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역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사회의 질 증진에 주는 함의
A Multi-level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f Community Capacity on Health Status among Seoul Residents: Focused on Social Quality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8 no.4, 2011년, pp.1 - 14  

정민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조병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apacity to health in a metropolitan area in Korea. To do so, a multi-level model to verify the contextual effects of community capacity is presented. Methods: The study materials are the "The 4th Seoul Citizen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건강취약 집단 여부이다. 따라서 건강취약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았다[Table 2]. 성별은 여성이 21.
  • 본 연구는 개인들의 끈끈한 유대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와 지역의 특유한 가치와 규범으로 만들어지는 사회 통합(social integration)이라는 고전적 개념(Durkheim, 1951)으로 돌아가 사회자본이 아닌 지역사회역량의 경험적 증명 가능성을 다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사회자본에서 시도하였던 다수준 모형(Kim, Subramanian, & Kawachi 2006; Kim et al.
  • 추정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형을 기초로 개인과 지역 수준에서 지역사회역량과 건강수준과의 관계가 관련 통제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한지를 검토하였다. 동시에, 개인 및 지역 수준에서 역량 변수간의 상호작용도 함께 파악하였다.
  • 연구자료는 "제4차 서울시민보건지표조사"(2010) 자료이다. 본 조사는 법령에 따라 1997년 이후 약 4년마다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서울시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이환, 모자보건 등에 관하여 묻는다. 4차 조사의 경우 기존에는 없었던 건강도시 부문이 추가되었으며 지역사회역량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 종속변수는 서울시민들의 건강수준이며 모형은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역량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이다.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역량을 활용하는 건강증진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역량 증진을 통해 SQ 논의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SQ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사회적 역능 개념을 지역사회역량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다시 말해, 다수준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역량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위 개념이 SQ 논의에서 갖는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서울시민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자료가 포함된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다수준 분석이다. 개인 수준은 서울시 거주자이고 지역 수준은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이다.
  • 이 연구는 지역사회역량 개념을 통해 지역사회 맥락 효과를 규명한다. 최근에는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를 중심으로 SQ에 대한 국제비교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 그러나 그 구성요소를 감안하면 이제는 커뮤니티의 단위에서 맥락 효과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접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맥락효과를 사회자본이 아닌 지역사회역량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이것이 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SQ 논의에 줄 수 있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건학적으로 지역사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나 그것의 역동적인 측면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에 맥락효과를 이용한 다수준 분석은 우리가 건강을 어떻게 이해하고 이것을 증진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새로운 성찰을 준다.
  •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역량에 대한 다수준 모형을 수립하여 삶의 질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써 건강에 대한 지역사회의 맥락효과를 규명하였다. 사회자본은 기능론적 설명 틀에서 탈피하기 위해 개인이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며 그 기전은 무엇인지 밝혀내야 했지만, 지금까지는 그런 작업과 거리가 멀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역량 개념을 통해 지역사회 맥락 효과를 규명하는 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첫째, 2차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지역사회역량과 관련된 핵심 변수가 모두 반영되지는 못하였다. 특히, 지역사회 정체성, 사회적 응집성, 신뢰에 대한 척도가 그렇다. 둘째, GIS 지도를 제시하였으나 이 결과는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과 전체 메커니즘 속에서 해석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석상의 신중함이 요청된다. 셋째, 서울시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 특히 도농(都農)간의 차이를 배제하고 이러한 특성이 일반화될 수 있는지 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삶의 질은 무엇을 평가하는데 쓰이는가? 삶의 질은 개인과 사회의 전반적인 웰빙(well-being)의 정도를 평가하는 개념으로 오늘날 널리 쓰인다. 이것은 주관적인 측면과 객관적인 측면에서 모두 측정될 수 있는데 어떤 지표가 삶의 질을 잘 드러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Constanza et al.
삶의 질은 어떤 개념 안에 있는 것인가? 보건학에서 이에 대한 답을 한다면 물론 건강이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 삶의 질은 원래 사회의 질(social quality: SQ)이라는 개념 안에 있다. 이것은 한 개인이 삶의 중요한 가능성을 즐길 수 있는지의 정도를 말한다(Farrell & Demeyer,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lakely, T., & Subramanian, S. V. (2006). Multilevel studies. In Oakes, J.M., & Turner, J. (Eds.), Methods for Social Epidemiology (pp. 316-340). CA: Jossey-Bass Press. 

  2. Blaxter, L., & Hughes, C. (2000). Social capital: A critique. In Thompson, J. (Eds.), Stretching the academy: The politics and practice of widening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Leicester, NIACE. 

  3. Chaskin, R. J. (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 definition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Urban Affairs Review, 36(3), 291-323. 

  4. Chaskin, R. J., Brown, P., Venkatesh, S., & Vidal, A. (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NY: Aldine Transaction. 

  5. Costanza, R., Fisher, B., Ali, S., Beer, C., Bond, L., Boumans, R., ... Snapp, R. (2008). An integrative approach to quality of life measurement, research, and policy. S.A.P.I.EN.S., 1(1), 17-21. 

