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 기관 내의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 발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Patterns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 Single Center's Experience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5 no.1, 2011년, pp.49 - 57  

유리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박세진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신재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기혁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은 소아신질환 중 이전부터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이었으나 그 발생 빈도는 점점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단일 기관 내의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의 최근 발생빈도와 질환의 임상양상들을 분석하여 그 추세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일산병원이 개원한 2000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하여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을 진단받은 총 27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임상 및 검사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은 남녀비 1.25:1로 거의 동일한 비율로 6-7세(37.0%)에서 그리고 1년 중 11월에서 2월 사이(51.9%)에 호발하였으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꾸준한 발병률을 보였다. 그러나 대표적 임상 증상인 부종은 59.3%로 이전 연구들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며, 6개월 이상 혈뇨를 보인 환아들 또한 22.2%로 관찰되었다. 중증 합병증인 고혈압성 뇌증 또한 3.7%에서만 관찰되었으며 급성 신부전으로 투석까지 시행한 환아는 없었다. 결 론: 이 단일 기관 내에서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의 발생빈도는 약간 감소 또는 유지하는 추세로 보이나 질환의 중증도 및 합병증은 과거에 비해 약해지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through a single center's experie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53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glomeru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1990년대의 류마티스 열의 집단 발생[6]과 변화하는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의 발생빈도를 보고한 여러 문헌들을 살펴보면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의 발생빈도는 완전히 감소하는 추세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7]. 본 논문은 소아에서 단일 기관에서 진단된 급성 연쇄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의 최근 발생빈도 및 임상양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0년도에 일산병원이 개원한 후 2009년 12월까지 본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하여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받은 환아 총 27명에 대한 후향적 임상적 관찰로서 비교적 최근 발생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증상, 경과 및 합병증까지 살펴보았다. 대상 환아 수가 적고, 1970-80년대와 같은 시기의 입원 기록들과 비교할 수 없어, 단일 기관 내에서 정확한 발생 빈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없지만,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10년 동안 2005년을 제외하고는 1명에서 3-4명까지의 환아들이 꾸준히 입원한 것을 볼 수 있었다(Fig.
  •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은 소아 신질환 중 이전부터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이었으나 그 발생 빈도는 점점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단일 기관 내의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의 최근 발생빈도와 질환의 임상양상들을 분석하여 그 추세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나 체액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Bernstein 등[23]에 의하면 1960년대에는 70%, Chang 등[24]에 의하면 국내에서 1970-80년대에는 53.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이란?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은 연쇄구균 감염 후 그로 인한 면역기전으로 형성된 면역복합체가 사구체 기저막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신질환으로 소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사구체신염이다. 대개 상기도 감염 이후 1-4주 사이에 급성으로 혈뇨, 부종, 핍뇨나 고혈압 등의 증상이 발현되고 혈청 보체의 일시적인 감소를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은 어떤 증상이 특징인가? 급성 연쇄구균감염후 사구체신염은 연쇄구균 감염 후 그로 인한 면역기전으로 형성된 면역복합체가 사구체 기저막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신질환으로 소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사구체신염이다. 대개 상기도 감염 이후 1-4주 사이에 급성으로 혈뇨, 부종, 핍뇨나 고혈압 등의 증상이 발현되고 혈청 보체의 일시적인 감소를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성인과 달리 소아는 급성기 이후 95% 이상에서 자연 치유되나[1], 드물게 급성기 합병증으로 경련, 고혈압성 뇌증, 신부전 등으로 집중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신장의 반영구적 손상을 입기도 한다[2,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otter EV, Lipschultz SA, Abidh S, Poon King T, Earle DP. Twelve to seventeenyear follow up of patients with poststreptoco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Trinidad. N Engl J Med 1982;16:725-9. 

  2. Pinto SW, Sesso R, Vasconcelos E, Watanabe YJ, Pansute AM. Follow-up of patients with epidemic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m J Kidney Dis 2001;38:249-55. 

  3. Clark G, White R, Glasgow EF, Chantler C, Cameron JS, Gill D, et al.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Clinicopathological correlations and long-term prognosis. Pediatr Nephrol 1988;2:381-8. 

  4. Schwartz B, Facklan RR, Breiman RF. Changing epidemiology of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 in the USA. Lancet 1990;336: 1167-71. 

  5. Kim JO, Shin SM, Park YH. A clinical study on children with acute glomerulonephritis. Korean J Pediatr 1989;32:779-88. 

