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A Study on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7 no.2, 2011년, pp.81 - 86  

황은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강지숙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in hospital nurses. Methods: At 2 hospitals in affiliation of university, after obtaining participant's consent form,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7. Twohundr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는 교대근무를 하는 대표적 직종으로 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문제는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을 저하시키며 이는 환자에 대한 간호의 질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근무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형태, 주간수면과다증 및 직무몰입을 확인하고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학병원 근무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 및 직무몰입을 확인하고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근무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 및 직무몰입을 확인하고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이러한 수면의 문제와 직무몰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형태와 수면의 질로써 주간수면과다증 및 직무몰입을 확인하고,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병원간호현장에서 간호사의 질 높은 간호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80으로 계산하여 각 그룹당 최소 표본수 64명씩 총 128명이 산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 소재 대학부속병원 2군데의 근무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기관에 전화로 의뢰하여 기관장의 동의를 얻고 연구자와 교육받은 연구보조자가 병원근무간호사를 근무지에 직접 방문하여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서면동의를 받은 후 자가 보고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11일에서 11월 20일까지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체 사업장의 19.6%가 교대근무를 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데 교대 근무자의 비율을 미국과 비교하면 어떠한가? 6%가 교대근무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inistry of Labor, 2004). 이는 전체 근로자의 16%가 교대 근무자인 것으로 나타난 미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근무 환경 중 특히 교대근무는 불면증과 과도한 주간 졸림증과 같은 수면문제의 가장 잘 알려진 원인 중 하나이다(Maurice, Patrick, Veronique,& Martine, 2002).
우리나라 전체 사업장 중 교대근무의 비중은? 오늘날 산업의 발달로 인해 노동 효율성 측면에서 3교대 혹은 2교대의 근무형태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사업장의 19.6%가 교대근무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inistry of Labor, 2004). 이는 전체 근로자의 16%가 교대 근무자인 것으로 나타난 미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문제가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은? 근로자의 근무 환경 중 특히 교대근무는 불면증과 과도한 주간 졸림증과 같은 수면문제의 가장 잘 알려진 원인 중 하나이다(Maurice, Patrick, Veronique,& Martine, 2002). 이러한 수면문제는 정상적인 수면/각성 주기의 파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리적 기능의 변화,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의 문제, 가정생활과 사회 활동의 문제, 직무상 효율성의 감퇴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Bae, & Jeong 2003; Christopher, Timothy, Gary, James, & Thomas, 2004). 간호사는 24시간 환자의 건강을 위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교대근무 직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1997).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 diagnostic and coding manual (Rev. ed.). Rochester. 

  2. Bae, J. H., & Jeong, J. H. (2003). Combined effects of individual background, workshift and job stress on the prevalence of sleep problems in hospital employ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4, 232-244. 

  3. Cho, K. S. (1991). Occupational health. Seoul: Soomoonsa. 

  4. Choi, H. J. (2008). Comparison of health conditions, sleeping condi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job between nurses working only during day and those working in shi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5. Christopher, L. D., Timothy, R., Gary, R., James, K. W., & Thomas, R. P. (2004). Shift work sleep disorder: Prevalence and consequences beyond that of symptomatic day workers. Sleep, 27, 1453-1462. 

  6. Costa, G., Ghirlanda, G., & Minors, D. (1994). Waterhouse J. evaluation of rapidly rotating shift system for tolerance of nurses to night worker.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65, 305-311. 

  7. Escriba. V., Perez-Hoyos, S., & Bolumer, F. (1992). Shiftwork: It's impact on the length and sleep among nurses of Valencian region in Spain.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64(2), 125-129. 

  8. Fitzpatrick, J. M. (1999). Shift work and its impact upon nurse performance current knowledge and research issu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1), 18-27. 

  9. Herdis, S. (2006). Self-assessed quality of sleep, occupational health, working environment, illness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female nurses working different combination of shift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 229-237. 

  10. Johns, M. W. (1991).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4, 540-545. 

  11. Joo, S. J., Shin, C., Kim, J. K., Yi, H. R., Ahnm, Y. K., Park, M. K., et al. (2005).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 59(4), 433-440. 

  12. Kanungo, R. N. (1981). Work alienation and involvement: Problems and Prospects.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Psychology, 30, 1-15. 

  13. Khaleque, A., & Siddique, A. B. (1984).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hift work. In: Atwood D. A., McCann C. (ed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gress. Occupational Ergonomics. 

  14. Kim, J. A.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s' reward fit and job involvement? organization involvement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im, Y. G., Yoon, D. Y., Kim, J. I., Chea, C. H., Hong, Y. S., Yang, C. G,. et al. (2002). Effect of health on shiftwork: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4, 247-256. 

  16. Kryger, M. H., Roth, T., & Carskadon, M. (1994). Circadian rhythms in humans: An overview.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p. 301-308).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17. Kwon, G. J. (2005). A study on shift work nurses' sleeping pattern according to their fatigue level and working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Lee, J. T., Lee, K. J., Park, J. B., Lee, K. W., & Jang, K. Y. (2007).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 223-230. 

  19. Lee, S. J. (2001). Comparison of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fixed night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odahl, T. M., & Keiner, M. (1985).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job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9, 24-33. 

  21. Maurice, M. O., Patrick, L., Veronique, A., & Martine, D. (2002).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sleep disorders in a shift worker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3, 577-583. 

  22. Mowday, R. T., Steer, R. M., & Porter, L. W. (1979).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24-247. 

  23. Park, Y. N., Yang, H. K., Kim, H. I., & Cho, Y. C. (2007).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problems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37-47. 

  24. Park, Y. S. (2004). A study of health status of nurses on night shift and nurses on day shi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5. Seo, Y. S., & Kim, Y. C. (200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Business Education, 12, 151-172. 

  26. Serife, K. (2008). Sleep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urkish nurses. Nursing Outlook, 56(6), 298-307. 

  27. Shin, K. R., Yi, H. R., Kim, J. Y., & Shin, C. (2006).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aytime sleepines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829-836. 

  28. Son, M. A. (2005). What is the origin of inequalities in work and health.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8, 241-251. 

  29. The Ministry of Labor. (2004). Working environ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62-86. 

  30. Zorick, F. (1994). Insomnia.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p. 483-485).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