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음처리에 따른 가시나무 1년생 용기묘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1-Year-Old Containerized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by Shading Treatment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0 no.4, 2011년, pp.373 - 381  

송기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성환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차영근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김종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피음처리에 따른 1년생 가시나무 용기묘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는데, 피음처리는 전광 및 전광의 35%, 55%, 75%의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가시나무의 간장과 근원경생장은 35%와 55% 피음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피음처리와 상관없이 근원경생장이 간장생장 보다 4주 정도 더 길게 지속되었다. 피음처리 후 가장 높은 H/D율은 4.31을 기록한 35% 피음이었으며 가장 낮은 값은 3.63을 기록한 75% 피음이었다. 또한 피음처리후 가장 높은 건물생산량은 55% 피음, 그 다음으로는 35% 피음이었는데, 부위별로도 이 두 피음수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R율은 75% 피음에서 1.7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55%에서 2.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5%에서는 2.38로 조사되었다. Leaf dry weight ratio(LWR)의 경우, 피음처리 후 가장 높은 값은 55% 피음의 0.53, 다음은 35%의 0.52이었으며, root dry weight ratio(RWR)은 피음수준이 가장 높은 75%에서 0.3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음이 강해질수록 엽록소 a 함량과 총 엽록소(a + b)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엽록소 b의 경우에는 피음처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광합성률과 증산율은 전광에 비해 피음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가장 높은 피음인 75%보다는 35% 및 55% 피음에서 더 높았다. 본 실험에서 피음처리에 따른 광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생육한 묘목들이 보인 생장과 광합성 반응 결과는 적정 생육광도를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내음성 정도를 추정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shading treatment of 1-year-old containerized seedling of Quercus myrsinaefolia. Experimental process was conducted in a facility that consisted of compartments under the lighting control with full sunlight and sha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피음처리가 가시나무 용기묘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또한 앞으로 가시나무의 용기묘 생산과정에 적용시켜야 할 기술 구축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피음처리에 따른 1년생 가시나무 용기묘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는데, 피음처리는 전광 및 전광의 35%, 55%, 75%의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가시나무의 간장과 근원경생장은 35%와 55% 피음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피음처리와 상관없이 근원경생장이 간장생장 보다 4주 정도 더 길게 지속되었다.
  • Kim(2010)은 난대림 복원과 인공조림에 사용된 동일 규격의 노지묘라 하더라도 식재후 개체간의 생장차가 대단히 큰 것으로 보고했으며, 이는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의 유전자 공급원이 빈약한 까닭으로 수형목 선발에 의한 난대수종 전용의 채종원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하지만 채종원 완성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시설양묘를 통한 충실한 용기묘 대량생산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현재 난대 상록활엽수 조림현장에서 용기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시나무를 비롯한 이들 수종의 용기묘 생산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나무란? 상록성 참나무속 수목인 가시나무는 종가시나무와 함께 현재 우리나라 난대 상록활엽수종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 난대지역 복원 및 인공조림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식재되고 있는 수종이다. 현재는 주로 노지묘 형태로 식재되고 있으나 낮은 활착률 등으로 인하여 용기묘로의 조림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이다(Kim 등, 2006; Kim, 2010).
수형목 선발에 의한 난대수종 전용의 채종원의 설치가 지닌 문제점은? Kim(2010)은 난대림 복원과 인공조림에 사용된 동일 규격의 노지묘라 하더라도 식재후 개체간의 생장차가 대단히 큰 것으로 보고했으며, 이는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의 유전자 공급원이 빈약한 까닭으로 수형목 선발에 의한 난대수종 전용의 채종원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하지만 채종원 완성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시설양묘를 통한 충실한 용기묘 대량생산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현재 난대 상록활엽수 조림현장에서 용기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시나무를 비롯한 이들 수종의 용기묘 생산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난대 상록활엽수종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은? 상록성 참나무속 수목인 가시나무는 종가시나무와 함께 현재 우리나라 난대 상록활엽수종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 난대지역 복원 및 인공조림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식재되고 있는 수종이다. 현재는 주로 노지묘 형태로 식재되고 있으나 낮은 활착률 등으로 인하여 용기묘로의 조림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이다(Kim 등, 2006;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rnon, D.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ula vulgaris. Plant Physiology 24:1-15. 