  6. Kaplan EL, Hill HR. Return of rheumatic fever: Consequences, implications, and needs. J Pediatr 1987;111:244-6. 

  7. Kim YJ, Kim SJ. Resurgence of poststreptoco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nju : clinical review of recent 10 years. Korean J Infect Dis 1998;30:516-20. 

  8. Hahn H. Acute renal failure in pediatrics. Korean J Pediatr 2007;50:949-53. 

  9. Bellomo R, Kellum JA, Mehta R, Palevsky PM, Ronco C. The Acute Dialysis Quality Initiative II: the Vicenza conference. Adv Ren Replace Ther 2002;9:290-3. 

  10. Berrios X, Lagomarsino E, Solar E, Sandoval G, Guzman B, Riedel I. Post-streptoco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le- 20 years of experience. Pediatr Nephrol 2004;19: 306-12. 

  11. Coppo R, Gianoglio B, Porcellini MG, Maringhini S. Frequency of renal diseases and clinical indications for renal biopsies in children: Report of the Italian National registry of Renal Biopsies in Children). Nephrol Dial Transplant 1998;13:293-297. 

  12. Currie B, Brewster DR. Childhood infections in the tropical north of Australia. J Paediatr Child Health 2001;37:326-30. 

  13. Orta N, Moriyo'n JC. Epidemiology of renal diseases in children in Venezuela. Arch Venez Puericult Pediatr 2001;64:76-83. 

  14. Rodriguez-Iturbe B, Batsford S. Pathogenesis of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 century after Clemens von Pirquet. Kidney Int 2007;71:1094-104. 

  15. Ahn SY, Ingulli E.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 An update. Curr Opin Pediatr 2008;20:157-62. 

  16. Song YK, Kim CK, Lee YI. Statistical studies on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1969;12:423-30. 

  17. Bai SK, Cheun SJ, Kim PK, Yun DJ. Clinical follow-up studies on acute glomerulonephritis 220 cases. J Korean Pediatr Soc 1973;16:305-13. 

  18. Koo JH, Cho NK, Lee SB. Clinical studies on 123 cases of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Kyungpook Univ Med J 1977;18: 279-86. 

  19. Burke EC, Titus JL. Poststreptoco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Med Clin North Am 1996;50:1141-58. 

  20. Potter EV, Abidh S, Sharrett AR, Burt EG, Svartman M, Finklea JF, et al. Clinical healing two to six years after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Trinidad. N Eng J Med 1978;298:767-72. 

  21. Davis ID, Avner ED. Glomerulonephritis associated with infection. In: Behman RE, Kliegman RM, Jenson MB, editors. Nelson's textbook of Pediatrics. 17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2003:1740-1. 

  22. Nissenson AR, Mayon-White R, Potter EV, Mayon-White V, Abidh S, Poon-King T, et al. Continued absence of clinical renal disease seven to twelve years after poststreptoco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Trinidad. Am J Med 1979;67:255-62. 

  23. Bernstein SH, Stillerman M. A study of the association of group A streptococci with acute glomerulonephritis. Ann Int Med 1960;52:106-34. 

  24. Chang SK, Lee JS, Oh SH, Park HJ, Kim PK. A clinical study on 452 cases of poststreptoco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Korean J Nephr 1987;6:295-303. 

  25. Koo SE, Hahn H, Park YS. A clinical study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from 1994 to 2003. Korean J Pediatr 2005;48:606-13. 

  26. Baldwin DS, Gluck MC, Schacht RG, Gallo GR. The long-term course of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nn Intern Med 1974;80:342-58. 

  27. Choi BH, Chu MA, Hong EH, Hwang HH. Cho MH, Ko CW. Changes of clinical findings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8;12:157- 63. 

  28. Dodge WF, Spargo BH, Travis LB, Srivastava RN, Carvajal HF, DeBeukelaer MM, et al.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N Engl J Med 1972;286:273-8. 

  29. Kim CH, Kim SY. Comparison between pathologically and clinically diagnosed group of acute postinfectious glomerulonephritis. Korean J Pediatr 1999;42:1696-701. 

  30. Kasahara T, Hayakana H, Okubo S, Okugawa T, Kabuki N, Tomizawa S, et al. Prognosis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s excellent in children, when adequately diagnosed. Pediatr Int 2001;43: 463-7. 

  31. Dodge WF. Spargo BH. Travis LB. Srivastava RN, Carvajal HF. DeBeukelaer MM, Longley MP. Mechaca JA: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 prospective study in children. N Engl J Med 1972;286:27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