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포괄적 건강증진 정책 방안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olicies for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8 no.5, 2011년, pp.17 - 34  

박남수 (협성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olic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socio-ecological approaches. Methods: A web-based 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empirical programs and literature to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우리나라 대학 기반의 포괄적 건강증진 정책 영역에 대하여 정부, 지역사회ㆍ전문가, 대학 등 사업의 수행 주체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실천적인 정책 추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Table 2].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의 건강증진 정책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웹기반의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문헌 고찰을 위한 내용 기준으로는 생활터로서의 대학을 대상으로 연구, 사회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한 대학 건강증진 연구를 설정하였다.
  • ,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를 생활터로 하는 국내외 대학생 건강증진 정책 관련 문헌을 수집,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학생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포괄적 건강증진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학생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사업으로는 사회 생태학적 모형을 토대로 하는 대학교에 기반을 둔 포괄적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 기반의 대학생 건강증진 정책에서 다루어야 할 기본 영역을 도출하기 위해, 학생/교직원, 대학, 지역사회ㆍ정부 및 관련 유관 기관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국내외 관련 법령 및 정책에서 다루고 있는 사항들이 각 수준별로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Table 1].
  • WHO와 미국 질병 관리 본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손상 예방을 위한 근거 중심의 보건학적 접근 전략(Christoffle & Gallagher, 2006)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모든 학교 구성원들이 손상 예방 및 안전증진을 위해, 학교라는 생활터를 중심으로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 구성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반 환경의 변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는 상향식 정책 모형이다. WHO 지역사회 안전 증진 협력 센터(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관장하고 있는 국제 안전 도시(International Safe Community)사업과 개념적 틀을 같이 하는 사업으로 각 국가별 특성에 맞게 어린이집, 유치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교 급별이 사업 대상이 될 수 있다.
  • 검색한 국내 자료 중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의 건강증진 정책에 관한 연구 자료는 없었기 때문에, 대학교 보건실, 대학생의 건강 행동에 관한 연구 자료와 WHO 건강증진 대학 모형의 개념적 틀이 되는 WHO건강증진 학교 모형을 일부 초ㆍ중등학교에 적용한 연구 자료를 포함하여 총 12편의 국내 문헌 자료를 고찰하였다. 문헌 고찰 결과를 토대로 대학 기반의 대학생 건강증진 정책 영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역에 대한 사업의 수행 주체 수준별 정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를 고등교육법 제2조에 규정되어 있는 학교 중 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으로, “대학생”은 이들 3종의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제외한 학생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기반의 대학생 건강증진 정책의 개념적 틀로 사회 생태학적 모형(Socio-Ecological Model)을 적용한 포괄적 건강증진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 생태학적 모형”은 주로 개인의 행동과 개인 및 사회 환경적 구성 요소 간의 관련성 파악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 사회 생태학적 모형을 토대로 하는 국내외 대학 기반의 대학생 건강증진 정책 관련 문헌 고찰 결과, 대학생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포괄적 건강증진 정책의 영역으로 정책 개발과 사업 수행 근거의 산출, 국가 및 대학 수준의 지원 정책 마련, 대학교 건강증진 사업 수행 기반 조성, 교육 홍보, 환경 개선, 제도 개선, 필수 보건 의료 서비스 제공 등의 다차원적인 전략 확보, 지속적인 사업 수행 관리(기획, 운영, 평가 및 환류)의 5가지 영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책 영역에 대해 효과적이고 실천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정부, 지역사회, 보건 전문가 및 관련 조직, 대학 등 사업의 주체별 역할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 이상의 공통적인 내용을 토대로 대학 기반의 대학생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서 필요한 정책 영역을 다음의 5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 인구 규모는 전체 학생 비율 중 얼마나 차지하는가? 건강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이며, 모든 사람에게 개인적으로 소중한 가치임과 동시에 사회가 추구하는 목표의 하나이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 인구 규모가 전체 학생 인구 중 차지하는 비율이 30%를 차지하고 있으며(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MOEST&KEDI], 2011), 대학생의 건강수준은 전통적인 건강지표인 사망률이나 이환율로 측정했을 때는 일생 중 가장 건강한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활동적이고, 호기심이 많은 성장 발달적 특성과 함께 중ㆍ고등학교의 학업에 대한 경쟁적 교육 환경으로 인한 엄격하고 규제된 생활 방식으로부터 자유로운 대학 생활을 시작하게 됨으로써,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습관, 폭력 등 건강 위험 요인들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한다(Higgins, Lauzon, Yew, Bratseth, & Mcleod, 2010).
WHO 건강증진 대학(WHO Health Promoting University) 모형이란 무엇인가? WHO 건강증진 대학(WHO Health Promoting University) 모형은 WHO 건강증진 학교(WHO Health Promoting School) 모형을 개념적 틀로 하여 이를 대학에 적용한 건강증진 사업 모형이다. 이는 학교 전체적인 수준(Whole School Approach)에서의 접근 전략으로(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IUHPE], 2010), 교육적 성과의 향상과 함께 인지적, 사회적, 행위적 영역에서 건강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건강에 이로운 행동을 장려하는데 목적이 있다(IUHPE, 2009; Lee et al.
대학생의 건강 위험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 인구 규모가 전체 학생 인구 중 차지하는 비율이 30%를 차지하고 있으며(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MOEST&KEDI], 2011), 대학생의 건강수준은 전통적인 건강지표인 사망률이나 이환율로 측정했을 때는 일생 중 가장 건강한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활동적이고, 호기심이 많은 성장 발달적 특성과 함께 중ㆍ고등학교의 학업에 대한 경쟁적 교육 환경으로 인한 엄격하고 규제된 생활 방식으로부터 자유로운 대학 생활을 시작하게 됨으로써,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습관, 폭력 등 건강 위험 요인들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한다(Higgins, Lauzon, Yew, Bratseth, & Mcleod, 2010).현재 건강검진을 포함한 대학생의 건강 행동 실천 정도는 다른 연령 군에 비해 낮으며(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HW & KCDC], 2011), 사망 원인에 있어서도 20-29세 연령 군의 사망 원인 1위 고의적 자해(자살)와 2위 운수 사고 두 가지 사망 원인이 20-29세 전체 사망중 6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1a). ACHA-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II :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Retrieved Spring 2011, from http://www.acha-ncha.org 