  2. Choi, J.H., S.G. Hong, and J.J. Kim. 1998. Growth and critical light intensity at cotyledon stage of Cornus controversa Hemsl. seedling. Jour. Korean For. Soc. 87(3):493-500(in Korean). 

  3. Choi, J.H., S.G. Hong, and J.J. Kim. 2000.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of 1-year-old Cornus controversa Hemsl. seedlings. J. Kor. For. En. 19(1):20-29(in Korean). 

  4. Choo, N.H. 2009. Production technology of container seedlings of warm-temperate reforestation species. 5th Tech. Seminar of Korean Society of Container Nursery Research. Seoul. Korea. pp. 9-17(in Korean). 

  5. Cornelissen, J.H.C., P.C. Diez, and R. Hunt. 1996. Seedling growth, allocation and leaf attributes in a wide range of woody plant species and types. J. of Ecology 84:755-765. 

  6. Dickson, A., A.L. Leaf, and J.F. Hosner. 1960. Quality appraisal of white spruce and white pine seedling stock in nurseries. Forestry Chronicle 36:10-13. 

  7. Faria, T., J.I. Garcia-Plazaola, A. Abadia, S. Cerasoli, J.S. Pereira, and M.M. Chaves. 1996. Diurnal changes in photoprotective mechanism in leaves of cork oak (Quercus suber) during summer. Tree Physiology 16:115-123. 

  8. Gottschalk, K.W. 1994. Shade, leaf growth and crown development of Quercus rubra, Quercus velutina, Prunus serotina and Acer rubrum seedlings. Tree Physiology 14:735-749. 

  9. Gleeson, S.K. 1993. Optimization of tissue nitrogen and root-shoot allocation. Ann. Bot. 71:23-31. 

  10. Groninger, J.W., J.R. Seiler, J.A. Peterson, and R.E. Kreh. 1996. Growth and photosynthesis responses of four Virginia Piedmont tree species to shade. Tree Physiology 16:773-778. 

  11. Haase, D. 2007. Understanding forest seedling quality : Measurements and interpretation. Tree Planter's Notes 52(1):24-30. 

  12. Han, J.G., S.G. Son, S.H. Kim, C.S. Kim, S.I. Hwang, and K.O. Byun. 2008. Photosynthesis, chlorophyll contents and leaf characteristics of Ilex rotunda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 Plant Res. 21(4):299-303(in Korean). 

  13. Hiscox, J.D. and G.F. Israelstam. 1979.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Can. J. Bot. 57:1332-1334. 

  14. Hong, S.G., JJ. Kim, and H.T. Im. 2000.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of th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for urban forest aromatic bath. Jour. Korean For. Soc. 89(5):585-590(in Korean). 

  15. Johnson, F., J. Paterson, G. Leeder, C. Mansfield, F. Pinto, and S. Watson. 1996. Artificial regeneration of Ontario's forest: species and stock selection manual. Forest Research Information Paper No. 131. Ontario. p. 51. 

  16. Jones, R.H. and K.W. McLeod. 1990. Growth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to a range of light environments in Chinese tallow tree and Carolina ash seedlings. For. Sci. 36:851-862. 

  17. Kim, C.Y. 2010. Cultivating the seedlings in greenhouse for evergreen broad-leaved target species and artificial regeneration in warm-temperate forests. PhD Diss., Chonnam National Univ. p. 117(in Korean). 

  18. Kim, J.J. 2000. Studies on optimum shading for seedling cultivation of Cornus controversa and C. walteri. Jour. Korean For. Soc. 89(5):591-597(in Korean). 

  19. Kim, J.J. 2010. Production plan of container seedling of warm-temperate tree species. J. of Korean Tree Nursery Assoc. 38:27-38(in Korean). 

