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습 음주운전자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음주운전 대책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easures for reducing Drunk Driving exploi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eterate Drunk Driver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9 no.5, 2011년, pp.91 - 104  

박원범 (도로교통공단) ,  장석용 (도로교통공단) ,  정헌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음주운전자 중 과거 음주운전 전력이 2회 이상인 경우가 많아 음주운전을 상습적으로 하는 운전자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적 음주운전자들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특성 및 대책을 모색하고자 비음주운전자들과 1~2회 이상 음주운전자들 집단 간 차이를 구조방정식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알아보고 대책마련을 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음주운전 단속 전력별로 운전자들의 희망 치료 방식 및 교육내용을 파악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방어기제(합리화, 투사, 승화)와 음주운전 심리(죄의식, 수치심, 곤혹감), 자존감(긍정, 부정)을 이론변수로 사용하여 음주운전 전력별 음주운전 심리특성 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음주운전 심리특성 모형의 분석 결과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음주운전 예방 및 저감대책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음주운전 단속 전력과 한국형 알코올 중독자 선별 검사 점수를 대응분석하여 개인의 음주특성에 따른 음주운전 대책 부분을 보완 할 수 있었다. 또한, 음주운전 2회 이상 전력자를 상습 음주 운전자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statistics, drunk drivers who repeatedly violate the DUI (Driving under influence) regulation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and now the habitual drunk drivers become a societal problem. Employing a confirmative factorial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sis psycholog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기법을 통해 상습 음주운전이 음주운전자 자신의 자존감과 방어기제, 음주운전 처벌을 바라보는 심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는 가정 하에 경로 및 구조 분석을 시행했다. 구축된 모형을 중심으로 상습 음주운전자 심리적 특성을 감안한 음주운전 예방 및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상습 음주운전자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음주운전에 대한 경험 횟수를 근거로 3회 이상 단속 및 사고 운전자들을 상습 음주운전자 집단(집단-4)으로 초기 설정하고 2회 전력자 집단(집단-3), 1회 전력자 집단(집단-2) 및 무 전력자 집단(집단-1)과의 심리적 차이를 찾아봄으로써 상습 음주운전자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음주운전 예방 및 저감 대책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 또한 집단별 특성별 대책 외에도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공통적인 대책도 도출할 수 있었고 그 결과를 에 함께 정리하였다.
  • 또한, 각각의 집단별 음주운전 심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측변수와 이론변수 간의 경로 및 구조를 구조방정식 기법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심리특성에 맞는 대책을 마련하여 에 함께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음주운전 전력의 유무와 전력 횟수에 따른 운전자의 심리적 특성을 집단별로 구조화하고, 상습적 음주 운전자에 대한 대책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음주운전과 관련된 방어기제(합리, 투사, 승화)와 자존감, 그리고 운전자의 심리(죄의식, 수치심, 곤혹감) 등의 요인들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론변수로 구축했으며 이 변수들이 각 집단들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 및 경로를 분석하여 대책 마련에 사용하였다.
  • 상습 음주운전자의 범위는 최근 5년 이내에 3회 이상 경찰청의 음주운전 적발 및 사고 경험 운전자로 초기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음주운전자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음주운전 관련 심리적 이론을 중심으로 방어기제와 자존감, 죄의식, 수치심, 곤혹감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설문 내용 및 대상을 결정하였다2).
  • 이러한 사유로 인해 집단 구분이 국외 상습음주운전자 정의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음주운전자 개인의 음주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형 알코올 중독자 선별 검사(National Alcoholism Screening Test, 이하 NAST) 점수와 음주운전 단속횟수를 대응분석하여 <표 8> ∼ <표 10>, <그림 1>과 같이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첫째, 독립 모델이란 관측변수 간에 상관이 없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관측된 분산공분산행렬은 대각요소에 분산 외에는 모두 0으로 가정한 것으로 모델 적합성이 나쁜 것이 될 것이다. 둘째, 포화 모델이란 파라미터에 구속을 전혀 가하지 않는 것이다.
  • 관측된 분산공분산행렬은 대각요소에 분산 외에는 모두 0으로 가정한 것으로 모델 적합성이 나쁜 것이 될 것이다. 둘째, 포화 모델이란 파라미터에 구속을 전혀 가하지 않는 것이다. 아무런 구속도 없으므로 모델을 데이터에 완전히 적합 시킬 수 있다.
  • 본 연구는 음주운전자들의 심리에는 방어기제(합리화, 투사, 승화)와 음주운전 심리적 특성(죄의식, 수치심, 곤혹감)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음주운전 무 전력자와 1~2회 전력자, 3회 이상 전력자는 이러한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추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음주운전자들의 심리에는 방어기제(합리화, 투사, 승화)와 음주운전 심리적 특성(죄의식, 수치심, 곤혹감)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음주운전 무 전력자와 1~2회 전력자, 3회 이상 전력자는 이러한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추정하였다.
  • 가장 일반화된 모델, 혹은 초기적인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제로 모델이란 모든 파라미터를 0으로 고정한 것이다. 따라서 구속이 가장 엄한 모델이다.
  •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각각의 관측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경로계수는 집단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음주운전의 단속 전력에 따라 음주운전 심리특성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대조군으로 선정된 집단-1에 비해 경로계수가 15% 이상 변동이 발생한 추정치는 <표 11>과 같다.
  • 주) 자존감 부정과 긍정의 점수는 0 ~6점의 7점 척도임.
  • 첫째, 독립 모델이란 관측변수 간에 상관이 없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관측된 분산공분산행렬은 대각요소에 분산 외에는 모두 0으로 가정한 것으로 모델 적합성이 나쁜 것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어기제란? 방어기제란 합리적인 방법으로 자아가 불안에 대처하지 못할 때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현실을 도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제를 말한다. 방어기제는 신경증상의 결정적 요소(Freud, 1894, 1926)인 동시에 개인의 성격적 특징, 생활 양식, 적응방식 등에 많은 영향을 준다(Brenner, 1976; maddi, 1980).
지나친 방어기제의 사용읜 어떠한 수준에서 작용하는가? 그러나 지나친 방어기제의 사용은 새로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심각한 부적응의 원인이 된다. 이는 무의식 수준에서 작용하며 현실을 왜곡, 변형 또는 기만하는 공통점을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음주운전과 관련성이 클 것이라 예상되는 방어기제는 합리화, 투사, 승화로 나타났다.
방어기제는 어떠한 부분에 영향을 주는가? 방어기제란 합리적인 방법으로 자아가 불안에 대처하지 못할 때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현실을 도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제를 말한다. 방어기제는 신경증상의 결정적 요소(Freud, 1894, 1926)인 동시에 개인의 성격적 특징, 생활 양식, 적응방식 등에 많은 영향을 준다(Brenner, 1976; maddi, 1980). 방어기제에 의한 행동은 일시적으로 긴장을 해소해 주고, 현재의 자아를 용인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구본권(1994), "방어기제에 관한 고찰". 강남대논문집 신학인문사회, 25, pp.273-304. 

