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의 비교 및 개선 방안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8 no.3, 2011년, pp.57 - 65  

이수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인문사회의학전공) ,  최은혜라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제민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한흥식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  박병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  김성수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1) to improve the previously developed KHLAT(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by testing two versions of KHLAT and 2) to develop guidelines to the grade range for KHLAT. Methods: The two versions of KHLAT(2) KHLAT(4)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from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Kim 등(2005)이 개발한 KHLAT를 수정⋅보완하여 한국인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을 파악하는 데 이용하고자 한다.
  • 이 때 Kim 등 (2005)은 REALM에서 사용되고 있는 66개의 단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였으며, 이중 한국의 문화적 상황에 맞지 않는 몇몇 단어는 부분적으로 수정하거나 다른 단어로 대치하였다. 또한 측정방법에 있어서도 미국과는 달리 KHLAT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 단어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었다. 왜냐하면 한글의 특성상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뜻은 몰라도 글자를 읽는 데는 어려움이 없어, REALM에서와 같이 소리를 내어 읽게 함으로써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Kim et al.
  • 또한 기존의 KHLAT(2)와 수정⋅보완한 KHLAT(4)를 이용해 학생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각각 측정한 뒤, 각 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각 학년별 평균을 REALM의 4가지 학년범위와 한국 학제에 따른 학년범위로 구분하여 한국형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보건교육분야 연구자들에게 한국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알려 효과적인 보건교육 캠페인을 계획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HLAT)의 개선 방안을 연구한 것으로, 부산지역 초 ⋅ 중 ⋅ 고등학생 26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KHLAT(2)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각각 3명으로 이루어진 포커스 그룹(focus group)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학생들은 의료용어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응답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 본 연구에서는 Kim 등(2005)이 개발한 한국형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도구(KHLAT)에서 나타난 응답척도의 정확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또한 기존의 KHLAT(2)와 수정⋅보완한 KHLAT(4)를 이용해 학생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각각 측정한 뒤, 각 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건강에 어떻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가? 국외 연구들은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건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국외 연구에 의하면, 건강정보이해능력1)이 부족한 사람들은 의료 정보를 오해하기 쉽고, 의료지시를 이행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Davis et al., 2006; Friedman, Hoffman-Goetz, & Arocha, 2006). 게다가 기초적인 의료지식을 얻고 이해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어 건강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적절하게 내리지 못한다(Seldon et al., 2000). 또한 이들은 의료지식의 부족으로 의료서비스를 부적절하게 이용하거나, 지나치게 자주 이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들은 결국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이 되며, 수명 역시 짧아지는 것으로 파악된다(Baker et al., 2007; Gazmararian et al., 1999; Sudore et al., 2006; Wolf, Gazmararian, & Baker, 2005). 그 뿐 아니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잦은 입원과 장기간의 입원 등으로 인해 의료비용을 상대적으로 많이 지불하고 있으며, 만성질병 관리에도 취약한 것으로 보고된다(Weiss & Palmer, 2004).
미국에서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도구가 널리 사용하고 있는가? 이에 Kim, Kim과 Lee (2005)는 한국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에서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HLAT)를 개발한 뒤, 일반인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였다. Kim 등(2005)은 미국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REAL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에 근거하여 한국형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도구(KHLAT)를 개발하였다. 이 때 Kim 등 (2005)은 REALM에서 사용되고 있는 66개의 단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였으며, 이중 한국의 문화적 상황에 맞지 않는 몇몇 단어는 부분적으로 수정하거나 다른 단어로 대치하였다.
2008년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무엇이라고 발표하였는가? 지난 2008년,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위원회(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SDH)’가 발표한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건강정보이해능력 (Health literacy)은 건강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국가들에게 건강정보이해능력의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 활동들을 모니터하고 조정할 수 있는 복합이해당사자(multi-stakeholder)간의 협의회 설립을 권고하였다(CSDH,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ker, D. W., Wolf, M. S., Feinglass, J., Thompson, J. A., Gazmararian, J. A., & Huang, J. (2007).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4), 1503-1509. 

