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대학병원 간호사의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3, 2011년, pp.229 - 237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박영례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The self-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교대군과 비교대군별 수면 질, 피로 및 우울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질과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건강증진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근무형태별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간호사의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를 비교해 보고 나아가 근무형태별 수면 질, 피로, 우울과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간호사의 수면 질과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비교대군에 비해 교대군의 수면 질은 낮은 반면 피로와 우울은 높았고, 건강증진 행위 수준은 교대군이 훨씬 낮게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형태에 따른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 비율이 높으면서 업무강도도 높은 대학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토대로(Pappas et al., 2005; Ratner & Sawatzky, 2009; Shen et al., 2006; Sim, 2010) 이들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수면 질, 피로, 우울을 중심으로 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대근무의 특징은? 교대근무는 그 형태가 어떻든 간에 불가피하게 생체리듬을 교란시켜, 불규칙한 수면양상을 갖게 하고, 자야 할 시간에 수면을 방해하여 잠을 자더라도 개운하지가 않아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Niu et al, 2011; Shen et al., 2006).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형태에 따른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교대군과 비교대군별 일반적 특성 및 수면 질, 피로, 우울, 건강 증진 행위 수준을 파악한다. 2) 교대군과 비교대군 간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3) 교대군과 비교대군별 수면 질, 피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한다. 4) 교대군과 비교대군별 수면 질, 피로 및 우울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피로란? 피로는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전반적으로 기운이 없는 상태로, 피로 자체가 질병은 아니지만 건강상태의 변화에 대한 일종의 경고반응으로서, 만성적 피로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므로(Lee et al., 2004) 무엇보다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New York. 

  2. Byeon, Y. S. (2005). The effects of 2 or 3 shiμ rotation on the fatigue and sleep.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7(2), 5-11. 

  3. Desai, H. D., & Jann, M. W. (2000). Major depression in wome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merian Pharmacology Association, 40, 525-537. 

  4. Edell-Gustafsson, U. M., Kritz, E. I. K., & Bogren, I. K. (2002).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6, 179-187. 

  5. Kim, H. S., Choi, K. S., Eom, M., & Joo, E. J. (2011). Role of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on sleep quality of shiμ work nurses.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2, 96-104. 

  6. Kim, S. M., Jang, I. S., Oh, J. Y., & No, Y. K. (1996). The behavioral aspect for health promotion study by smoking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7, 400-407. 

  7. Kim, S. S., Park, J. S., & Roh, Y. S. (2005). Th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heatl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 88-99. 

  8. Ko, H. J., Kim, M. Y., Kwon, Y. S., Kim, C.N., Park, K. M., Park, J. S., et al. (2004). The fatigue experience of shiμ work nurse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 103-118. 

  9.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3, 2010). 

  10. Lee, J. I., Park, S. H., Moon, J. M., Park, K. A., Kim, K. O., Jeong, H. J., et al. (2004).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 317-326. 

  11. Lee, J. T., Lee, K. J., Park, J. B., Lee, K. W., & Jang, K. Y. (2007). The relation between shiμ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rironmental Medicine, 19, 223-230. 

  12. Lee, W. H., & Kim, C.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25-932. 

  13. Nam, J. J., & Choi, E. J. (2000). Korean women's health and policy based on nationwide survey on health and nutrition. Paper presented at the Second Symposium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Seoul. 

  14. Niu, S. F., Chung, M. H., Chen, D. H., Hegney, D., O'Brien, A., & Chou, K. R. (2011). The effect of shiμ rotation on employee cortisol profile, sleep quality, fatigue, and attention level: a systemic review.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 68-81. 

  15. Noh, T. Y. (1997). A Study on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es,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7.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63-572. 

  18. Pappas, N. A., Alamanos, Y., & Dimoliatis, I. D. (2005). Self-rated health, work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among nurses in Greece: a cross-sectional study. BMC Nursing, 4(8), 1-8. 

  19. Park, Y. N., Yang, H. K., Kim, H. L., & Cho, Y. C. (2007).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problems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37-47. 

  20. Ratner, P. A., & Sawatzky, R. (2009).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orts, 20(3), 1-9. 

  21. Rhee, M. K., Lee, Y. H., Park, S. H., Sohn, C. H., Chung, Y. C., Hong, S. K., et al. (1995).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1-Korean version (K-BDI) :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4, 77-95. 

  22. Scott, A. J., Monk, T. H., & Brink, L. L. (1997). Shift work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A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3(3), 2-9. 

  23. Shen, J., Botly, L. C., Chung, S. A., Gibbs, A. L., Sabanadzovic, S., & Shapiro, C. M. (2006). Fatigue and shiμ work. Journal of Sleep Research, 15, 1-5. 

  24. Sim, M. R. (2010). A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its a?ecting factors of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5. So, H. Y., Yoon, H. S., & Cho, Y. C. (2008). Effects of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for fatigue symptoms of nurses in an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513-525. 

  26. Takashi, O., Amn, K., Tomofumi, S., Toshihiro, I., Macoto, U., Masumi, M., et al. (2001). Night shift work related problem in Young female nurse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3, 150-156. 

  27. Yeun, E. J., Kim, H. J., & Jeon, M. S. (2011).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198-208. 

  28. Yuan, S. D., Chou, M. C., Chen, C. J., Lin, Y. J., Chen, M. C., & Liu, H. H. (2011). Influences of shift work on fatigue among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9, 339-345. 

  29. Wilson, D. M., & Ciliska, D. (1984). Lifestyle assessment: Development and use of the FANT ASTIC checklist. Cancer Family Physician, 30, 1527-1530. 

  30. Winwood, P. C., Winefield, A. H., & Lushington, K. (2006). Work-related fatigue and recovery: The contribution of age, domestic responsibilities and shift 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 438-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