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맹꽁이 포접쌍의 개체크기와 연령구조
Body Size and Age Structure of Mating Couples in Boreal Digging Frog(Kaloula boreali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3, 2014년, pp.281 - 286  

고상범 (주양서류생태연구소) ,  고영민 (주양서류생태연구소) ,  이정현 (국립습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맹꽁이 포접쌍의 개체별 크기와 연령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맹꽁이는 2013년 6월 제주도 성산읍과 대정읍에 위치한 습지에서 총 23쌍을 포획하였으며, 각 개체별 크기를 측정하고 연령을 확인하였다. 채집한 23쌍의 체장(SVL, snout-vent length), 체중, 앞다리 길이, 뒷다리 길이를 분석한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체중이 더 나가며 체장과 뒷다리의 길이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앞다리 길이는 암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맹꽁이 포접쌍 가운데 수컷의 평균 연령은 $5.17{\pm}0.26$살, 암컷은 $6.22{\pm}0.28$살로 나타났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평균연령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접한 맹꽁이의 연령은 최소 3살부터 최대 10살까지 분포하였다. 맹꽁이 수컷은 연령과 체장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암컷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보호 및 복원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size and age of Kaloula borealis, a pair in amplexus. In June 2013, the total 23 pairs of Kaloula borealis were captured in the wetland located in Seongsan-eup and Daejeong-eup, Jeju Island. Size and age of each individual have been examine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맹꽁이는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양서류로 이번 연구를 위하여 영산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연구를 위한 멸종위기야생동물 포획허가를 받아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맹꽁이 포접쌍 암컷과 수컷의 몸의 크기와 연령구조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양서류에서는 암컷이 수컷보다 몸이 크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 , 2001).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맹꽁이가 짝짓기를 할 때 포접쌍의 개체별 크기와 연령을 확인함으로서 개체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향후 인공증식시 산란률을 높일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개체군 증식 및 종 보존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서류의 짝짓기 행동에서 암컷의 몸집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짝짓기 행동에서 수컷들이 몸이 큰 암컷을 선택한다는 것은 양서류의 종족 번식을 위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모든 양서류에서 암컷의 몸의 크기는 생식력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Halliday and Verrell, 1988) 수컷들은 전략적으로 몸이 큰 암컷과 짝을 이루며, 이것은 암컷의 몸이 클수록 많은 알을 낳아 번식의 기회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Marco et al., 1998; Hettyei et al.
양서류에게 성공적인 번식을 위한 배우자 선택이 민감한 사항인 이유는 무엇인가? 양서류에서 번식은 종족을 유지하기 위해 아주 중요한 일이다. 성공적인 번식을 위한 배우자 선택은 대단히 민감한 사항으로 많은 연구자들에게서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양서류가 배우자선택에 있어 반응하는 것은 무엇인가? , 2010). 이것은 양서류가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몸의 크기나 앞다리 길이, nuptialpad, 암컷을 유인하기 위한 울음 등에 많은 반응을 하기 때문이다(Bastos and Haddad 1996; Sullivan and Hinshaw 1992; Cherry 1993; Liao and Lu 2011). 양서류의 배우자 선택 과정중, 암컷이 수컷을 선택한다는 연구에서는 울움소리나 몸의 크기, 구애행동 등 여러 요인들에서 상대적으로 우세한 능력을 갖는 수컷을 암컷이 선택한다는 것이다(Davies and Halliday 1979; Bastos and Haddad 1996; Taylo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dersson, M. (1994) Sexual sele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 Arntzen, J.W.(1999) Sexual selection and male mate choice in the common toad, Bufo bufo. Ethology Ecology & Evolution 11: 407-414. 

  3. Bastos, R.P. and C.F. Haddad(1996) Breeding activity of the neotropical treefrog Hyla elegans (Anura, Hylidae). Journal of Herpetology 30: 355-360. 

  4. Bell, M.B.(2010) Sex and age influence responses to changes in the cost of cooperative care in a social carnivore. Behavioral Ecology 21: 1118-1123. 

  5. Byrne, P.G. and M.J. Whiting (2008). Simultaneous polyandry increases fertilization success in an african foam-nesting treefrog. Animal Behaviour 76: 1157-1164. 

  6. Cherry, M.I.(1993) Sexual selection in the raucous toad, Bufo rangeri. Animal Behaviour 45: 359-73. 

  7. Davies, N.B. and T.R. Halliday(1979) Competitive mate searching in male common toads, Bufo bufo. Animal Behaviour 27: 1253-1267. 

