. 먼저 점탄성 댐퍼, 마찰 댐퍼, 동조질량 댐퍼 및 기초격리 시스템 등을 이용한 수동형 제어방법은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실 구조물에 적용이 용이하고, 장치가 갖는 성능범위 내에서는 높은 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진동저감을 위해 추가적인 외부전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이․ 응용되고 있다. 또한 능동질량 댐퍼, 혼성질량 댐퍼 및 능동가변강성시스템 등을 이용한 능동형 제어방법은 구조물에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하중 조건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 있고, 특히 구조물의 응답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의 제어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의 제어는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방법에 따라 크게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때 각 방법별 에너지 소산을 위한 장치(damper)가 별도로 요구된다. 먼저 점탄성 댐퍼, 마찰 댐퍼, 동조질량 댐퍼 및 기초격리 시스템 등을 이용한 수동형 제어방법은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실 구조물에 적용이 용이하고, 장치가 갖는 성능범위 내에서는 높은 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진동저감을 위해 추가적인 외부전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이․ 응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윤경조, 박은천, 이헌재, 문석준, 민경원, 정형조, 이상현 "준능동 MR감쇠기가 설치된 실물크기 구조물의 분산제어 알고리즘 성능평가",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제18권 제2호, 2008, pp.255-262. 

  2. 허광희, 전준용, 박승범, 오성근 "MR댐퍼 및 Lyapunov제어알고리즘을 이용한 교량구조물의 실시간 진동제어",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제14권 제4호, 2010, pp.55-61. 

  3. Brogan, W. L. Modern Control Theor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991. 

  4. Dyke, S. J., Spencer, Jr. B. F., Sain, M. K. and Carlson, J. D. Modeling and Control of Magnetorheological Damper for Seismic Response Reduction,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5, August 1996, pp.565-575. 

  5. Dyke, S. J., Spencer Jr, B. F., Sain, M. K. and Carlson, J. D. "An Experimental Study of MR Dampers for Seismic Protection",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Special Issue on Large Civil Structures 7, 1998, pp.693-703. 

  6. Dyke, S, J., Caicedo, J. M., Turan, G., Bergman, L. A. and Hague, S. "Phase I Benchmark Control Problem for Seismic Response of Cable-Stayed Bridg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129, No. 7, 2003, pp.857-872. 

  7. Heo G. H., Lee W. S., Jeon J. R. and Lee D. G. "An Experimental Comparative Study of Smart Damping System for Vibration Mitigation", CANSMART 2005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Smart Materials & Structures, Tronto, Ontario, Canada, 13-14 October, 2005(a), pp.133-140. 

  8. Heo, G. H., Lee, G. and Choi, M. Y. "Magneto- Rheological fluid damper for Smart Semi-Active Control System",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Nondestructive Evaluation, 2005(b), p.234. 

  9. Jolly M. R., Bender J. W. and Carlson J. D.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Commercial Magnetorheological Fluid", Journal of Intelligent Material Systems and Structures, Vol. 10(1), 2000. 

  10. Kobori, T. "Future Direction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ismic Response Controlled Structure", Proceedings of the First World Conference on Structural Control, Los Angeles, California, Vol.1, 1994, pp.Panel:19-31. 

  11. Leitmann, G. "Semiactive Control for Vibration Attenuation", Journal of Intelligent Material System and Structures(5), 1994, pp.841-846. 

  12. Spencer Jr, B. F. "Recent Trends in Vibration Control in the U.S.A",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tion and Vibration Control, September 1-6, Chiba, Japan, Vol.II K1-K6, 1996. 

  13. Spencer Jr, B. F., Dyke, S. J. and Carlson, J. D. "Phenomenologcal Model for Magnetorheological Damper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Vol.123, No.3, 1997, pp.230-238. 

  14. Soong, T. T. Active Structural Control Theory and Practice, Lognman Scientific and Technica, Essex England,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