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산불관리의 주체는 관할시도 행정자치 단체이므로,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불 발생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산불 발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행정구역도를 기반으로 전국을 9개로 분할하고, 각 권역에서 1991년부터 2008년까지 발생한 산불의 위치 data를 사용해서 공간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불 발생 자료의 공간 분포베리오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도출된 공간자기상관성을 가지고 Kriging 기법을 통해 산불발생위험을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대도시를 포함하는 권역에서는 산불이 강한 공간상관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강원도, 제주도, 충청북도 등의 대도시를 포함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산불의 공간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 in Korea has been controlled by local government, so that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forest fire occurrenc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patterns of regional forest fire occurrences, we divided South Korea into nine zon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고려하지 않고 산불 발생 그 자체만을 이용하여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한 다음 산불 발생에 대한 위험을 예측한 것이다. 따라서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 특히 산불과 같이 몇 지점에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특징을 갖고 있는 자료는 강한 공간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리오그램 분석을 이용하여 산불 발생이 각 지역별로 얼마만큼의 공간적인 상관을 갖고 있는지 수치적으로 분석을 해 보았으며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통해 kriging 기법을 이용하여 지역별로 산불이 발생한 지역뿐만 아니라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지점의 위험정도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통계적 분석은 어떤 개념을 기초로 하는가? 공간통계적 분석은 공간정보를 가진 한 자료는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자료 보다는 공간적으로 가까운 값들과 더 높은 상관을 갖는다는 개념을 기초로 하고 있다(Schabenberger와 Gotway, 2005). 어떤 현상이 어떠한 공간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은그 현상의 형성과정과 요인을 밝히는 일 중 하나이므로 (국토연구원, 2004), 산불발생에 대한 공간적인 패턴의 파악과 공간관계의 해석이 가능하다면 공간 관련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경우, Nugget 값의 수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특히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경우, Nugget 값의 수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이 지역 내에서 가까운 거리 안에서도 값의 변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산 지역의 경우 서울만큼 높지는 않지만 역시 Nugget 값이 다른 지역보다 크게 나타난 것도 같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된다.
공간자기상관성은 어떤 것들을 통해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공간자기상관이란한 지점의 값이 다른 지점의 값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 공간자기상관성은 반베리오그램(Semivariogram), 상관그램(Correlogram), 공분산(Covariance), 매도그램(Madogram) 등을 통해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최종근, 2007). 본 연구에서는 반베리오그램을 이용하여 공간자기상관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구교상, 2008, 산불 발생 분포와 지형, 지리, 기상 인자간의 관계 분석,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pp.465-470. 

  2.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구교상, 이병두, 이명보,. 2010,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분석, 한국임학회지, 99권, 3호, pp.259-266. 

  3. 국토연구원, 2004, 공간분석 기법, 한울아카데미. 

  4. 김동휘, 류동우, 김민태, 이우진, 2010, 압축지수의 추정 방법이 압밀침하량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6권, 10호, pp.39-47. 

  5.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43권, 6호, pp.1002-1015. 

  6. 변영기, 허용, 김용민, 유기윤. 2007. 국지적 공간산관분석을 이용한 MODIS영상에서의 산불탐지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5권, 1호, pp.23-29. 

  7. 류희영, 이기원, 권병두, 2008, 도시원격탐사에서 베리오그램을 이용한 최적의 분석범위 구역화,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4권, 2호, pp.107-115. 

  8. 산림청, 2009, 2009년 산불통계연보. 

  9. 산림청, 2010, 2011년 업무계획. 

  10. 성미경, 임규호, 최은호, 이윤영, 원명수, 구교상, 2010, 기후 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 대기, 20권, 1호, pp.27-35. 

  11. 안상현,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신영철, 2004, 공간분석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권, 4호, pp.57-64. 

  12. 양인태, 유영걸, 최승필, 김응남. 1999. GSIS에 의한 산불 피해 지점의 공간 분포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7권, 2호, pp.93-100. 

  13. 우광성, 박진환, 이희정, 2008, 베리오그램 모델 변화에 따른 정규 크리깅 보간법의 민감도 분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1권, 3호, pp.295-304. 

  14. 이시영, 이해평, 2006,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0권, 2호, pp.54-63. 

  15. 이시영, 안상현, 원명수, 이명보, 임태규, 신영철, 2004,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권, 2호, pp.37-46. 

  16. 이종수, 이우균, 윤정호, 송철철, 2006,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한국임학회지, 95권, 6호, pp.663-671. 

  17. 최승필, 김동희, 이석균, 2006, 위성영상 자료에서 요인 분석에 의한 산불 피해 지역 추출, 지형공간정보, 14권, 1호, pp.13-19. 

  18. 최정순, 박만식, 원유복, 김학열, 허태영, 2010, 공간적 연관구조를 고려한 총범죄 자료 분석, 응용통계연구, 23권, 2호, pp.335-344. 

  19.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pp. 386. 

  20. 최현우, 김계현, 이철용, 2007, 해양환경 공간분포 패턴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광양만을 사례지역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권, 4호, pp.60-74. 

  21. Choi, H.A., Lee, W.K., Kim, S.A., Kwak, H.B., 2008.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eoul,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16, no. 4, pp.467-478. 

  22. Choi, H.A., Lee, W.K., Byun, J.G., Kwak, H.B., Kim, S.R., Byun, W.H., 2010. Spatial Distribution of Tree Radial Growth to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in Seoul Central Urban Forest, Journal of Forest Planning Japan. 

  23. Goovaerts,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4. Kasischke, E., Williams, D. and Barry, D., 2002,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arge fires in the boreal forest region of Alask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11, pp.131-144. 

  25. Kim, S.N., Lee, W.K., Shin, K.I., Kafatos, M., Seo, D.J., Kwak, H. 2010.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Predicting Climate Factors in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6, no. 2, pp.97-109. 

  26. Lee, W.K., Biging, G.S., Son, Y., Lee, K.H., Son, Y.M., 2006. Geo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stem taper form of Pinus densiflora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vol.21, pp.513-525. 

  27. McCoy, V.M., and Burn, C.R., 2005, Pontential Alteration by Climate Change of the Forest-Fire Regime in the Boreal Forest of Central Yukon Territory, Arctic vol.58, no.3, pp.276-285. 

  28. Schabenberger, O. and Gotway, C.A.,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CRC, Boca Raton. 

  29. Yang, J., He, H., Shifley, S. and Gustafson, E., 2007, Spatial patterns of modern period human-caused fire occurrence in the Missouri Ozark Highlands, Forest Science, vol.53, no.1, pp.1-15. 

  30. Zhang, C. and Selinus. O., 1997, Spatial analysis for copper, lead, zinc contents in sediments of the Yangtze River basin,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204, pp.251-2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