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일 수요량 변동성과 가용야적면적을 고려한 건설 자재의 경제적주문량(EOQ) 산정 프로세스
Economic Order Quantity(EOQ) Determination Process for Construction Material considering Demand Variation and Stockyard Availabilit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 no.1, 2011년, pp.33 - 42  

윤정숙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유정호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창덕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재 및 재고관리에 관한 부분은 전 산업 분야에서 기업의 이익을 위해 고려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지만 국내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조달 관리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평가절하 되어왔고 기존의 재고관리에 관한 연구는 개별 요소로 한정되어 많이 연구되었으며 제조업의 이론을 도입하는 단계에 머물렀다. 따라서 건설 프로젝트의 자재 및 재고관리를 전체적인 프로세스 관점에서 바라보고 개선하며 기존 이론의 도입에 더하여 건설 프로젝트 특성 반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 단계의 현장 관점에서 야적장의 면적과 재고량을 이용하여 경제적주문량을 결정하는 자재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건설 현장의 기존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t of material and inventory management is one of important factor for business interests. But importance of material and inventory management in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relatively devalued. The existing study of inventory has been studied with limited individual factor about inv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 건설업의 자재관리는 프로세스 관점에서 제조업에 비해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건설업의 경우 제조업보다 현장의 환경요인 등 많은 변이를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되지만 건설업에 있어 이를 고려하여 확률적으로 접근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본 연구는 일일 수요량의 변동성을 고려한 주문시점재고량 산정과 최대 가용 야적장을 고려한 목표수준재고량 산출로 주문량의 범위를 산출하여 각각의 조합에 대한 총비용을 계산하여 가장 경제적인 주문량을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자재의 최종 수요자인 현장 관점에서 해당 자재에 관한 자재관리의 경제적인 주문량 산정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일 수요량의 변동성과 가용야적장 면적에 따른 경제적주문량 산정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 한계점과 추후 해결되어야 하는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연구의 흐름은 그림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자재관리의 계획 단계에서 해당 자재관리를 현장 관점에서 주문시점에 가용 가능한 재고량을 파악하고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인 야적장을 그 면적을 자재에 관한 가용일로 표현한 야적장의 여유사이즈정보를 고려하여 경제적 주문량을 결정하는 자재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현재 건설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재관리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여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사례연구의 목적은 제시한 주문시점 및 주문량 산정 프로세스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검증하고자 하는 유용성은 본 연구가 제시한 프로세스를 통해 산정된 주문시점 및 주문량은 경제적으로 자재관리를 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유용성이다.
  • 앞에서 언급한 현장 자재관리의 목적에서 본 연구에서는 그 자재관리의 목적을 경제성으로 정의하고 재고 유지비용과 수요 부족에 따른 기회비용의 사이에서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 할 수있도록 한다.

가설 설정

  • 1) 자재의 장기 수급계획을 세우기 어렵다,
  • 2) 공사의 모호성에 의해 획일적인 자재관리가 어렵다.
  • 3) 자재의 규격화, 통일화가 어렵다.
  • 3) 주문한 품목은 전량이 한번에 입고된다
  • 5) 품목에 따른 재고유지비는 일정하다.
  • 경제적주문량 모형은 다음의 가정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 프로세스 중 경제적주문량 산정에 있어 위와 같은 EOQ 모델의 기본 가정을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재관리란? 자재관리는 주문시기와 주문량을 대상으로 관련 비용 함수들을 최적화시키고자 하는 의사결정의 한 범주로 이해할 수 있다.(현병언, 2003) 자재관리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자원소요 예측은 건설프로젝트는 당초 예상하지 못한 예외적 사태의 발생인 빈번하여 일정정보의 변경이 심하기 때문에 건설업의 산업 메카니즘 상 자원 소요 예측이 어렵다,(박대홍 외, 2001)
EOQ모형은 무엇을 위한 모형인가? EOQ모형은 경제적 주문량을 산정하기 위한 모형이다. 여기서 주문량에 관하여 2가지로 명명할 수 있는데, 한가지가 TC(total cost)이고 다른 하나가 찾고자 하는 EOQ(economic order quantity)이다.
건설 프로젝트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1) 자재의 장기 수급계획을 세우기 어렵다, 2) 공사의 모호성에 의해 획일적인 자재관리가 어렵다. 3) 자재의 규격화, 통일화가 어렵다. 4) 종합적인 자재의 예산 통제나 운반관리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강현구, 하영서, 임철우, 김창덕, 유정호(2008)." RFID 기술적용에 따른 유닛타입 커튼월 공사의 효율성 분석", 제9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눈문집, pp. 206-213. 

  2. 김길선, 김재환, 김의탁, 서창적, 어윤양, 유시정, 우한주, 황복주 (2004). 디지털 시대의 생산시스템과 SCM, 범문사, 

  3. 박대홍, 김재준, 이현수(2001)," 건설현장자원소요예측시스템에 관한 연구", 제17권, 제11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pp97-105. 

  4. 송영웅, 최윤기(2003)," 비용 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 소요 계획에 관한 연구", 제4권, 제1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pp106-113. 

  5. 윤상국(2001)." JIT 구매와 가격 할인이 있는 EOQ의 재고 비용에 대한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6. 이상범 (2004)." 건설자재의 적정 리드타임 산정에 관한 연구", 제4권, 제1호,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pp. 105-110. 

  7. 이재명, 김창덕, 유정호 (2007)," 야적장 크기를 고려한 철근의 경제적 주문량(EOQ)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발표논문집, pp549-552. 

  8. 이재명, 유정호, 김창덕, 이광재, 임병수 (2008)," 건설 현장 자재수요 변동을 고려한 주문시점 산정 방법", 제24권, 제10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pp117-125. 

  9. 이재명, 유정호, 김창덕(2009)," 동적 자재 정보기반 주문량 산정 방법", 제25권, 제12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pp145-153 

  10. 이현수, 송상훈, 김우영(2002)," 정보 분석을 통한 자재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제18권, 제11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pp125-132. 

  11. Richard B. Chase, F.Robert Jacobs (2007), "operations and supply management", 한경사,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