  2.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1b). Standards of Practice for Health Promotion in higher Education. Retrieved January 2005, from http://www.acha.org/info_resources/sphphe.cfm 

  3. Bond, L. Patton, G. C., Glover, S., Carlin, J.B., Butler, H., & Thomas, L. (2004). The Gatehouse Project: Can A Multilevel School Intervention Affect Emotional Well Being & Health Risk Behaviour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8, 997-1003. 

  4. Certifying Center for International Safe School. (2011). Center for Community Safety Promotion,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www.safeasia.net/safe/sub_03.html 

  5. Christoffel, J. D., & Gallagher, S. S. (2006). Injury Prevention & Public Health. Jones & Bartlett, Newyork. 

  6. Council on the Advancement of Standards in Higher Education. (2011). Standards for Health Promotion Services. Retrieved from http://www.cas.edu/index.php/standards 

  7. Dooris, M., & Martin, E. (2002). Developing A Health Promoting University Initiative within the Context of Inter-Sectoral Action for Sustainable Public Health: Reflections from the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Global Health Promotion, 9(1, Suppl). 16-19. 

  8. Dooris, M., & Dohert, S. (2010). Healthy Universities: Current Activity & Future Direction - Findings & Reflections from National Level Qualitative Research Study. Global Health Promotio,. 17(3), 6-16. 

  9. Dooris, M., Cawood, J., Doherty, S., & Powell, S. (2010). Health Universities: Concept. Model & Framework for Applying the Healthy Settings Approach within Higher Education in England: Final Project Report. Retrieved from http://www.healthuniver sities.ac.uk 

  10. Dunne, C., & Somerset, M. (2004). Health Promotion in University : What Do Students Want? Health Education. 104(6), 360-370. 

  11. El-Ansari, W., & Stock, C. (2010). Is the Health &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Associated with Their Academic Performance? Cross Sectional Findings from the United Kingdom.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 Public Health. 7(2), 509-27. 

  12. English National Health Universities Network. (2009). Overview of National Projects & Progress Update. Retrieved from http://www.healthyuniversities.ac.uk 

  13. Greenburg, M., Weissberg, R., Zins, J., Fredericks, L. R., & Hand, E. M. (2003). Enhancing School based Prevention & Youth Development through Coordinated Social. Emotional & Academic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58(6), 466-474. 

  14. Gregson, J., Foerster, S. B., Orr, R., Jones, L., Benedict, J., Clarke, B., & Zotz, A. K. (2001). System, Environmental, & Policy Changes: Using the Social-Ecological Model as A Framework for Evaluating Nutrition Education & Social Marketing Programs with Low-Income Audience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33(1, suppl). s4-s15. 

