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이유식에 대한 소고(小考) - 식료찬요(食療纂要)의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eaning Infant from the Mother Using the Oriental Medicine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SikRyoChanYo -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5 no.3, 2011년, pp.70 - 76  

윤혜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덕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of weaning infant from the mother using an oriental medicine. Methods: Investigating the method of weaning infant from the mother using an oriental medicine, SikRyoChanYo. Results & Conclusions: There are two ways of weaning baby off fro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 책을 구성하고 있는 45門에는 ‘傷寒’ ‘心腹痛/脇痛’ ‘咳嗽/喘息’ ‘諸熱/不眠’‘嘔吐/咳逆’ ‘泄瀉’ ‘大便不通’ ‘驚癎/癲狂’ 등 한방소아과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질환 및 증상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小兒諸病’이라는 門이 별도로 편재되어 있어 소아의 식이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이유식으로의 적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조문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내용에서는 식료찬요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 중 소아의 질병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문을 예로 들어, 이것을 현대의 이유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유의 목적은? 이유(離乳)라고 하는 것은 영양적으로는 젖이나 우유만으로 영양을 받던 영아에게 반고형식(半鼓形式)을 주기 시작하여 그 경도, 양, 종류를 증가시켜 고형식으로 이행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 기능적으로는 젖이나 우유를 빠는 것으로부터 음식물을 부수어 삼키는 것으로 발달해 가는 과정이다1). 이유식의 시작 시기는 생후 4~6개월, 체중 6~7kg이 될 때가 적당하며2), 이유의 목적은 크게 영양소의 공급, 전신 발달의 촉진, 바른 식습관의 확립, 질병의 예방을 들 수 있다3). 몸에 질병이 발생하면 대사 작용이 증가되어 열량의 소비가 증가하며, 이때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주지 않으면 급속한 영양결핍으로 인하여 전신적으로 근육이 위축되며, 장기의 단백함유량이 감소하고, 면역반응이 약해져 상처치유가 늦어지며 사망률이 증가한다2).
이유(離乳)라고 하는 것은? 이유(離乳)라고 하는 것은 영양적으로는 젖이나 우유만으로 영양을 받던 영아에게 반고형식(半鼓形式)을 주기 시작하여 그 경도, 양, 종류를 증가시켜 고형식으로 이행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 기능적으로는 젖이나 우유를 빠는 것으로부터 음식물을 부수어 삼키는 것으로 발달해 가는 과정이다1). 이유식의 시작 시기는 생후 4~6개월, 체중 6~7kg이 될 때가 적당하며2), 이유의 목적은 크게 영양소의 공급, 전신 발달의 촉진, 바른 식습관의 확립, 질병의 예방을 들 수 있다3).
동의보감을 비롯한 한의학 서적에서 현존하는 문헌 가운데 우리나라의 최초의 식이요법서는? 최근 이러한 사상에 입각한 각종 식이요법들이 서적이나 매스컴을 통해 각광받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식이요법이 존재하였고, 동의보감을 비롯한 한의학 서적에 관련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식료찬요’는 현존하는 문헌 가운데 우리나라 최초의 식이요법서로서, 조선시대 어의(御醫)인 전순의(全循義)가 저작한 책이다. 이 책은 질병 또는 증상으로 구분된 45개의 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치료법으로 쓰일 수 있는 간편한 처방을 기술한 142개의 조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홍창의. 홍창의 소아과학 제9판. 서울. 대한교과서(주). 2009:85-7. 

  2. 김기봉 외 14명.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 도서출판 의성당. 2010:125-7. 

  3. 모수미, 최혜미, 구재옥, 이정원. 생활주기영양학. 서울. 효일문화사. 1998:160-2. 

  4. 심선호, 정명수, 송용선, 이기남. 식이요법에 대한 동서 의학적 고찰. 한국전통의학지. 2000;10(1):136. 

  5. 박성혜. 약식동원에 입각한 약선식의 이해와 활용.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6):1520-7. 

  6. 김종덕. 우리나라 최초의 식이 요법서 식료찬요. 서울. 예스민. 2006:9. 

  7. Lee GG, Kim JY, Lee CH. Studies on the effects of amylase addition to rise extrac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extrudate for weaning food b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4;26:670-8. 

  8. Choi JC, Lee JY, Lee SW. Comparative studies on domestic weaning foods. Korean J. Dairy Sci. 1992;14:77-85. 

  9. Song YS. The present stunt of infant feeding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Korean J. Nutr. 1991;24:282-91. 

  10. Jung YJ. Weaning practice for infants in Daejeon city. Korean J. Nutr. 1982;12:23-6. 

  11. 전승균. 어린이의 영양개선책 이유식 세미나. 대한소아과학회 영양위원회. 1990:24-40. 

  12. 황만기, 김정오, 김경미. 내 아이 최고로 키우는 이유식&유아식. 서울:효성출판사. 2004:16-22. 

  13. Kang MS. A study of Yaksunyori menu development a plan. Suwon:MS Thesis Kyunggi University. 2002:22-5. 

  14. 정규만. 동의소아과학. 서울. 행림출판사. 1992:90-3. 

  15. 윤종빈, 전병훈, 김영목. 전순의의 의학사상과 저작내용에 관한 소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2):353-61. 

  16. 김은미, 박문옥, 안선정, 유혜경, 이영옥, 이정실. 식품재료학. 경기:광문각. 2011. 

  17. 조영신, 윤수경, 김명희. 한약재 및 약선 식재료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06;16(1):77-84. 

  18. 김호철. 한방식이요법학.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3:214, 222. 

  19. 김윤상, 신동길, 이상용. 소문난 이유식. 서울:웅진리빙하우스. 2007:202-3. 

  20.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공동교재 편집위원회. 본초학. 서울:도서출판 영림사. 2004:18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