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of comprehensive diagnosis of Yin-deficiency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Methods : We surveyed 30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visiting the Oral Diseases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하여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50%가량은 정신과적인 위험인자가 정상인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오고 있으며20, 진통제나 항우울제에 대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다는 연구결과들도 보고 되고 있어14 구강 작열감 증후군 치료법이 명확한 기준을 갖고 진행되지 않고 경험적이거나 대증적인 치료가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신적인 신체 상태를 자율신경계 기능평가를 통해서 파악하는 HRV와 한방 변증의 일종인 陰虛證 진단수단인 음허 설문지를 연구대상자들에게 적용하여 진단상의 특이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허 설문지를 바탕으로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전신적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陰虛證은 腎陰이 虧損되어 遺精, 盜汗, 消渴, 骨蒸潮熱, 手足心熱, 小便頻數, 舌紅 등의 증상이 있는 것42-44으로《東醫寶鑑》에서는 ‘陰虛生內熱者, 有所勞倦, 形氣衰少, 穀氣不盛, 上焦不行, 下脘不通, 胃氣熱, 熱氣熏胸中, 故內熱.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느 경우에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는가? 국소적인 혹은 광범위한 구강 내 작열감에 대한 호소는 다른 질환의 증상이거나 알려지지 않은 병인에 의한 증상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구강내 캔디다증, 구강편평태선과 같은 근원적인 구강질환 혹은 빈혈, 비타민 B 결핍, 당뇨와 같은 전신적인 질환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구강내 구조물의 점막에서 염증성 병변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으로 진단될 수 있다1,2.
구강 작열감 증후군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구강 작열감 증후군은 구강내 여러 구조물에서 불편감이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구강 내 다양한 구조물 중 증상발생이 가장 빈번한 부위는 혀로 제시된다19.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원인 및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어떤 견해가 있는가? 그 원인 및 병리기전으로 말초신경의 퇴행에 중추신경계가 관여하여 일종의 환상미각이 발생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미각과 구강통증감각이 연결되는데 구강 작열감 증후군에서 미각체계 변형에 의해 고삭신경, 설인신경수준에서 발생한 미각신호나 일반감각신경이 말초신경계에서 중추신경계로 전달될 때 통증으로 전환되어 발생한다는 견해이다3-7. 이런 관점과 다르게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들의 구강외 동반 증상에 주목하여 검사소견으로 그 원인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 여러 증상들이 신체화장애에 속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 작열감 증후군이 복합적인 신체화장애의 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이정길, 김병국.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원인 및 치료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09. 

  2. Sardella A, Gualerzi A, Lodi G, Sforza C, Carrassi A, Donetti E. Morphological evaluation of tongue mucosa in burning mouth syndrome. Arch Oral Biol 2011;2634. 

  3. 임현대, 강진규, 이유미.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병인론과 병태생리에 대한 고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10;35(1):41-7. 

  4. 고명연, 장용석, 허준영, 안용우.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미각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6;31(4):275-81. 

  5. Lauria G, Majorana A, Borgna M, Lombardi R, Penza P, Padovani A, et al. Trigeminal smallfiber sensory neuropahty causes burning mouth syndrome. Pain 2005;115(3):332-7. 

  6. Siviero M, Teixeira MJ, de Siqueira JT, Siqueira SR. Somesthetic, gustatory, lofactory function and salivary flow in patients with neuropathic trigeminal pain. Oral dis 2010;16(5):482-7. 

  7. Nasri-Heir C, Gomes J, Heir GM, Ananthan S, Benoliel R, Teich S, et al. The role of sensory input of the chorda tympani nerve and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in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1;112(1):65-72. 

  8. Mignogna MD, Pollio A, Fortuna G, Leuci S, Ruoppo E, Adamo D, et al. Unexplained somatic comorbidities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 controlled clinical study. J Orofac Pain 2011;25(2):131-40. 

  9. Nagler RM, Hershkovich OH. Relationship between age, drugs, oral sensorial complaints and salivary profile. Arch Oral Biol 2005;50(1):7-16. 

  10. 이정윤, 이영욱, 고홍섭. 구강건조증 증상 평가를 위한 설문지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5;30(4):383-9. 

  11. 이명선, 김설희, 양정승, 오정숙, 김동기. 65세 이상 일부 노인의 Oral Health Impact Profi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2):210-21. 

  12. Lee S, Park J, Lee H, Kim 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Yin-Deficiency Questionnaire. Am J Chin Med 2007;35(1):11-20. 

  13.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1982;61(10):1158-62. 

  14. Koreaki S. The dubious effect of milnacipran for the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Clin Neuropharmacol 2011;34(4):170-3. 

  15. Kim JS, Han GJ, BH Choi, JW Park, KM Park, IK Yeo, et al. Development of Differential Criteria on Tongue Coating Thickness in Tongue Diagnosis. Complement Ther Med; In press. 

