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아동의 생행동적 특성과 비만 위험요인
Bio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Participating in a Health Camp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4, 2011년, pp.207 - 214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추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이향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임지애 (인토토 의학연구소) ,  박지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hysiolog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obese and contr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health camp an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childhood obesity. Methods: Two hundred eighty seven child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건강캠프에 이러한 많은 수의 비만아의 참여는 일반아와의 생리적·사회 심리적·환경적·행동적 요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수의 비교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비만특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학령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에 용이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비만아와 일반아의 생리적·사회 심리적·환경적·행동적 요인의 비교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비만특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비만 관련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아동비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 아동비만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비만아와 일반아의 생리적·사회 심리적·환경적·행동적 요인의 비교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비만특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학령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비만아와 일반아의 생리적·사회 심리적·환경적·행동적 요인의 비교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비만특성을 이해하고, 학령기 아동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건강캠프에 참여한 학령기 아동의 생행동적 특성과 비만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아동비만의 단편적인 원인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건강캠프에 참여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리적·사회 심리적·환경적·행동적인 다각적 접근을 통해 학령기 아동의 비만특성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비만이란 무엇인가? 아동비만은 성인비만과 마찬가지로 체내 지방의 양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Oh, 2008). 세계적으로 아동비만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소아과학회가 공동으로 소아 및 청소년 표준성장도표를 재정하였으며 각 성별·연령별 체질량지수가 95백분위수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아동비만을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아동비만은 성인비만과 마찬가지로 체내 지방의 양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Oh, 2008). 세계적으로 아동비만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소아과학회가 공동으로 소아 및 청소년 표준성장도표를 재정하였으며 각 성별·연령별 체질량지수가 95백분위수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아동비만의 관리를 위해 어떠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가? 실제로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거쳐 체내 요구량에 비해 증가된 에너지 섭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전은 식습관, 생활습관, 사회경제적·생리적·유전적 요인들이 관여한다(Marti, Moreno-Aliaga, Hebebrand, & Martinez, 2004). 따라서 학령기 아동의 비만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학령기 시기의 비만특성과 관련 요인에 관한 통합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irleson, P. (1981). The validity of depressive disorder in childhood and the development of a self-rating scale: A research report.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2, 73-88. 

  2. Bokor, S., Frelut, M. L., Vania, A., Hadjiathanasiou, C. G., Anastasakou, M., Malecka-Tendera, E., et al. (2008).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european obese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3 Suppl 2, 3-8. doi: 10.1080/17477160802404509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Seoul: Author 

  4. Cho, Y. R. (1997).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Choi, G. S., & Jung, Y. (2008). Degree of obesity and obesity related factors in school age children. Korean Business Review, 1, 1-20. 

  6. Eagle, T. F., Gurm, R., Goldberg, C. S., DuRussel-Weston, J., Kline-Rogers, E., Palma-Davis, L., et al. (2010). Health status and behavior among middle-school children in a midwest community: What are the underpinnings of childhood obesity? American Heart Journal, 160, 1185-1189. doi: 10.1016/j.ahj.2010.09.019 

  7. Ells, L. J., Campbell, K., Lidstone, J., Kelly, S., Lang, R., & Summerbell, C. (2005).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19, 441-454. doi: 10.1016/j.beem.2005.04.008 

  8. Gibson, L. Y., Byrne, S. M., Davis, E. A., Blair, E., Jacoby, P., & Zubrick, S. R. (2007). The role of family and maternal factors in childhood obesity.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6, 591-595. 

  9.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10. Kang, S. Y., Ryu, H. S., & Cho, I. S.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obesity of senior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35-48. 

  11. Kwon, S. I., & Kwon, T. W. (2005). The relationship of obesity level to obesity stress and sociability among school childre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14, 243-253. 

  12. Lee, M. J., & Park, I. S. (2004). The relationship physical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nd adaptability at school of obese children.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7, 37-48. 

  13. Lim, H. J., Park, H. R., & Gu, H. G. (2009). Korean Survey on the Obesity of Youth and Children in 2009.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4. Marti, A., Moreno-Aliaga, M. J., Hebebrand, J., & Martinez, J. A. (2004). Genes, lifestyles and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8 Suppl 3, S29-36. doi: 10.1038/sj.ijo.0802808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Statistical Data: TV watching time. Seoul: Author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1st year). Seoul: Author.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8(2nd year). Seoul: Author. 

  18.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Division of Adolescent and School Health. (2010, June 03). Childhood obesity. Retrieved June 10, 2010, from http://www.cdc.gov/HealthyYouth/obesity/ 

  19. Oh, S. W. (2008). Editorial: Diagnostic criteria for childhood obesit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7, 188-190. 

  20. Ohzeki, T., Nakagawa, Y., & Ochiai, F. (2011). Epidemiology and diagnostic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in Japanese children. Nihon Rinsho, 69 Suppl 1, 745-751. 

  21. Park, H. S. (1999). A study about body-imag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obese children.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2, 11-18. 

  22. Park, K. H., & Kang, H. Y. (2007).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obesity, food habit and stress of obese children at a urba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2), 1-12. 

  23. Park, S. M., Kim, E. Y., Rho, Y. I., Park, S. K., Park, Y. B., Moon, K. R., et al.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pressive trend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5, 10-15. 

  24. Steinberger, J., Daniels, S. R., Eckel, R. H., Hayman, L., Lustig, R. H., McCrindle, B., et al. (2009). Progress and challenges in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therosclerosis, hypertension, and obesity in the young committee of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young; 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and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Circulation, 119, 628-647. doi: 10.1161/circulationaha.108. 191394 

  25. Swinburn, B., & Shelly, A. (2008). Effects of TV time and other sedentary pursui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 Suppl 7, S132-136. doi: 10.1038/ ijo.2008.249 

  26. Weiss, R., Dziura, J., Burgert, T. S., Tamborlane, W. V., Taksali, S. E., Yeckel, C. W., et al. (2004).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0, 2362-2374. doi: 10. 1056/NEJMoa031049 

  27. Wieting, J. M. (2008). Cause and effect in childhood obesity: Solutions for a national epidemic. Journal of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108, 545-552.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9).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Geneva: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