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구체신염의 병리 - 표본제작 및 기본병변 -
Pathology of Glomerulonephritis - Specimen Preparation and Basic Pathologic Changes -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5 no.1, 2011년, pp.29 - 37  

김용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장질환은 같은 병명의 환자 일지라도 개개인의 증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장병을 전공하는 임상의사는 신장병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검 현장에서의 조직을 나누는 방법부터 기본적인 조직처리 과정까지를 설명함으로써 병리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광학현미경 판독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특수 염색의 색깔 감별, 정상 사구체와 비정상 사구체의 감별점 등을 설명하였다. 면역형광 현미경 소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형적인 막성사구체신병증과 IgA 신증의 침착 형태를 대표적으로 설명하였다. 전자현미경 판독을 위해서 면역 복합체인 고전자 밀도의 침착이 잘 생기는 부위를 질환별로 설명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고 전자현미경으로만 감별 가능한 질환들을 설명하였다. 이 논문은 신장질환의 병리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소개에 불과하므로, 개별 질환의 판독을 위해서는 다른 신장병리 교과서나 문헌을 참고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course of renal diseases well, we must have basic knowledges of histologic procedures of renal biopsy samples as well as basic pathologic changes. This article describes the method of dividing the biopsy samples, fixatives for various pathologic examinations and basic pathologic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장질환은 같은 병명의 환자 일지라도 개개인의 증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장병을 전공하는 임상의사는 신장병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검 현장에서의 조직을 나누는 방법부터 기본적인 조직처리 과정까지를 설명함으로써 병리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광학현미경 판독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특수 염색의 색깔 감별, 정상 사구체와 비정상 사구체의 감별점 등을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장조직검사에 필요한 부위는 무엇인가? 신장조직검사에 필요한 부위는 사구체를 포함한 신장의 피질이다. 일반적인 성인의 신장 피질의 두께는 10 mm 이며 생검총이 채취할 수 있는 조직의 총 길이가 1 cm 정도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기술적으로 침의 끝이 신장표면에 닫는 그 지점에서 조직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장질환 치료 시 임상의사의 신장병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장질환은 같은 병명의 환자 일지라도 개개인의 증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장병을 전공하는 임상의사는 신장병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검 현장에서의 조직을 나누는 방법부터 기본적인 조직처리 과정까지를 설명함으로써 병리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신장조직검사시 채취할 수 있는 조직의 길이는 얼마인가? 신장조직검사에 필요한 부위는 사구체를 포함한 신장의 피질이다. 일반적인 성인의 신장 피질의 두께는 10 mm 이며 생검총이 채취할 수 있는 조직의 총 길이가 1 cm 정도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기술적으로 침의 끝이 신장표면에 닫는 그 지점에서 조직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Walker PD. The renal biopsy. Arch Pathol Lab Med 2009;133:181-8. 

  2. Van Damme B, Van Damme-Lombaerts R, Water M. Biopsy device for obtaining kidney specimens. Pediatr Nephrol 1990;4:94-5. 

  3. Michel B, Milner Y, David K. Preservation of tissue-fixed immunoglobulins in skin biopsies of patients with lupus erythematousus and bullous diseases-preliminary report. J Invest Dermatol 1972;59:449-52. 

  4. Jennett JC, Olson JL, Silva FG, 6th ed. Heptinstall's pathology of the kidney. philadelphia, Pen: Lippincott Wiliams & Wilkins Co, 2003:1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