  16. Albuquerque DF, De Souza Tolentino E, Amado FM, Arakawa C, Chinellato LE. Evaluation of halitosis and sialometry in patients submitted to head and neck radiotherapy.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0;15(6):850-4. 

  17. 허준.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2001. 

  18. 李?. 醫學入門. 서울: 남산당; 1985. 

  19. Silvestre-Rangil J, Silvestre FJ, Tamarit-Santafe C, Bautista D. Burning mouth syndrome: Correlation of treatment to clinical varibles of the disease. Med Oral Pathol Oral Bucal 2011;16(7):890-4. 

  20. Takenoshita M, Sato T, Kato Y, Katagiri A, Yoshikawa T, Sato Y, et al. Psychiartic diagnoses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nd atypical odongalgia referred from psychiatric to dental facilities. Neuropsychiatr Dis Treat 2010;6:699-705. 

  21. Kato Y, Sato T, Katagiri A, Umezaki Y, Takenoshita M, Yoshikawa T, et al. Milnacipran dose-effect study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Clin Neuropharmacol 2011;34(4):166-9. 

  22. Chainani-Wu N, Madden E, Silverman S Jr. A case-control study of burning mouth syndrome and sleep dysfunc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1;112:203-8. 

  23. Siviero M, Teixeira MJ, De Siqueira JTT, Dowgan SR, De Siqueira T. Central mechanisms in burning mouth syndrome involving the olfactory nerve: a preliminary study. Clinics 2011;66(3):509-12. 

  24. Rouleau TS, Shychuk AJ, Kayastha J, Lockhart PB, Nussbaum ML, Brennan MT.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ral burning in patients with dry mou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1;111(6):720-5. 

  25. Bergdahl M, Bergdahl J. Burning mouth s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 Oral Psychol Med 1999;28:350-4. 

  26. Tourne LP, Friction JR. Burning mouth syndrome: Literature review and proposed clinical manage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2;74:158-67. 

  27. Savage NW.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 management. Aust Dent J 1996;41:363-6. 

  28. Netto FO, Diniz IM, Grossmann SM, De Abreu MH, do Carmo MA, Aguiar MC. Risk factors in burning mouth syndrome: a case-control study based on patient records. Clin Oral Invest 2011;15(4):571-5. 

  29. Zakrzewska JM, Forssell H, Glenny AM.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5;Issue 1:CD002779. 

  30. Pinto A, Sollecito TP, DeRossi SS. Burning mouth syndrome.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N Y State Dent J 2003;69:18-24. 

  31. Minguez-Serra MP, Salort-Llorca C, Silvestre-Donat FJ.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A review and updat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7;12:E299-304. 

  32. 김원, 우종민, 채정호. 정신과에서 심박변이도의 이용.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20):176-84. 

  33. McCraty R, Atkinson M, Tiller W, Rein G, Watkins AD. The effects of emotions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rate variability. AM J Cardiol 1996;76:1089-93. 

  34. Rimoldi O, Furlan R, Pagani MR, Piazza S, Guazzi M, Pagani M, et al. Analysis of neural mechanisms accompanying different intensities of dynamic exercise. Chest 1992;101:226-30. 

  35. 심영우, 양동인, 김남현, 김덕원. 자세와 수면박탈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전자공학회논문지 2010;47(2):43-9. 

  36. 손창호, 김민숙, 김현주, 김수영, 이지호, 전형준, 등. 우리나라 일부 주간 고정 근무 노동자의 수면 양상 및 주간 심박변이도. 대한산업의학회지 2005;17(3):208-15. 

  37. 손지희, 김진성, 강경, 김주연, 선종기, 한가진, 등. 구취 환자에 대한 음허 변증과 심박변이도 검사의 유용성. 대한한의학회지 2011;32(4):464-74. 

  38. Appel ML, Berger RD, Saul JP, Smith JM, Cohen FJ. Beat to beat variability in cardiovascular variables: Noise or music? J Am Coll Cardiol 1989;14(5):1139-48. 

  39. Montano N, Gneddhi Ruscone T, Porta A, Lombardi F, Pagani M, et al.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to assess the changes in sympathovagal balance during graded orthostatic tilt. Circulation 1994;90(4):1826-31. 

  40. Hall M, Vasco R, Buysse D, Ombao H, Chen Q, cashmere JD, et al. Acute stress affects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sleep. Psychosom Med 2004;66:56-62. 

  41. Piccirillo G, elvira S, Bucca C, Viola E, Cacciafesta M, Marigliano V. Abnormal passive head-up tilt test in subjects with symptoms of anxiety power spectral analysis study of HR and blood pressure. Int J Cardiol 1997;25(60):121-31. 

  42. 이준경, 이남현, 하혜경, 이호영, 정다영, 최지윤. 등. EBM 구축을 위한 육미지황탕 문헌 분석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1):15-26. 

  43.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 집성당. 

  44. 박선동. 방제학. 서울: 영림사.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