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기반 조직을 이용한 지역사회역량의 측정과 건강증진 기획 -서울시 S구를 중심으로-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Capacity Using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la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6 no.3, 2009년, pp.35 - 48  

정민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길진표 (송파구 보건소 건강증진과) ,  조병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community network is a foundation laid by the local community which has been formed historically and geographically to develop itself. This paper as a Korean way of healthy network survey for the community capacity building is an exploratory research to grasp the character of Korea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는 누구로 구성되는가?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지역사회란 자연스럽게 형성된 하나의 하부지역이면서 완전히 닫힌 구조는 아니지만 적절하게 경계를 유지하는 내적 상호관계의 집합이다(Chaskin, 1997: 528-529). 동시에 이들은 공동체 의식과 정체성을 갖춘 응집성 있는 지역주민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이 결합되면 지역사회역량이 된다(Hillery, 1955: 118). 다만, 이것이 하나의 독립된 기능단위가 되는지는 논란이 있는데 집단이라는 정체성을 갖는 최소한의 지역으로 "방어적 동네(defended neighborhood)"라는 정의가 쓰이거나(Suttles, 1972), 걸어서 00분 안에 닿을 수 있는 정도의 반경이라는 기준을 첨가할 수도 있다.
지역사회란?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지역사회란 자연스럽게 형성된 하나의 하부지역이면서 완전히 닫힌 구조는 아니지만 적절하게 경계를 유지하는 내적 상호관계의 집합이다(Chaskin, 1997: 528-529). 동시에 이들은 공동체 의식과 정체성을 갖춘 응집성 있는 지역주민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이 결합되면 지역사회역량이 된다(Hillery, 1955: 118).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이 겪고 있는 구조적 문제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이 당면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는 담당인력의 부족으로 충실한 프로그램 기획이나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업추진 역량의 외연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한데 기존에 운동 동호회나 아파트 부녀회를 참여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용배. 지역사회 정체성과 사회자본 형성요인분석. 안성호 등 지음. 지역 정체성과 사회자본 I. 서울: 다운샘, 2004 

  2. 시민의 신문. 한국민간단체총람, 2002 

  3. 안성호, 곽현근. 동네 수준의 사회자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성호 등 지음. 지역 정체성과 사회자본 I. 서울: 다운샘, 2004 

  4. 유재원.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한국정책학회보 2000; 9(3): 23-43 

  5. 정민수. 한국시민사회단체의 연대활동에 대한 네트워크적 접근. 시민사회와 NGO 2008; 6(2): 135-174 

  6. 정민수, 조병희, 이성천. 지역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연결망과 지역사회 역량. 보건행정학회지 2007; 17(4): 54-81 

  7. 정민수, 정유경, 장사랑, 조병희.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방법론.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8; 25(1): 83-104 

  8. 조명래. 지속가능한 발전과 파트너십: WSSD를 계기로한 정부-기업-NGO 발전 방안. KSDN. 2002 WSSD 기념세미나자료집, 2002 

  9. Bush R, Dower J, and Mutch A. Community capacity index. Ver. 2. Centre for Primary Health Care. University of Queensland, 2002 

  10. Chaskin RJ. Perspectives on neighborhood and commun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Soc Serv Rev 1997; 71(4): 527-548 

  11. Chaskin RJ, Garg S. The issue of governance in neighborhood-based initiatives. Urban Affairs Review 1997; 32(5): 631-661 

  12. Chaskin RJ, Brown P, Venkatesh S, Vidal A. Building community capacity. Walter de Gruyter, 2001 

  13. Foley MW, Edwards B. Is it time to disinvest in social capital? J Public Policy 1999; 19(2): 141-173 

  14. Forrest R, Kerns Ade.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the neighborhood. Urban Stud 2001; 38(12): 2125-2143 

  15. Hillery Jr. GA. Definitions of community: Communes and utopias in soci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5 

  16. Jerry Jr. WR, Paulette AMY. Building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apacity with signature projects: A case study of two diverse delta communities. J Extension 2007; 25(2) (Available:http://www.joe.org/joe/2007april/a4.php) 

  17. Kawachi I, Berkman LF eds.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8. Minkler M. Community Organizing and Community Building for Health. Rutgers University Press. 2nd Ed, 2005 

  19. Minkler M, Wallerstein 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Jossey-Bass, 2003 

  20. Nan Lin.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Walter de Gruyter, 2001 

  21. Narayan D, Cassidy MF. A dimensional approach to measuring social capit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ocial capital inventory. Curr Sociol 2001; 49(2): 59-102 

  22. Newton K.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t Pol Sci Rev 2001; 22(2): 201-214 

  23. Portes A.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 Rev Sociol 1998; 24: 1-24 

  24. Portney KE, Berry JM. Mobilizing minority communities: Social capital and participation in urban neighborhood. Am Behav Sci 1997; 40(5): 632-644 

  25. Provan KG, Nakama L, Veazie MA, Teufel-Shone NI, Huddleston C.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round chronic disease services through a collaborativ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Health Educ Behav 2003; 30(6): 646-662 

  26. Provan KG, Veazie MA, Teufel-Shone NI, Huddleston C. Network analysis as a tool for assessing and building community capacity for provision of chronic disease services. Health Promot Pract 2004; 5(2): 174-181 

  27. Provan KG, Veazie MA, Staten LK, Teufel-Shone NI. The use of network analysis to strengthen community partnerships. Public Admin Rev 2005; 65(5): 603-613 

  28. Putnam R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29. Putnam R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the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0 

  30. Smith MB, Graham YJ, Guttmacher S. Community-Based Health Organizations: Advocating for improved health. Jossey-Bass, 2005 

  31. Stone W, Hughes J. Social Capital: Empirical meaning and measurement validity.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2002 

  32. Stolle D. Social capital: A new research agenda? Toward an Attitudinal Approach paper presented for the ECPR workshop 13 Voluntary Associations. Social Capital and Interest Mediation: Forging the Link, Copenhagen, 2000 

  33. Suttles GD. The Social Construction of Communities. Chicago University Press,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