  6. Craig, G. (2007). Community capacity-building: Something old, something new...? Critical Social Policy, 27, 335-359. 

  7. Davies, W. K., & Herbert, D. T. (1993). Communities within cities: An Urban Social Geography. London: Belhaven Press. 

  8. Diez-Roux, A. V. (2003). The examination of neighborhood effects on health: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related to the presence of multiple levels of organization. In Berkman, L.F., & Kawachi, I. (Eds.), Neighborhoods and Health (pp. 45-64).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9. Durkheim, E. (1951). Suicide. NY: The Free Press. (Original published in 1897) 

  10. Durkheim, E. (1960).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NY: The Free Press. (Original published in 1893) 

  11. Easterling, D., Gallagher, K., Drisko, J., & Johnson, T. (1998). Promoting health by building community capacity: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grantmakers. CO: The Colorado Trustm. 

  12. Elster, J. (1979). Ulysses and the siren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Elster, J. (1983). Explaining Technical Change: Studies in rationality and social change.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Farrell, F., & Demeyer, B. (2005). European network indicators of social quality: The ENIQ report. Catholic University of Leuven & European Anti Poverty Network (EAPN). 

  15. Fawcett, S. B., Paine-Andrews, A., Francisco, V. T., Schultz, J. A., Richter, K. P., Lewis, R. K., ... Lopez, C. M. (1995). Using empowerment theory in collaborative partnerships for community health and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3(5), 677-697. 

  16. Garvin, C. D., & Cox, F. M. (2001). A history of community organizing since the Civil War with special reference to oppressed communities. In Rothman, J., Erlich, J.L., & Tropman, J.E. Strategies of Community Intervention (6th ed.). IL: Peacock Publishers. 

  17. Giddens, A. (1976). Functionalism: Apres la lutte. Social Research, 43, 325-366. 

  18. Jung, M. (2011). The relations of community capacity and health behavior among seoul residents: A multi-level study of contextual effects using community capacity indicator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Kawachi, I., Kennedy, B. P., Lochner, K., & Prothrow-Stith, D. (1997). Social capital, income inequality, and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9), 1491-1498. 

  20. Kawachi, I. (1999).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effects on population and individual health.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896, 120-130. 

  21. Kawachi, I., & Kennedy, B. P. (1999).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Pathways and mechanisms. Health Services Research, 34(1), 215-227. 

  22. Kawachi, I., & Subramanian, S. V. (2006). Measuring and modeling the social and geographic context of trauma: A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2), 195-203. 

  23. Kawachi, I., Subramanian, S.V., & Kim, D. (2008). Social capital and health: A decade. In Kawachi, I., Subramanian, S.V., & Kim D. (Eds.). Social capital and health (pp. 1-26). NY: Springer. 

  24. Khang, Y. H., Lynch, J. W., Yun, S., & Lee, S. I. (2004). Trend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measure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8, 308-314. 

  25. Kim, D., Subramanian, S. V., & Kawachi, I. (2006). Bonding versus bridging social capital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elf rated health: A multilevel analysis of 40 US communitie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60, 116-122. 

  26. Kim, D., Subramanian, S. V., Gortmaker, S. L., & Kawachi, I. (2006a). US state- and county-level social capital in relation to obesity and physical inactivity: A multilevel, multivariate 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63, 1045-1059. 

  27. Kim, C. S., Yun, S. C., Kim, H. R., & Khang, Y. H. (2006b). A multileve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high class (power elites) and smoking in Seoul.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9(1), 30-38. (In Korean) 

  28. Kreuter, M. W., & Lezin, N. (2002). Social capital theory: Implications for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In DiClemente, R.J., Crosby, R.A., & Kegler, M.C. (Eds.), Emerging theories in health promotion practice and research (pp. 228-254) CA: Jossey-Bass. 

  29. Mattessich, P., & Monsey, B. (1997). Community building: What makes it work. Saint Paul, MN: Publishing Center, Amherst H. Wilder Foundation. 

  30. Minkler, M. (2005). Community organizing and community building for health (2nd ed.). NY: Rutgers University Press. 

  31. Minkler, M., & Wallerstein, N. (2005). Improving health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mmunity building: A health education perspective. In Minkler, M. (Eds.), Community Organizing and Community Building for Health (2nd ed., pp. 26-50). NY: Rutgers University Press. 

  32. Minkler, M., Wallerstein, N., & Wilson, N. (2008). Improving health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mmunity building. In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4th ed., pp. 287-312), CA: Jossey-Bass. 

  33. Robinson, Jr. J. W., & Hales, B. D. (2007). Models and methods for creating sustainable community-based development organizations in diverse communities. Community Development, 38, 33-51. 

  34. Smith, M. B., Graham, Y. J., & Guttmacher, S. (2005). Community-based health organizations: Advocating for improved health. SF: Jossey-Bass. 

  35. Subramanian, S. V., Kawachi, I., & Kennedy, B. P. (2001). Does the state you live in make a difference? Multilevel analysis of self-rated health in the US. Social Science & Medicine, 53, 9-19. 

  36. Suttles, G. D. (1972). The social construction of communities. IL: Chicago University Press. 

  37. Weller, B. E. (2009). Community capacity and behavior problems among adolescents: A contextual effects study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