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절주교육 프로그램(과음없는 캠퍼스 만들기) 개발: Intervention Mapping과 Transtheoretical Model의 적용
Development of "Drink Smart" Alcoho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8 no.5, 2011년, pp.145 - 160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김명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이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권은주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조한익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the Inter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s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moderate alcohol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urveyed data from 1,137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person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행과정에서는 절주교육을 담당하는 교‧ 강사들이 Drink Smart 프로그램을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강사 대상의 워크숍을 개최하고, 뉴스레터 발행을 통해 모범적 사례를 소개하며 필요한 기술적, 사회적 정보들을 제공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Drink Smart 프로그램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교육에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프로그램 활용의 우수사례(교‧강사, 또는 대학)를 시상하고, 수행평가제를 도입하여 Drink Smart를 이용한 절주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사회 내에 정착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절주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대학에서 이를 전혀 활용하지 않거나, 건강성과를 얻기 위해 지속될 필요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활용이 중단된다면 프로그램 개발은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대학생이나 대학 수준에서 절주프로그램을 채택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서는 대학의 누가 절주교육 프로그램 수행과 관련한 의사결정의 권한이 있는가? 교육의 수행은 누가 담당하는가? Drink Smart 프로그램을 채택할 수 있는 권한은 누구에게 있는가?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프로그램의 수행과 지속에 관련된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정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Intervention mapping과 범이론적모형을 대학생의 음주행동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준비도에 맞는 절주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지침이 될 수 있는 개발사례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시로 대학생들의 절주교육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Intervention mapping과 범이론적모형을 대학생의 음주행동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준비도에 맞는 절주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지침이 될 수 있는 개발사례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시로 대학생들의 절주교육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대학생 절주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Intervention mapping에 근거하여 실시하였으므로 대학생의 문제음주 예방과 관리를 위해 무엇이 변화되어야 하는지가 체계적으로 파악되었다. 학생들의 문제음주 습관을 수정, 예방하기 위해 변화되어야 하는 개인적 요인으로 절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절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기효능감 등이 파악되었고, 절주실천을 위해서는 개인의 행동기술이 중요함도 파악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채택을 확산시키기 위해 Drink Smart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요구에 맞는지를 확인하고, 대학의 관계자들이 Drink Smart의 존재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긍정적인 태도의 형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정보 제공, 설득, 보상, 계약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마케팅, 학술대회에서의 과학적 연구논문 발표, 워크숍 개최, 뉴스레터 발생, 프로그램 확산 네트 웍 형성 등의 채택을 촉진시키는 구체적 전략을 설정하였다.
  • 즉, 음주에 대한 사회적 규범, 대학과 지역사회의 음주관련 정책, 문제음주 예방을 위한 대학과 지역사회 차원의 서비스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Kim, Jang, & Jekarl, 2006). 본 연구의 요구도 진단과정에서 대학생의 문제음주습관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였으나 개인간 차원의 요인파악에 그쳤고 개인 간 차원의 대상으로 교육을 확대하기 보다는 개인 간 차원의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학생 개인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가 갖는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 채택 현황 평가는 절주 교육 프로그램을 채택한 장(setting)의 비율을 평가한다. 본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대학생 절주교육을 실시한 대학교의 수와 비율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행과정 평가는 교육프로그램이 계획한 대로 진행되었는지를 평가하는데, 개인차원에서는 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의 교육받은 지식 및 기술들의 활용정도를, 조직차원에서는 각 대학의 교육담당자들이 교육지침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였는가를 평가하게 된다.
  • , 2009)는 단점이 있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육전달 경로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집단교육과 개인화된 교육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였다. CD-ROM 형태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그 내용에 있어 개인의 준비도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절주에 대한 동기유발이 부족한 대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는 강사에 의해 집단교육으로 실시될 수 있다.
  • 주요 건강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효과성이 입증된 행동변화의 원칙과 과정들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근거중심적, 이론 기반적 절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ntervention mapping과 범이론적모형을 적용하여 각 대상자의 절주 준비도에 맞는 절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또한 교육대상자가 제시되는 텍스트를 단순히 바라보는 과정을 통해 교육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내용에 친근감을 갖도록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절주와 관련된 교육 내용 전반을 진행하는 대학생 남여 캐릭터와 절주가 필요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절주가 필요한 캐릭터의 경우 본 프로그램을 통해서 캐릭터가 점차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절주의 긍정적 결과에 대한 기대를 현실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대상자의 절주 실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Figure 4].
  • 프로그램 목표에는 음주관련 사고 및 건강문제 발생률의 감소, 음주빈도와 음주량의 감소, 음주운전 경험률과 차량 동승률의 감소 및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포함하였다. 교육을 통해 대학생의 음주 관련 행동에 예상되는 변화는 영향목표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음기준을 한 자리에서 5잔 이상 마시는 것으로 가정했을 때 우리나라 대학생은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가? , 1994),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그 심각성이 더해가고 있다. 과음(binge drinking) 기준을 한 자리에서 5잔 이상 마시는 것으로 하였을 때 우리나라 대학생 중 남학생은 81.4%, 여학생은 57.0%에서 폭음의 패턴을 보여, 폭음의 경향이 매우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Jeong, 2006; Ryu, 2006). Lee, JeKarl과 Kim(2010)에 따르면 최근 2주 중에 1~2회 폭음을 한 수시폭음자가 42.
과도한 음주가 가진 위험성은 무엇이 있는가? 과도한 음주는 각종 질병 발생의 위험요인일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신생아 결함 및 사망, 자연 유산, 정신장애, 성범죄 등과도 높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Eckhardt et al.,
대학생들의 문제음주 습관 형성을 예방하고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Kim, 2007). 신체적 측면으로는 간질환, 구강암, 후두암, 식도암, 위장 및 췌장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뇌의 기억세포 파괴를 통한 학습능력의 저하, 감정 장애와 같은 정신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Byun, 2001). 또한 대뇌피질의 기능을 억제하여 자제력을 잃게 되고, 이를 통해 각종 폭력, 범죄, 자살, 교통사고, 성경험, 약물사용 등의 사회적 문제로 연결될 가능성을 높인다(Byun, 2001; Lee, 2001; Park, 2000).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문제음주 습관 형성을 예방하고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aro, H., Ahl, M., Matsumoto, A., Prado, G., Mule, C., Kemmemer, A., ... Mantella, P. (2009). Trial of the university assistance program for alcohol use among mandated stud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16(Suppl), 45-56. 