  15. Higgns, S. J. W., Lauzon, L. L., Yew, A. C., Bratseth, C., & Mcleod, N. (2010). Wellness 101 : Health Education for the University Student. Health Education, 110(4). 309-327. 

  16. International Safe School Network. (2011). International Safe School Project with WHO Collaborating Center on Community Safety Promotion. Retrieved from http://www.phs.ki.se/csp/safeschool 

  17. 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 Education. (2009). Achieving Health Promoting Schools : Guidelines for Promoting Health in Schools. 

  18. 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 Education. (2010). Promoting Health in Schools : From Evidence to Action. 

  19. Kim, M., Kim, H.K., Kim, Y.B., Choi, E. J., & Lim, H.J. (2005). Development of Implementing Strategy &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through Schools. Research Report of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 Kim, Y.B. (2010).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 Influencing Factors among American College &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27(4), 153-163. 

  21.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1). Guideline on Disclosure of University Information. Retrieved from http://www.academyinfo.go.kr 

  22.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0).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23. Lee, E.Y., Choi, B.Y., Shin, Y.J., Kim, S.H., Sohn, A.R., Ahn, Dh. (2009). Implementation &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ng School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26(2), 89-101. 

  24. Lee, E.Y., Choi, B.Y., Sohn, A.R., & Ahn, D.H. (2009).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 by Schoo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26(3), 85-96. 

  25. Lee, K.S. (2007). Paradigm Shift on Health Care Polic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3(3), 1-23. 

  26. Ministerial Council on Educati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Youth Affairs. (2010). National Safe School Framework. Retrieved from http://www.deewr.gov.au/Schooling/NationalSafeSchools/Pages/nationalsafeschoolsframework.aspx 

  2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2010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2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3rd National Plan for Health Promotion (2011-2020). 

  3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1). National Health Examination. Retrieved from http://nhsp.cdc.go.kr 

  3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The 1st National Plan for Health Examination. 

  32. National Association of Student Personnel Administrators. (2004). Leadership for A Healthy Campus : An Ecological Approach for Student Success. Retrieved from http://www.naspa.org/membership/mem/pubs/ebooks/healthycampus.pdf 

  33. Office of Statistics. (2011). 2010 Cause of Death. 

  34. Park, C.M., & Kim, Y.B., (2010). Health Promotion Services &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University Health Clinic.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27(2), 151-163. 

  35. Park, C.M., Kim, Y.B., Okada, S., Han, C. H., Kim, H. H., & Cho, H.J. (2007). Survey & Its Analysis on Management of University Health Center. Research report fro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36. Park, N. S. (2009). Using International Safe School Model for School based injury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1), 145-153. 

  37. Stewart-Brown, S. (2006). What is the Evidence on School Health Promotion in improving Health or Preventing Disease & Specifically.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s Approach?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Health Evidence Network Report. Retrieved from http://www.euro.who.int/document/e88185.pdf 

  38. Stock, C., Mila, S., & Meier, S. (2010). Network Evaluation: Principles. Structures & Outcomes of the German Working Group of Health Promoting Universities Global Health Promotion, 17(1), 25-32. 

  39. Tamkang University. (2008). Application report for International Safe School Designation. Retrieved from http://www.phs.ki.se/csp/who_safe_schools_members_en.htm 

  40.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Wellness Network. (2010). Wellness Network Strategic Plan 2011-2014. Retrieved from http://www.wellnessnetwork.utexas.edu/ 

  41. University of the Sunshine Coast. (2011). Healthy University Initiative. Retrieved from http://www.usc.edu.au/students/future/studentsupport/health-university-initiative.htm 

  42. Vilnius Resolution. (2009). The 3rd European Conference on Health Promoting Schools: Better Schools through Health. Retrieved from http://www.schoolsforhealth.eu 

  43. Vince, W. C., & Aldinger, C. (2009). Case Studies in Global School Health Promotion. Springer. New York. xvii. pp. 404. 

  44. Weare, K. A., & Markham. W. (2005). What Do We Know about Promoting Mental Health through Schools? Promotion & Education, 12(3-4), 118-122. 

  45. West, P., Sweeting, H., & Leyland, L. (2004). School Effects on Pupils' Health Behaviors: Evidence in Support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19(31), 261-291. 

  4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Healthy Settings - Types of Healthy Settings. Retrieved from http://www.who.int/healthy_settings/types/universities/en/index.html 

  47. Young, I., & Currie, C. (2009). The HBSC Study in Scotland: Can the Study Influence Policy & Practice in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4(2, Suppl), 271-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