  2. 김재은.이근후.김정규.박영숙(1991), "이화방어기 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 하나 의학사. 

  3. 도로교통공단(2008), "음주운전의 심리사회적 결정 요인과 대책연구I, II". 

  4. 도로교통공단(2010), "2009년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화 평가". 

  5. 박원범(2007), "규제정책의 순응 및 불응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음주운전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여광응(외 1992),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양서원. 

  7. 이순우(2011), "음주운전 규제정책이 규제순응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장석용.정헌영.고상선(2011), "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과 운전태도 변화 메커니즘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57-62. 

  9. 장석용.정헌영.이원규.고상선(2008), "Q 분석 방법을 이용한 운전자 운전성향별 유형화에 관한 연구(교통법규 위반자 및 교통사고 야기자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65-180. 

  10. 전영실(2009), "음주운전의 억제요인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pp.257-277. 

  11. 정채기(2003), "교육심리학", 학문사. 

  12. 최재원.정헌영.장석용.김광욱(2010),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내버스 교통사고 및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3-83. 

  13. Brenner, C.(1976), "Psychoanalytic technique and psychic conflic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4. Ihilevich, D., & Glaser, G. C.(1986), "Defense mechanism: Their classfication, correlate and measurement with the defense mechanism inventory", Owosso, MI: DMI Assoc. 

  15. Ng, R.(1993), "The construction of true and false selves in adolescence, Paper presented at the viennial meeting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LA. 

  16. Rosenberg, M.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y well-being in adolescence", In R, L, Leahy(Ed.), The development the self (pp.205-246), New York: Academic press. 

  17. Slagel, S. J.(1965), "Self esteem and patterns of defense", Unpublished doctro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