  8. Duellman, W.E(1992) Reproductive strategies of frogs. Scientific American 267: 80-87. 

  9. Ento, K. and M. Matsui(2002) Estimation of age structure by skeletochronology of a population of Hynobius nebulosus in a breeding season (Amphibia, Urodela). Zoological Scienece 19: 241-247. 

  10. Gerhardt, H.C., R.E. Daniel., S.A. Perrill and S. Schramm(1987) Mating behaviour and male mating success in the green treefrog. Animal Behaviour 35: 1490-1503. 

  11. Guarino, F. M., F. Angelini and M. Cammarota(1995) A Skeletochronological analysis of three syntopic amphibian species from southern Italy. Amphibia-reptilia 16: 297-302. 

  12. Halliday, T.R. and P.A. Verrell(1988) Body size and age in amphibians and reptiles. Journal of Herpetology 22: 253-265. 

  13. Harrison, F., Z. Barta, I. Cuthill and T. Szekely(2009) How is sexual conflict over parental care resolved? A meta-analysis.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22(9): 1800-1812. 

  14. Hemelaar, A.(1988) Age, growth,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Bufo bufo from different latitudes and altitudes. Journal of Herpetology 22: 369-388. 

  15. Hettyei, A., J. Torok and G. Hevizi(2005) Male mate choice lacking in the agile frog, Rana dalmatina. Copeia 2: 403-408. 

  16. Ko, S.B., J.H. Lee and H.S. Oh(2011) Age Structure Analysis of Kaloula boreali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6): 861-8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yriakopoulou-Sklavounou, P., P. Stylianou and A. Tsiora(2008) A skeletochronological study of age, growth and longevity in a population of the frog Rana ridibunda from southern Europe. Zoology 111(1): 30-36. 

  18. Liao, W.B. and X. Lu(2011) Male mating success in the Omei treefrog (Rhacophorus omeimontis): the influence of body size and age. Belgian Journal of Zoology 141: 3-12. 

  19. Lee, J.H. and D.S. Park(2008) Effects of physical parameters and age on the order of entrance of Hynobius leechii to a breeding pond.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1(3): 183-191. 

  20. Marco, A., J. M. Kiesecker, D.P. Chivers and A. R. Blaustein(1998) Sex recognition and mate choice by male western toads, Bufo boreas. Animal Behaviour 55: 1631-1635. 

  21. Marquez, R., J. Bosch and X. Eekhout(2010) Intensity of female preference for call source level in midwife toads Alytes cisternasii and A. obstetricans. Behaviour 147(9): 1185-1199. 

  22. Peters, S.E. and D.A. Aulner(2000) Sexual dimorphism in forelimb muscles of the bullfrog, Rana catesbeiana: a functional analysis of isometric contractile propertie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3: 3639-3654. 

  23. Shirose, L.J., R.J. Brooks, J.R. Barta and S.S. Desser(1993) Inter-sexual difference in growth, mortality, and size at maturity in bullfrogs in central Ontario. Canadian Journal of Zoology 71: 2363-2369. 

  24. Sullivan, B.K. and S.H. Hinshaw(1992) Female choice and selection on male calling behaviour in the grey treefrog Hyla versicolor. Animal Behaviour 44: 733-44. 

  25. Sullivan B.K., M.J. Ryan and P.A. Verrel(1995) Female choice and mating system structure. In: Heatwole, Sullivan, B.K., (ed), Amphibian biology. Volume 2. Social behaviour. Chipping Norton (UK): Surrey Beatty & Sons, 469-517pp. 

  26. Taylor, R.C., B.A. Klein, J. Stein and M.J. Ryan(2011) Multimodal signal variation in space and time: how important is matching a signal with its signaler?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14: 815-820. 

  27. Telford S.R., M.L. Dyson and N.I. Passmore(1989) Mate choice occurs only in small choruses of painted reed frogs Hyperolius marmoratus. Bioacoustics 2: 47-53. 

  28. Trivers, R.(1972) Parental investment and sexual selection. In: Campbell, B. (ed), Sexual selection and the descent of man. Aldine Publishing Co., Chicago, 136-179pp. 

  29. Yang, S.Y., J.B. Kim, M.S. Min, J.H. Suh and Y.J. Kang(2001) Monograph of Korean Amphibia. Academy press, Seoul. (Korean) 

  30. Yekta, N. and D. Blackburn(1992) Sexual dimorphism in mass and protein content of the forelimb muscles of the Northern leopard frog Rana pipiens. Canadian Journal of Zoology 70(4): 670-674. 

  31. Wei, Z., H.E Jia-fei, L.I. Ming-hui and L.I. Wei(2006) Behavior and morphologic adaptive selection of sexual partnership in a population of verrucous digging frog(kaloula verrucosa) from Kunming. Zoological Research 27(2): 169-1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