  2. CSDH. (2008).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3. Cutilli, C. C. (2005). Do your patients understand? Determining your patients' health literacy skills. Orthopedic Nursing, 24, 372-377. 

  4. Davis, T. C., Bocchini, J. A. Jr., Fredrickson, D., Arnold, C., Mayeaux, E. J., Murphy, P. W., ... Paterson, M. (1996). Parent comprehension of polio vaccine information pamphlets. Pediatrics, 97(6 Pt 1), 804-810. 

  5. Davis, T. C., Crouch, M. A., Long, S. W., Jackson, R. H., Bates, P., George, R. B., & Bairnsfather, L. E. (1991). Rapid assessment of literacy levels of adult primary care patients. Family medicine, 23(6), 433-435. 

  6. Davis, T. C., Wolf, M. S., Bass, P. F. 3rd., Middlebrooks, M., Kennen, E., Baker, D. W., ... Parker, R. M. (2006). Low literacy impairs comprehension of prescription drug warning labe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8), 847-851. 

  7. Friedman, D. B., Hoffman-Goetz, L., & Arocha, J. F. (2006). Health literacy and the World Wide Web: Comparing the readability of leading incident cancers on the Internet. Medical Informatics and the Internet in Medicine, 31(1), 67-87. 

  8. Gazmararian, J. A., Baker, D. W., Williams, M. V., Parker, R. M., Scott, T. L., Green, D. C., ... Koplan, J. P. (1999). Health literacy among medicare enrollees in a managed care organiz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6), 545-551. 

  9. Kickbusch, I. S. (2001). Health literacy: addressing the health and education divid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6(3), 289-297. 

  10. Kim, J. E. (2011).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1), 27-34. 

  11. Kim, K. H. (2003). Verifying the range of vocabulary L1 education (in Korean). Seoul: Pagijong Press. 

  12.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13.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15-227. 

  14. Kim, T. K., Lee, P. Y., & Chang, K. H. (2006). The relation between age/gender and MLU in Kore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anguage & Liferature, 38, 107-124. 

  1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4). Education & Human Resources Indicators in Korea.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6. Lee, E. J. (2008). Study on the Health Literacy and Disease Knowledge of Hypertensives and Diabetics(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aegu, Korea. 

  17. Lee, S. A., & Park, M. H. (2010). A Study on Health Literacy,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of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85-497. 

  18. Lee, T. W., & Kang, S. J.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47-863. 

  19. Li, C. Y., Lee, O. C., Shin, G. S., & Li, X. W. (2009).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of Korean-Chinese Elderly People Living in Yanbian, Chin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386-392. 

  20. Nutbeam, D., & Kickbusch, I. (2000). Advancing health literacy: A global challenge for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183-184. 

  21. Selden, C. R., Zorn, M., Ratzan, S. C., & Parker, R. M. (2000). Current Bibliographies in Medicine: Health Literacy. Retrieved from http://www.nlm.nih.gov/archive// 20061214/pubs/cbm/hliteracy.html 

  22. Sudore, R. L., Mehta, K. M., Simonsick, E. M., Harris, T. B., Newman, A. B., Satterfield, S., ... Yaffe, K. (2006). Limited literacy in older people and disparities in health and healthcare acces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5), 770-776. 

  23. Tappe, M. K., & Galer-Unti, R. A. (2001). Health educator's role in promoting health literacy and advocacy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School Health, 71(10), 477-482. 

  24. Weiss, B. D., & Palmer, R. (2004).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costs and very low literacy skills in a medically needy and indigent medicaid population. The Journal of American Board Family Practice, 17(1), 44-47. 

  25. Wolf, M. S., Gazmararian, J. A., & Baker, D. W. (2005).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5(17), 1946-1952. 

  26. Yoon, H. R., & Kim, Y. T. (2004). Gender Differences in Language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9(1), 30-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