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9, 2015년, pp.364 - 373  

박경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최순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음주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관련지식,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음주여대생과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음주예방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WHO의 문제음주 절단점 기준인 AUDIT 8점 이상인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 총 46명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주관련지식(F=14.33, p<.001)은 더 높았고, 음주결과기대(F=18.28, p<.001)와 문제음주행위(F=5.57, p=.003)는 더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은 음주 여대생 뿐만 아니라 캠퍼스 내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over 8 scores of AUDIT-K.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이론을 근거로 해서 자기효능자원인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을 활용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음주여대생에게 적용함으로써 이들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대학사회에 심각하게 만연되어 있는 음주문제 개선을 위한 중재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음주 여대생에게 Bandura의 자기효능자원을 활용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 하여 음주관련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문제 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음주여대생을 위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관련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 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에 있다.

가설 설정

  • 1)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음주관련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음주거절 자기효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3)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음주결과기대 점수가 낮을 것이다.
  • 4)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제음주행위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성인 여성 중 19~29세의 음주 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 성인 여성 중 19~29세의 연간 음주율은 2007년 80.5%, 2010년 81%, 2013년 83.5%로 점점 증가 추세에 있으며[1], 이 연령대에 해당되는 여대생의 95.9%가 음주경험이 있고[2], 77.
대학생들의 음주나 폭음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실제로 대학생들의 음주나 폭음은 술 마신 다음날 신체적 인지적 기능의 감소로[9] 이어져 학습능력과 참여도 저하, 학점관리 문제, 폭력사고, 원치 않은 성관계 등 음주관련 문제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10][11]. 이러한 음주 관련 문제들이 심각하지만 우리나라 대학들은 학칙으로 음주 규정을 별도로 가지고 있는 곳이 거의 없으며, 일부 기독교계통 학교의 경우에도 규범적으로 금주를 요구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12].
대학 내에서의 건전한 음주 문화와 면학분위기 조성을 위해 복합적이고 다양한 음주예방이나 절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실제로 대학생들의 음주나 폭음은 술 마신 다음날 신체적 인지적 기능의 감소로[9] 이어져 학습능력과 참여도 저하, 학점관리 문제, 폭력사고, 원치 않은 성관계 등 음주관련 문제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10][11]. 이러한 음주 관련 문제들이 심각하지만 우리나라 대학들은 학칙으로 음주 규정을 별도로 가지고 있는 곳이 거의 없으며, 일부 기독교계통 학교의 경우에도 규범적으로 금주를 요구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12]. 따라서 대학 내에서의 건전한 음주문화와 면학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캠퍼스 내의 금주를 규정하는 학칙 마련과 술 광고 금지 및 대학 행사 시 술을 제공하는 판촉활동을 금지할 수 있는 정책수립과 아울러 문제 음주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음주예방이나 절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8][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http://kosis.kr 

  2. 심성욱, 이진우, 손영곤, "여대생 절주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한 음주행동 영향요인 분석: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여대생 음주행동 이해",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1호, pp.204-247, 2009. 

  3. 류현숙, 백민자. "여대생의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07-315, 2012. 

  4. 도은영, 김연화, 김정화, "여대생, 여성 직장인 및 주부의 문제음주와 음주기대 비교", 한국알콜과학회지, 제10권, 제1호, pp.93-106, 2009. 

  5. 이제현, 광주지역 일부 식품영양학 및 간호학 전공여대생들의 음주문화 실태조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 이원재, "대학생의 음주양태", 보건과 사회과학, 제10집, pp.79-95, 2001. 

  7. P. M. O'Malley and L. D. Johnston, "Epidermiology of alcohol and other drug use among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14, pp.23-39, 2002. 

  8. 김승수, 정슬기, "대학생 음주실태와 문제음주 변화추이 2006년과 2008년 비교", 한국알콜과학회지, 제10권, 제2호, pp.75-88, 2009. 

  9. M. A. Polak and T. S. Conner, "Impairments in daily functioning after heavy and extreme episodic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Drug and Alcohol Review, Vol.31, pp.763-769, 2012. 

  10. S. L. Benton, S. A. Benton, and R. G. Downey, "College student drinking, attitudes toward risks, and drinking consequenc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67, pp.543-551, 2006. 

  11. B. M. Bewick, B. Mulhern, M. Barkham, K. Trusler, A. J. Hill, and W. B. Stiles, "Changes in undergraduate student alcohol consumption as they progress through university", BMC Public Health, Vol.8, p.163, 2008. 

  12. 조성기, 장승옥, 윤혜미, 이혜경, 최현숙, 제갈정, "대학생의 음주실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1. 

  13. 이원재, "대학생 문제음주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09-124, 2003. 

  14. 이지현, 최홍일, "대학생의 음주에 대한 기대가 문제음주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음주거절 효능감과 폭음을 매개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4호, pp.229-246, 2010. 