  2. Bartholomew, L. K., Parcel, G. S., Kok, G., Gottlieb, N. H., & Fernandez, M. E. (2011).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3rd ed.), Jossey-Bass, San Francisco, CA. 

  3. Byun, Y. S. (2001). The Effects of Personality on Drinking Patterns and Drinking-related Problems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8(2), 270-278. 

  4. Cimini M. D., Martens, M. P., Larimer, M. E., Kilmer, J. R., Nerghburs, C., & Monserrat, J. M. (2009).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eer-facilitated interventions addressing high-risk drinking among judicially mandat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32(Suppl), 57-66. 

  5. DeJong, W., Larimer, M. E., Wood, M. D., & Hartman, R. (2009). NIAAA's rapid response to college drinking problems initiative: Reinforcing the use of evidence-based approaches in college alcohol prevent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Supplement 16, 5-11. 

  6. Eckhardt, M. J., Harford, T. C., Kaelber, C. T., et al. (1981). Health hazards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46, 648-666. 

  7. Glasgow, R. E., Vogt, T. M., & Boles, S. M. (1999). Evaluating the public health impact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he RE-AIM framework.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9(9), 1322-1327. 

  8. Green, L. W., & Kreuter, M. W. (2005). Health program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4th ed.). Boston, MA: Mountain View, CA: Mayfield. 

