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에서의 맹꽁이(Kaloula borealis) 산란지 분포
Distribution of Spawning Sites of Kaolula boreali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6, 2011년, pp.846 - 852  

고상범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고영민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오홍식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산란지 보호하기 위하여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5월에서 8월 사이에 조사하였다. 비가 오는 날 밤부터 다음날 낮 동안 울음소리를 통해 습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알과 유생의 유무로 산란지를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맹꽁이들이 산란지로 이용하는 습지는 83개의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습지를 산란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도별로는 150m이하가 전체의 81.9%였고, 산란지의 수심은 일반적으로 50cm를 넘지 않는 얕은 장소에 산란하고 있었다. 지역별 산란장소는 제주시 지역이 54개소로 서귀포시지역 29개소보다 많았는데 이는 서귀포시 지역이 과수원이 많아 습지가 더 많이 훼손된 결과로 판단된다. 성산읍인 경우는 갈대습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지역보다 산란지가 많이 보존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발에 앞서 산란지를 보호하고 서식장소를 제공하여 맹꽁이의 개체군을 보존하고, 이미 심각하게 손상되었거나 파괴된 산란지를 복원하게 하여 급격히 감소되어가는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d the spawning sites of Kaloula borealis in a large number of wetlands in Jeju Island between May and August from 2007 to 2010. Based on the surveys, we discovered the locations of their habitats by investigating their calls from a rainy night to the next day and where their spa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맹꽁이의 산란지 분포현황과 산란지 환경 및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주도는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이 많이 분포해 있어 다른 지역보다는 맹꽁이 서식 밀도가 높아 산란지특성을 연구하는데 최적인 장소로 보여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맹꽁이 집단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든 이유는? 특히 양서류는 전반적으로 환경지표종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에(Collins and Storfer, 2003) 양서류의 감소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문제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과거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맹꽁이(Kaloula borealis) 역시 지역개발 및 농약사용으로 인해 집단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든 종이다(Yang et al., 2001).
맹꽁이의 산란지를 무엇으로 판단했는가?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산란지 보호하기 위하여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5월에서 8월 사이에 조사하였다. 비가 오는 날 밤부터 다음날 낮 동안 울음소리를 통해 습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알과 유생의 유무로 산란지를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맹꽁이들이 산란지로 이용하는 습지는 83개의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습지를 산란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양서류의 감소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문제시 되는 이유는? , 2004, IUCN 2010). 특히 양서류는 전반적으로 환경지표종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에(Collins and Storfer, 2003) 양서류의 감소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문제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과거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맹꽁이(Kaloula borealis) 역시 지역개발 및 농약사용으로 인해 집단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든 종이다(Y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ollins, J.P. and A. Storfer(2003) Global amphibian declines: sorting the hypothese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9: 89-98. 

  2. Davidson, C., H.B. Shafer and M.R. Jennings(2002) Spatial tests of the pesticide drift, habitat destruction, UV-B, and climate- change hypotheses for California amphibian declines. Conserv. Biol. 16: 1,588-1,601. 

  3. Hamer, A.J. and M.J. McDonnell(2008) Amphibian ecology and conservation in the urbanising world: a review. Biol. Conserv 141: 2,432-2,449. 

  4. IUCN(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4. . Downloaded on 03 April 2011. 

  5. Kim, H.K.(1971)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Salientia of Korea. J Korean Res Inst for Better Living, Ewha Womans Univ. 6: 211-233. (in Korean) 

  6. Kim, J.C. and G.J. Lee(2010) A Study on Habitat Improvement for Narrow-mouth frog(Kaloula borealis) In-situ Conservation. Pro. Kor. Soc. Env. Eco. Con. 20(1): 150-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Y.J. and J.B. Kim(1980) Studies on the Karyotypes of Korean Anura. Korean J. Genetics 2: 90-99. 

  8. Lee, H.Y. and C.S. Park(1989)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the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and Nors on the Chromosomes of Kaloula borealis (Anura, Microhylidae). Korean J. Genetics 11(4): 253-261. 

  9. Lips, K.R.(1998) Decline of a tropical montane amphibian fauna. Conserv. Biol. 12: 106-117. 

  10. Stuar, S.N., J.S. Chanson, N.A. Cox, B.E. Young, A.S.L. Rodrigues, D.L. Fischman and R.W. Waller(2004) Status and trends of amphibian declines and extinctions worldwide. Science 306: 1,783-1,786. 

  11. Sung, H.C., S.K. Kim., S.W. Cheong., S.R. Park., D.C. Roh., K.W. Baek., J.H. Lee. and D.S. Park(2006) Estimating Detection Probabilities and Site Occupancy Rates of Three Anuran Species Using Call Surveys in Haenam Gun, Korea. J. Ecol. Field Biol. 29 (4): 331-335. 

  12. Wells, K.D.(1977) Territoriality and mating success in the green frog (Rana clamitans). Ecology 58: 750-762. 

  13. Yang S.Y. and C.H. Yu(1978) Check list of Korean amphibians. Bulletin of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nha University 5: 81-90. (in Korean) 

  14. Yang, S.Y., J.B. Kim, M.S. Min, J.H. Suh and Y.J. Kang(2000)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aloula borealis (Anura, Microhylidae) in Korea. Korean J. Biol. Sci. 4: 39-44. 

  15. Yang, S.Y., J.B. Kim, M.S. Min, J.H. Suh and Y.J. Kang(2001) Monograph of Korean Amphibia. Academy press, Seoul, 58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