  15. 김희경, 최은숙, 안정선, "여대생의 음주행위 영향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05-216, 2004. 

  16. 문영희, "여대생의 음주문제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552-561, 2007. 

  17. 윤명숙, 조혜정, 최수연, "대학생 절주의향과 음주환경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0권, 제2호, pp.35-50, 2009. 

  18. T. P. S. Oei and A. Morawska, "A cognitive model of binge drinking : The influenc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ddictive Behaviors, Vol.29, pp.159-179, 2004. 

  19. 박형숙, 조묘현, 조규영, 김동희,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10-119, 2011. 

  20. A. Durkin, "Educating Nursing Students About the Dangers of Drinking Gam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9, No.1, pp.38-41, 2008. 

  21. 이숙정, "한. 일 여자 간호대학생의 음주행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236-245, 2012. 

  22. 천성수, 송창호, 이주열, 이용표, 정재훈, 박종순 외, "대학생 문제음주예방을 위한 홍보.교육프로그램의 운용과 평가",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3권, 제1호, pp.53-86, 2002. 

  23. 이혜일, 동기화중재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알코올 기대, 금주자기효능감 및 문제 음주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4. 김종운, "음주예방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음주거절 효능감과 음주결과 기대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 연구, 제8권, 제1호, p.115-130, 2007. 

  25. 김광기, 제갈정, 박민수, 이재국, "대학생 음주문제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능성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8권, 제5호, pp.131-143, 2011. 

  26. C. R. Bingham, A. I. Barretto, M. A. Walton, C. M. Bryant, J. T. Shope, and T. E. Raghunathan, "Efficacy of a Web-Based, Tailored, Alcohol Prevention/Interven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itial Finding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8, No.4, pp.349-356, 2010. 

  27. K. B. Carey, M. P. Carey, J. M. Henson, S. A. Maisto, and K. S. DeMartini, "Brief Alcohol Interventions for Mandated College Students: Comparison of Face-to-Face Counseling and Computer-Delivered Interventions", Addiction. Vol.106, No.3, pp.528-537, 2011. 

  28. K. B. Carey, M. P. Carey, S. A. Maisto, J. M. Henson, "Computer Versus In-Person Intervention for Students Violating Campus Alcohol Policy", J Consult Clin Psychol, Vol.77, No.1, pp.74-87, 2009. 

  29. E. A. Bandura, "Self efficacy : towo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30. 김순영,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및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1. 김유정, 실버로빅 운동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 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혈압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2. 박은주,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 기능, 낙상효능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3.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음주예방을 위한 열두마당, 서울 :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2002. 

  34. 청소년보호위원회, 2005년 청소년 유해환경종합 실태조사결과, 서울 :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2006. 

  35. Aas, Klepp, Laberg, and Aaro, "Predicting adolescents' intention to drink alcohol: outcome expectancy and self efficacy", Journal of Study on Alcohol, Vol.51, pp.293-299, 1995. 

  36. 조희, 한국 대학생의 음주행동 예측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7. H. M. Annis, "Outcome expectancies questionnaire", In D, j. Letteri, J, e. Nelson & M. A. Sayers(eds.), Alcoholism treatment assessment research instruments, MD:NIAAA, pp.36-39, 1985. 

  38. 김성재, 알코올리즘의 재발에 관한 이론적 모형 구축: 정신병원에 입원한 남성 알코올리즘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39. 신행우, 성격과 음주동기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0. 도은영, 범이론과 여가모형을 적용한 절주프로그램이 문제음주행위와 인지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41. 박가람, 음주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음주관련 지식, 태도 및 음주거절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2. 신경은, 음주예방프로그램이 실업계 여고생의 음주관련 지식, 태도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3. 김금이, 근로자 절주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4. 박명희, 중학생 음주.흡연 통합 예방프로그램 효과 관련요인,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5. 최은영, 정성희,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소변내 코티닌 수치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3-111, 2012. 

  46. 윤혜미, "대학생 음주행동과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활과학연구논총, 제3호, pp.1-15, 2000. 

  47. 임경미, 음주예방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생의 음주거절 자기효능과 음주결과 기대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8. K. B. Carey, M. P. Carey, S. A. Maisto, and J. M. Henson, "Brief Motivational nterventions for Heavy College Drink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nsult Clin Psychol, Vol.74, No.5, pp.943-954, 2006. 

  49. C. V. Voogt, E. AP. Poelen, M. Kleinjan, L. ACJ. Lemmers, and R. CME. Engels, "Targeting young drinkers online: the effectiveness of a web-based brief alcohol intervention in reducing heavy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study protocol of a two-arm parallel grou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Vol.11, p.231, 2011. 

  50. E. Chiauzzi, T. C. Green, S. Lord, C. Thum, and M. Goldstein, "My student Body: A High-Risk Drinking Prevention Web Site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3, No.6, pp.263-274,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