  9. Jeong, W. C. (2006).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1), 347-372. 

  10. Kim, K. K., Jang S. O., & Jekarl, J. (2006). Effect of Environment Correlates o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3), 65-83. 

  11. Kim, M., Kim, H. K., Lee, E. H., & Kwon, E. J. (2007). Stages of change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alcohol drink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8, 1-16. 

  12. Kim, J. I., Kim, J. S., Kim, K. H., & Kim, J. S. (2007). Influences of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and motives for drinking on drinking permissive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3), 382-390. 

  13. Kok, G., Schaalma, H., Ruiter, R., Empelen, P., & Brug, J. (2004). Intervention mapping: a protocol for applying health psychology theory to prevention programm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 85-89. 

  14. Larimer, M. E., & Cronce, J. M. (2007). Identific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revisited: Individual-focused strategies to reduce problematic alcohol consumption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32, 2439-2468. 

  15. Lee, K. Y., & Lee, S. I. (2000). A study on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alcohol drinking behavior of new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9(2), 157-167. 

  16. Lee, J. H., JeKarl, J., & Kim, D. H. (2010). National survey on drin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Final report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Report Project. The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17. Lee, W. J. (2001). Drinking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10, 79-95. 

  18. McKenzie, J. F., Neiger, B. L., & Thackeray, R. (2009).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5th ed.). Pearson Education Inc, San Francisco. CA. 

  19. Park, J. S. (200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6(4), 393-413. 

  20. Park, K. M., & Rhee, M. K. (2005).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ocial support and drinking motives on drinking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3), 277-293. 

  21. Perez-Rodrigo, C., Wind, M., Hildonen, C., Bjelland, M., Aranceta, J., Klepp, K., & Brug, J. (2005). The Pro Children Intervention: Applying the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to develop a school -based fruit and vegetable promotion programme.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49, 267-277. 

  22. Prochaska, J. M., Prochaska J. O., Cohen, F. C., Gomes, S. O., Laforge, R. G., & Eastwood, A. L. (2004).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for multi-level interventions for alcohol abuse on campus. Journal of Alcohol and Drug Education, March, 34-50. 

  23.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38-48. 

  24. Prochaska, J. O., Diclemente, C. C., Velicer, W. F., & Rossi J. S. (1993). Standardized,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ogy, 12, 399-405. 

  25. Ryu, M. (2006). Effects of sociocognitive factors on binge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6. Schaus, J. F., Sole, M. L., McCoy, T. P., Mullett N., Bolden, J., Sivasithamparam, J., & O'Brien, M. C. (2009). Screening for high-risk drinking in a college student health center: characterizing students based on quantity, frequency, and harm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16(Suppl), 34-44. 

  27. Suh, K. H., Chung, S. J., & Kim, S. M. (2005).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alcohol use of problematic drinkers amo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omen and Health, 6(1), 33-52. 

  28. Transtheoretical Model. Cancer Prevention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Rhode Island. Retrieved from http://www.uri.edu/research/cprc/Measures/Alcohol01.htm Accessed on September 1, 2006. 

  29. Vasilaki, E. L., Hosier, S. G., & Cox, W. M. (2006). The efficacy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as a brief intervention for excessive drinking: A meta-analytic review. Alcohol and Alcoholism, 41, 328-335. 

  30. Velicer, W., Prochaska, J. O., Fava, J. L., Laforge, R. G., & Rossi J. S. (1999). Interactive versus non-interactive and dose-response relationships for stage matched smoking cessation programs in a managed care sitting. Health Psychology. 18, 21-28. 

  31. Wechsler, H., Davenport, A., Dowdall, G., Moeykens, B., and Castillo, S. (1994). Health and behavioral consequences of binge drinking in college: A National survey of students at 140 campus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2, 1672-1677. 

  32. West, L. J. (1984). Alcoholism and related problems: Issues for the American public.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