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 이상과 비기허증(脾氣虛證)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Dysgeusia and Spleen qi Deficiency Patterns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4, 2017년, pp.455 - 467  

이정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박재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김진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aste function and spleen qi deficiency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and compared subgroups of BMS (i.e., dysgeusia and non-dysgeusia subgroup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0 participant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 BM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들의 미각 이상에 대하여 직접 화학 미각 역치를 측정하였으며, BMS 환자군을 주관적으로 미각 이상을 호소하는 군과 호소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어 두 그룹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이를 한방 변증 도구와 결합하여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BMS 환자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단맛과 짠맛을 더 예민하게 느끼며, 비기허증 설문지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기록하여 BMS 환자를 비기허로 진단하는 데에 무리가 없음을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MS 환자의 미각 이상에 대하여 화학 미각 역치 검사를 통해 주관적 미각 이상의 호소가 실제로 유의한 미각 차이를 동반하는지 확인하고, 비기허증 진단평가 설문지(SQDQ)를 이용하여 미각 이상과 비기허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구강 내의 건강 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평가할 수 있는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를 시행하여, OHIP-14점수와 비기허증 점수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비기허증 진단이 BMS 환자군, 그 중에서도 특히 미각 이상을 호소하는 BMS 환자군에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MS 환자의 미각 이상에 대하여 화학 미각 역치 검사를 통해 주관적 미각 이상의 호소가 실제로 유의한 미각 차이를 동반하는지 확인하고, 비기허증 진단평가 설문지(SQDQ)를 이용하여 미각 이상과 비기허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구강 내의 건강 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평가할 수 있는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를 시행하여, OHIP-14점수와 비기허증 점수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비기허증 진단이 BMS 환자군, 그 중에서도 특히 미각 이상을 호소하는 BMS 환자군에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taste stimulus solution을 이용한 화학 미각 역치와 비기허증 진단평가 도구(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SQDQ)를 이용한 비기허증 평가를 중심으로 먼저 BMS 환자와 건강대조군의 특성을 비교하였고, 또한 환자군 중 미각 이상을 호소하는 군과 호소하지 않는 군으로 분류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화학 미각역치 및 구강건강영향지수와 비기허증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은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미각은 구강 내에서 저작 작용 및 소화 작용을 거친 음식물 내의 미각 자극 물질이 미뢰의 미각세포를 자극하여 미각 신경에 의해 대뇌 피질의 미각 중추로 자극을 전달하여 인식하게 되며14, 식이 선택을 유도하여 장기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19.
BMS 환자군과 정상군간 네 가지 맛의 역치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을 생각해 볼 수가 있는가?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Nilner 등15의 연구에서는 전기 자극에 의한 미각역치가 환자군에서 더 낮게 나타났으나, Johansson 등16의 연구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고, Imura 등17의 연구에서는 화학 자극에 의한 네 가지 맛의 역치를 평가한 결과 신맛의 역치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Nagler 등18의 연구에서는 BMS 환자군과 정상군간 네 가지 맛의 역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등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미각 기능이 연령증가에 의한 퇴화, 갱년기 또는 임신으로 인한 내분비 변화, 정신적, 심리적 원인, 타액 분비량 감소, 만성적인 구강 질환 등 다양한 인자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14,17.
구강작열감증후군이란 무엇인가?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 은 구강 내 점막에 육안적인 염증성 병변이 없음에도 구강 내에 국소적으로 또는 광범위하게 작열감이 나타나는 만성 특발성 질환이다1,2. 사회가 노령화되면서 BMS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남녀 성비는 1:3에서 1:16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나3 공통적으로 중년 이후 폐경기 여성에서 호발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ugaya NN, Silva EF, Kato IT, Prates R, Gallo CB, Pellegrini VD. Low Intensity laser therapy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Braz Oral Res 2016;30(1):e108. 

  2. Lim HD, Kang JK, Lee YM. A Review of Etiopathogene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J Oral Med Pain 2010;35(1):41-7. 

  3. Thoppay JR, De Rossi SS, Ciarrocca KN. Burning mouth syndrome. Dent Clin North Am 2013;57(3):497-512. 

  4. Drage LA, Rogers RS 3rd. Burning mouth syndrome. Dermatol Clin 2003;21(1):135-45. 

  5. Vellappally S. Burning Mouth Syndrome: A Review of the Etiopathologic Factors and Management. J Contemp Dent Pract 2016;17(2):171-6. 

  6. Klasser GD, Grushka M, Su N. Burning Mouth Syndrome.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16;28(3):381-96. 

  7. Nasri-Heir C, Zagury JG, Thomas D, Ananthan S. Burning mouth syndrome: Current concepts. J Indian Prosthodont Soc 2015;15(4):300-7. 

  8. Patton LL, Siegel MA, Benoliel R, Laat AD. Manage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 systemic review and management recommendat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S39.e1-S39. 

  9. Grushka M. Clinical features of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63(1):30-6. 

  10. Camacho-Alonso F, Lopez-Jornet P, Molino-Pagan D. Fungiform papillae density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nd xerostoia.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2;17(3):e362-6. 

  11. Bartoshuk LM, Duffy VB, Reed D, Williams A. Supertasting, earaches and head injury: genetics and pathology alter our taste worlds. Neurosci Biobehav Rev 1996;20(1):79-87. 

