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에서 면역학적 지표의 변화
The Change of Immunologic Parameters in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3 no.2, 2009년, pp.138 - 145  

김도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승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경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윤유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황자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임정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고대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준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 (APSGN)에서 관찰되는 증가된 IgG를 포함한 면역학적 지표들의 입원 기간 중 변화와 IgG와 C3, ASO 및 임상 증상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톨릭대학교 대전 성모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APSGN 환아(ASO 250>Todd unit, C3<70 mg/dL) 36명을 대상으로 입원 시의 면역학적 검사 결과(IgG, IgM, IgA, IgE, C3 및 ASO 치)를 조사하였다. 또한 14명에서 퇴원 시(평균 9.5일 후) 실시한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APSGN 환아들의 평균 연령은 $7.5{\pm}2.6$세(3-15세)이었고, 남녀비는 2.3:1이었다. 입원 시의 고혈압(>125 mmHg)은 27.8%(10명/36명), 육안적 혈뇨는 80.1% (29명/36명), 체중 증가는 80% (24명/ 30명)에서 관찰되었다. 입원 시의 평균 IgG 값은 $1,432{\pm}322$ mg/dL으로 증가되어 있었으며(대조군 $1,025{\pm}234$ mg/dL, P<0.001), C3 값은 $26.1{\pm}16.1$ mg/dL, ASO 값은 $1,068{\pm}730$ Todd unit를 보였다. IgG 값과 ASO, C3를 포함한 검사실 지표 값들 및 임상적 중증도(체중 변화율)와는 연관이 없었다. 6세 이하 환아들(10명)과 8세 이상 환아들(15명)를 비교 시, 연장아에서 체중 변화율이 더 높았다(-0.6 % vs. -5.7%, P=0.01). 입원 기간 중 IgG 및 ASO 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3 (P=0.001) 및 IgM 값(P=0.02)은 증가를 보였다. 결론 : 입원 기간 중 APSGN 환아에서 IgG 및 ASO 값의 변화는 없었으나 C3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IgG 값은 C3, ASO를 포함한 검사실 소견 및 임상적 중증도와는 연관이 없었다. APSGN의 임상 양상은 연령이 어릴수록 이 더 경한 것으로 보이며, IgG 증가를 포함한 병태생리에 대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immunologic parameters during hospit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gG and other laboratory or clinical indices in patients with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charts of 36 ch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PSGN를 비롯한 감염-연관 면역질환에서 관찰되는 IgG의 증가와 다양한 임상 양상에 대한 저자들의 가설을 간단히 소개해 보고자한다. 감염 초기자연 면역반응으로 병원체 유래 및 생체 내 면역반응으로 생성된 염증 유도 매개물들(inflammatory mediators) 은 각각 친화성이 있는 세포막의 수용체에 작용하여(단백-수용체 결합) 세포내 신호 전달 단백의 활성과 궁극적으로 핵내 전사 인자에 작용하여 새로운 단백들을 생산한다.
  •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 (APSGN) 에서 관찰되는 증가된 IgG를 포함한 면역학적 지표들의 입원 기간 중 변화와 IgG와 C3, ASO 및 임상 증상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단백들 중 생체 내 독성 작용을 하는 단백들(pathogenic pro- teins)은 세포막 위 또는 세포내 수용체에 작용하여 또 다른 단백들이 생성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속 반응을 저지시키는 기전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독성 단백들을 제거하는 기전을 특이 면역반응으로 가정한다. 일차 면역 반응으로 생성된 물질들 중 항체를 만들 수 있는 큰 독성 단백의 경우 B세포에 의한 항체가 인식하여 이를 조절하고, 항체를 만들 수 없는 아주 작은 단백의 경우(세포막 위의 독성 단백 등)는 T세포에 의해 조절 된다고 가정한다.
  • 이러한 독성 단백들을 제거하는 기전을 특이 면역반응으로 가정한다. 일차 면역 반응으로 생성된 물질들 중 항체를 만들 수 있는 큰 독성 단백의 경우 B세포에 의한 항체가 인식하여 이를 조절하고, 항체를 만들 수 없는 아주 작은 단백의 경우(세포막 위의 독성 단백 등)는 T세포에 의해 조절 된다고 가정한다. T세포 수용체 (T cell receptor, TCR)와 B 세포의 항체는 항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특이 면역 반응의 초기에는 이를 인식하는 클론들의 발현에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비특이적인 T세포, B세포 및 기타 면역세포들이 먼저 작용하여 (polyclonal expansion), 부분적으로 생체 독성 단백들을 작용을 제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odrigez-Iturbe B, Musser JM. The current state of poststreptoccocal glomerulonephritis. J Am Soc Nephrol 2008;19:1855-4. 

