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Nei-Guan (P6)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7 no.2, 2011년, pp.96 - 102  

유제복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회복실 파트) ,  장희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나은희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회복실) ,  김선영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회복실) ,  신동수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 후 경막외 자가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노인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내관지압의 오심·구토의 감소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후 경막외 자가 통증 조절기를 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관(P6)지압이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설계를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경막 외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노인 환자에게 적용한 내관(P6)지압이 오심,구토의 감소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PCEA를 사용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슬관절 전치환술 후 회복실에서 내관(P6)지압을 제공한 후 오심, 구토 및 통증의 효과를 비교하여, 오심, 구토와 통증으로 인한 환자들의 고통과 불편감을 최소화하여,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돕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내관(P6)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12시간 시점에서 오심 정도가 낮을 것이다.
  • 2) 제2가설: 내관(P6)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24시간 시점에서 오심 정도가 낮을 것이다.
  • 3) 제3가설: 내관(P6)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12시간 시점에서 구토 정도가 낮을 것이다.
  • 4) 제4가설: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24시간 시점에 구토 정도가 낮을 것이다.
  • 5) 제5가설: 내관(P6)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이 낮을 것이다.
  • 가설 4 “내관(P6)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24시간 시점에서 구토 정도가 낮을 것이다”도 지지되었다.
  • 가설3 “내관(P6)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12시간 시점에서구토 정도가 낮을 것이다” 와 가설 4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24시간 시점에 구토 정도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슬관절 전치환술은 무엇인가?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은 보존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통증과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는 환자에게 관절 질환을 치료하는 주요한 수술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통증(Park, 2008)이 있으며 수술 후 발생하는 흔한 합병증의 하나는 오심과 구토이다(Hwang, Yang, Hahm,&Leem, 2004).
수술후의 오심과 구토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수술후의 오심과 구토는 환자에게 심한 고통과 불쾌감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다양한 처치에도 불구하고 발생빈도는 약 20-30%를 보이며 환자의 성별, 오심, 구토의 과거력, 마취기법 및 시간, 수술 후 통증의 유무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Lee, 2003). 이와 같이 수술 후의 오심,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항스타민제, 항콜린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와 Type 3 serotonin (5-HT3) receptor 길항제를 사용하는데 그중 온단세트론(Ondansetron)은 오심과 구토를 억제하는 약물로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작용으로 두통, 간 효소치의 경미한 상승 등이 있으며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다(Park et al.
수술후의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단세트론은 무슨 단점을 가지고 있기에 이를 대신하여 지압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가? 수술후의 오심과 구토는 환자에게 심한 고통과 불쾌감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다양한 처치에도 불구하고 발생빈도는 약 20-30%를 보이며 환자의 성별, 오심, 구토의 과거력, 마취기법 및 시간, 수술 후 통증의 유무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Lee, 2003). 이와 같이 수술 후의 오심,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항스타민제, 항콜린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와 Type 3 serotonin (5-HT3) receptor 길항제를 사용하는데 그중 온단세트론(Ondansetron)은 오심과 구토를 억제하는 약물로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작용으로 두통, 간 효소치의 경미한 상승 등이 있으며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다(Park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idah, A., Karin, E., Vivi-Ann, J., Lilli, O., & Sigga, K. (2002). P6 acupressure may relieve nausea and vomiting after gynecological surgery : an effectiveness study in 410 women. Canadian Journal of Anesthesia, 49, 1037-1039. 

  2. Al-Said, M., Newman, B., & Julious, S. A. (1997). Acupuncture i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52, 659-661.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dale: Lau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Introduction to oriental nursing. Seoul: Soomoonsa. 

  5. Ham, T. S., & Oh, Y. S. (1999). Pain treatment after surgery. Seoul: Euihak. 

  6. Hwang, B. M., Yang, H .S., Hahm, K. D., & Leem, J. G. (2004). The effect of the granisetron and ramosetron o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during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with fentanyl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Korean Journal of Pain, 17, 222-227. 

  7. Ju, I. Y. (2010). Effects of Kyunghyul acupressure massage ot release pain from patients with lumbago.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8. Kim, D. W. (1999). Acu-moxa royal ide I. Seoul: Sung Han & Kim. Inc. 

  9. Kim, N .C., Yoo, J. B., Cho, M. S., Shin, E. J., & Hahm, T. S. (2010). Effects of Nei-Guan(P6) ac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s-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23-432. 

  10. Kim, M. S., Lee, S. Y., Kim, J. S., Min, S. K., Park, Y. D., & Park, H. J. (2007). The effect of ondansetron or dolasetron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53, 624-629. 

  11. Kim, Y. J., Kim, J. Y., Choi, I. R., Kim, M. Y., & Rhodes, V. (2000).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Korean translatio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2, 278-285. 

  12. Kim, Y. J. (2003). Effects of the nei-guan(P6) acupressure on chemotherapy-related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o, G. S. (1993). Introduction of acupuncture on spots, Seoul: CheongMoonsa. 

  14.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2). English-Korean Mosby's medical, nursing & allied health dictionary (6th ed). Seoul: Hyunmoonsa. 

  15. Kovuranta, M., Laara, L., Snare, L., & Alahuhta, S. (1997). A survey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52, 443-449. 

  16. Kwon, J. H. (2011). Effects of Nei-Guan(P6) accupressure wristband on the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for female thyroidectom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7. Lee, K. H. (2002).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chemotherapy- related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M. Y. (2008). Effects of Nei-Guan(P6) accupressure using wrist band for nausea & vomiting after middle ear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 A University, Busan. 

  19. Lee, P. B. (2003). About non-invasive and non-pharmacoogical treatment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mastoidectomy with tympanopl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20. Lee, Y. Y. (2006). Prediction model on causing factors for the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1. Ming, J. L., Kuo, Bi., Lin, J. G., & Lin, L. C. (2002). The efficacy of acupressure to prevent nausea and vomiting in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9, 343-351. 

  22. Park, J. H., Kwon, M. A., Koo, M. S., Kim, Y. I., Kim, S. I., Kim, S. C., et al. (2006). The effects of the preoperative education about analgesics an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on the consumption of analgesics after oper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51, 715-719. 

  23. Park, S. H. (2008). Effect of the comfort-functional pain goal on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unilateral total knee replac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Seoul. 

  24. Rhodes, V. A., & McDaniel, R. W. (1999).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ogy Nursing Forum, 26, 889-893. 

  25. Rhodes, V. A., Watson, P. M., & Johnson, M. H. (1984). Development of reliable and vaild measures of nausea and vomiting. Cancer Nursing, 7(1), 33-41. 

  26. Song, M. S., & Shin, G. Y. (1988). Encouraging chilled oral flui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emesis and decreased fluid intake during cancer chemotherapy.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3(1), 1-10. 

  27. Shin, C. H. (2004). The effect of PCA education and P6 acupressure on post 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of hysterectomy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8. Shin, M. S. (2002). Effect of acupressure on nausea and vomiting during chemotherapy in postoperative stomach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9. Woo, J. S. (2007). Postoperative pain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pain man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pain control for elderly operativ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hin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