  12. Gruchka M, Bartoshuk L. Burning mouth syndrome and oral dysesthesias. Can J Diagn 2000:99-109. 

  13. Bergdahl M, Bergdahl J. Burning mouth syndrome :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 Oral Pathol Med 1999;28:350-4. 

  14. Ko MY, Jang YS, Heo JY, Ahn YW. A Study on the Taste of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J Oral Med Pain 2006;31(4):275-81. 

  15. Nilner K, Nilsson B. Intraoral currents and taste thresholds. Swed Dent J 1982;6(3):105-13. 

  16. Johansson B, Stenman E, Bergman M. Clinical study of patients referred for investigation regarding so-called oral galvanism. Scand J Dent Res 1984;92(5):469-75. 

  17. Imura H, Shimada M, Yamazaki Y, Sugimoto K. Characteristic changes of saliva and taste in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J oral Pathol Med 2016;45(3):231-6. 

  18. Nagler RM, Hershkovich O. Sialochemical and gustatory analysis in patients with oral sensory complaints. J Pain 2004;5(1):56-63. 

  19. Snyder DJ, Bartoshuk LM. Oral sensory nerve damage: Causes and consequences. Rev Endocr Metab Disord 2016;17(2):149-58. 

  20. Kisely S, Forbes M, Sawyer E, Black E, Lalloo R.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trials for the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J Psychosom Res 2016;86:39-46. 

  21. Carey Rivinius. Burning mouth syndrome: indentific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J Am Acad Nurse Pract 2009;21(8):423-9. 

  22. Shim YJ, Choi JH, Ahn HJ, Kwon JS. Topical Application of Clonazepam to Burning Mouth Syndrome. J Oral Med Pain 2009;34(4):429-33. 

  23. Seon JK, Kim JS, Han GJ, Oh SW, Son JH, Kang K,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Yin-deficiency Syndrome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rome. Korean J Orient Int Med 2011;32(4):473-86. 

  24. Son JH, Kim JY, Kang K, Baek SH, Choi J, Jang SW, et al. Effects of Korean Medicine Therapies on Oral Pai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 Before and After Study. Korean J Orient Int Med 2013;34(2):122-33. 

  25. Kim JH, Kim GU. Effect of oral environment (salivary flow, taste recognition threshold) of adults over 40 years on oral health influence point(OHIP-14). J Korean Soc Dent Hyg 2013;13(5):749-57. 

  26. Lee HJ, Kim CM. Effect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Person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3):338-46. 

  27. Ahn KS, Shin MA.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mong the community elderlie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6):923-38. 

  28. Oh HW, Lee JW, Kim JS, Song EY, Shin SW, Han GJ, et 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J Korean Med 2014;35(1):157-70. 

  29. Barker KE, Savage NW. Burning mouth sydnrome: an update on recent findings. Aust Dent J 2005;50:220-3. 

  30. Kim MJ, Kim SH, Park SS. Effect of Gabapentin for the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Comorbid with Depression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Psychosom Med 2014;22(2):138-42. 

  31. Hershkovich O, Nagler RM. Biochemical analysis of saliva and taste acuity evalua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xerostomia and/or gustatory disturbances. Arch Oral Biol 2004;49:515-22. 

  32. Siviero M, Teixeira MJ, Siqueira JT, Siqueira SR. Central mechanisms in burning mouth syndrome involving the olfactory nerve: A preliminary study. Clinics(Sao Paulo) 2011;66:509-12. 

  33. Ito M, Kurita K, Ito T, Arao M. Pain threshold and pain recovery after experimental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Psychiatry Clin Neurosci 2002;56:161-8. 

  34. Bartoshuk LM, Snyder DJ, Grushka M, Berger AM, Duffy VB, Kveton JF. Taste damage : previously unsuspected consequences. Chem Senses 2005;30(Suppl1):218-9. 

  35. Scala A, Checchi I, Montevecchi M, Marini I, Giamberardino MA. Update on burning mouth syndrome : overview and patient management. Crit Rev Oral Biol Med 2003;14(4):275-91. 

  36. Grushka M, Epstein JB, Gorsky M. Burning mouth syndrome. Am Fam Physician 2002;65(4):615-20. 

  37. Han DH, Park JI, Lim HS, Kim J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and Electrogustometric Thresholds in Adults. J Oral Med Pain 2011;36(1):1-10. 

  38. Lee EJ, Park WK, Nam JW, Yun JI, Kho HS. Clinical Characreristics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J Oral Med Pain 2009;34(4):341-51. 

  39. Franco FR, Castro LA, Borsatto MC, Silveira EA, Ribeiro-Rotta RF. Combined Acupuncture and Auriculotherapy in Burning Mouth Syndrome Treatment: A Preliminary Single-Arm Clinical Trial. J Altern Complement Med 2017;23(2):126-34. 

  40. Hong JI. A Study on Food Cure for Stomach Diseases-Focusing on Eumsunjungyo, Singsyojaebyeong, Singnyochanyo.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6;29(2):1-12. 

  41. Formarker BK, Frank ME. Taste function in patient with oral burning. Chem Senses 2000;25(5):5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