  2. Ahn SY, Ingulli E.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n update. Curr Opin Pediatr 2008;20:157-62. 

  3. Bisino AL, Brito MO, Collins CM. Molecular basis of group A streptococcal virulence. Lancet Infect Dis 2003;3:191-200. 

  4. Kim YJ, Kim SJ. Resurgence of poststreptococccal acute glomerulonephritis in Chinju : clinical review of recent 10 years. Korean J Infect Dis 1998;30:516-20. 

  5. Koo SE, Hahn H, Park YS. A clinical study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from 1994-2003. Korean J Pediatr 2005;48:606-13. 

  6. Choi BH, Chu MA, Hong EH, Hwang HH, Cho MH, Ko CW. Changes of clinical findings of acute poststreptococal glomerulonephritis.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8;12:157-63. 

  7. Pais PJ, Kump T, Greenbaum LA. Delay in diagnosis in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J Pediatr 2008;15:560-4. 

  8. Blyth C, Robertson PW, Rogenberg AR.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Sydney: A 16-year retrospective review. J Paediatr Child Health 2007;43:446-50. 

  9. Rodrigez-Iturbe B, Carr RI, Garcia R, Rabideau D, Rurio L, McIntosh RM. Circulating immune complexes and serum immunoglobulins in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Clin Nephrol 1980;13:1-4. 

  10. Potter EV, Shaughnessy MA, Theo PK, Earle PD. Serum immunoglobulin A and antibody to M-associated protein in patients with acute glomerulonephritis or rheumatic fever. Infect Immunity 1982;37:227-34. 

  11. West CD, McAdams AJ. Serum and glomerular IgG in poststreptococcal glomerularnephritis are correlated. Pediatr Nephrol 1998;12:392-396. 

  12. Lee DW, Kim YB, Lee SB, Kwak IS, Rha H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oststeptococcal glomerulitis in elderly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1;20:834-7. 

  13. Yoshizawa N, Yamakami K, Fujino M, Oda T, Tamura K, Matsumoto K, et al. Nephritisssociated plasmain receptor and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Characterization of the antigen and associated immune response. J Am Soc Nephrol 2004;15:1785-93. 

  14. Mosquera J, Romero M, Viera N, Rincon J, Pedreanez A. Could streptococcal erythrogenic toxin B induce inflammatio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immune complex deposits in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Nephron Exp Nephrol 2007;105:e41-4. 

  15. Batsford SR, Mezzano S, Mihatsch M, Schiltz E, Rodriguez-Iturbe B. Is the nephritogenic antigen in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pyrogenic exotoxin B (SPE-B) or GAPDH? Kidney Int 2005;68:1120-9. 

  16. Balter S, Benin A, Pinto SW, Teixeira LM, Alvim GG, Luna E, et al. Epidemic nephritis in Nova Serrana, Brazil. Lancet 2000;355:1776-80. 

  17. Phillips J, Palmer A, Baliga R. Glomerulonephritis associated with acute pneumococcal pneumonia: a case report. Pediatr Nephrol 2005;20:1494-5. 

  18. Lee KY, Han JW, Lee JS, Whang KT. Alteration of biochemical profils after high-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 administration in Kawasaki disease. Acta Paediatr 2002;91:64-7. 

  19. Lee KY, Lee JS. Immunoglobulin G has a role for systemic protein modulation in vivo : a new concept of protein homeostasis. Med Hypotheses. 2006;67:848-55. 

  20. Lee KY. A hypothetic pathogenesis of Kawasaki disease. Proceedings of the 6th Arumal Meeting of the Korean Kawasaki Disease Symposium ; 2009 May 16; Seoul, Seoul: The Korean College of Kawasaki Disease, 2009:7-12. 

  21. Lee KY. Pediatric respiratory infections by Mycoplasma pneumoniae. Expert Rev Anti Infect Ther 2008;6:509-21. 

  22. Lee KY, Hong JH, Han JW, Lee JS, Lee BC, Burgner D. Features of Kawasaki disease at the extreams of age. J Paediatr Child Health 2006;42:423-7. 

  23. Popovic-Rolovic M, Kostic M, Antic-Peco A, Jovanovic O, Popovic D. Medium- and long-term prognosis of patients with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Nephron 1991;58:393-9. 

  24. Washio M, Oh Y, Okuda S, Yanase T, Miishima C, Fujimi S, et al.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the elderly. Clin Nephrol 1994;41:265-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