  20. Kim, J.J., T.S. Yoon, H.K. Cho, and K.H. Song. 2006. Studies on efficient reforestation pla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growth of bare root and container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Korea Forest Service. p. 89-112(in Korean). 

  21. Kim, P.G. and E.J. Lee. 2001.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2: adapt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to changing environment.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3):171-176(in Korean). 

  22. Kim, P.G., Y.S. Lee, D.J. Chung, S.Y. Woo, J.H. Sung, and E.J. Lee. 2001.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shade tolerant and intolerant tree species. Jour. Korean For. Soc. 90(4):476-487(in Korean). 

  23. Kim, S.H., J.H. Sung, Y.K. Kim, and P.G. Kim. 2008. Photosynthetic responses of four oak species to changes in light environment.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141-148(in Korean). 

  24. Kim, S.H. and Y.J. Kim. 1997. Effects of mulching and shading treatment on growth of Dendropanax morbifera seedlings. Res. Rep. For. Gen. Res. Inst. Korea. 33:112-118(in Korean). 

  25. Kim, Y.H., J.S. Kim, and B.S. So. 2006. Analyzing Performance of reforestation by container seedling and direct seeding of warm-temperate tree species. Western Regional Forest Service, KFS. p. 3-21(in Korean). 

  26. Kwon, K.W., S.A. Kim, and D.K. Lee. 1996.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chlorophyll contents in the leaves of several species of conifers and hardwoods subjected to artificial shading treatment. Research Report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4:42-49(in Korean). 

  27.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J.H. Shin.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 fir in Mt. Halla. Jour. Korean For. Soc. 95(6):705-710(in Korean). 

  28. Norio, M. 1985. Effect of shading on the growth of Quercus mongolica var. grosserrata seedlings. J. Jpn. For. Soc. 96:369-370. 

  29. Park, B.B., J.K. Byun, W.S. Kim, and J.H. Sung. 2010. Growth and tissue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ings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t a nursery culture. Jour. Korean For. Soc. 99(1):85-95(in Korean). 

  30. Reynolds, J.F. and J.H.M. Thornley. 1982. A shoot : root partitioning model. Ann. Bot. 49:585-597. 

  31. Roller, K.J. 1976. Field performance of container-grown Norway and black spruce seedlings. Can. For. Serv. Dept. Environ. Inf. Rep. M-X-64. p. 17. 

  32. Schlichting, C.D. 1986. The evolution of phenotypic plasticity in plants. Annu. Rev. Ecol. Syst. 17:667-693. 

  33. Shin, H.C., N.C. Park, and J.H. Hwang. 2006. Warmtemperate tree species in Korea. KFRI, Korea. pp. 26-37(in Korean). 

  34. Shin, H.C., S.M. Choi, K.S. Lee, D.H. Kim, E.J. Bae, S.W. Chung. 2011. Impact o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4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ved when growing different light shading conditions. Proceedings of 2011 Annual Meeting of Korean Forest Society. Gyeongju, Korea. pp. 84-88(in Korean). 

  35. Strothmann, R.O. 1967. The influence of light and moisture on the growth of red pine seedlings in Minnesota. For. Sci. 13:182-191. 

  36. Thompson, B.E. 1985. Seedling morphological evaluation - what you can tell by looking. In : Proceedings, Evaluation seedling quality: principles, procedures, and predictive abilities of major tests. Durvea, M.L. (ed.). Forest Research Lab., Oregon State Univ., Corvallis. pp. 59-71. 

  37. Walters, M.B., P.B. Kruger, and P.B. Reich. 1993. Growth, biomass distribution and $CO_2$ exchange of northern hardwood seedlings in high and low light. : relationships with successional status and shade tolerance. Oecologia 94:7-16. 

  38. Wang, R.Z. 2001.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hoots of grassland species from north-eastern China. Photosynthetica 39(4):569-573. 

  39. Yeo, W.S. 2005. Natural regeneration patterns and strategies of Quercus acuta in Wando, Korea. PhD. Diss., Seoul National Univ. p. 106(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