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 JK-1의 생물계면활성도를 위한 최적 배지 조성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the Production of Crude Biosurfactant by Bacillus subtilis JK-1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4 no.1, 2011년, pp.7 - 14  

주명훈 (인제대학교 대학원 분자의생명공학과) ,  김지연 (인제대학교 기초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원유, 휘발유, 등유, 경유를 분해하면서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균주인 B. subtilis JK-1을 선별하여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류를 조사하였다. B. subtilis JK-1은 탄소원인 1.0%(w/v) soluble starch와 질소원인 0.5% (w/v) skim milk를 포함한 배지에서 96 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가장 많은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으며, 이 때 탄소원과 질소원의 비율은 2.0이었다. 그리고 0.1% (w/v)의 $KNO_3$는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최적 무기염으로 확인되었다. B. subtilis JK-1은 LB 배지와 TSB 배지보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최적 배지에서 더 많은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최적 배지에서 B. subtilis JK-1 배양액의 표면장력은 균주 접종 후 48시간 만에 47.3 dyne/cm에서 24.0 dyne/cm로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subtilis JK-1 showed degradation activity against crude oil, gasoline, kerosene, and light oil, and this strain was used as a crude biosurfactant producing microorganism in this study. To optimize the culture medium for production of crude biosurfactant, the influences of various carbon, 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96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최고의 생물계면활성을 나타내는 시간은 본 연구에서 확립한 최적 배지가 좀 더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생물계면활성도를 위한 보다 경제적인 배지를 모색하기 위해 쌀겨나 폐옥수수, 깻묵 등과 같은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 배지 종류에 따른 생물계면활성도 조사. TSB와 LB 배지, 본 연구에서 확립한 생물계면활성도를 위한 최적 배지에 B.
  • 본 연구에서는 원유, 휘발유, 등유, 경유를 분해하면서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균주인 B. subtilis JK-1을 선별하여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류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생물계면활성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7가지 Bacillus 균주들을 순수 분리한 바 있으며, sheep blood agar 배지와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선별 방법을 이용하여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균주를 확인하였다[Joo 등, 2007]. 이들 중 최종 선별된 Bacillus subtilis JK-1의 생장과 생물계면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탄소원과 질소원의 비율, 무기염을 변화시키면서 각종 인자에 따른 생물계면활성 양상을 조사하여 최적 배지 조성을 결정하였다.
  • 생물계면활성도를 위한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 비율 조사. 상기에서 결정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결과를 통해 생물계면활성도에 적합한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 비율을 검토하였다.
  •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 비율 검토. 생물계면활성도에 적합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 비율을 검토하였다. 최적 탄소원의 농도를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류분해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생물학적 정화기법은 석유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오염지역의 유류를 분해하는 방법, 즉 미생물들이 탄화수소(hydrocarbon)를 탄소원이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유류분해 과정에는 온도와 산소공급,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의 농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이 방법에서는 미생물이 살아갈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Cubitto 등, 2004; Lai 등, 2009; Amani 등, 2010].
유류 유출로 인한 자연환경의 오염의 해결책으로 어떤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가? 유류 유출로 인한 자연환경의 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해양과 토양 복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해양사고에 의한 유류 유출 시 유류 오염 정화의 한 방법으로 미생물을 응용한 생물학적 정화기법이 시도되고 있다. 생물학적 정화기법은 석유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오염지역의 유류를 분해하는 방법, 즉 미생물들이 탄화수소(hydrocarbon)를 탄소원이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생물학적 정화기법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해양사고에 의한 유류 유출 시 유류 오염 정화의 한 방법으로 미생물을 응용한 생물학적 정화기법이 시도되고 있다. 생물학적 정화기법은 석유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오염지역의 유류를 분해하는 방법, 즉 미생물들이 탄화수소(hydrocarbon)를 탄소원이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유류분해 과정에는 온도와 산소공급,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의 농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이 방법에서는 미생물이 살아갈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Cubitto 등, 2004; Lai 등, 2009; Amani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Ajlani MM, Sheikh MA, Ahmad Z, and Hasnain S (2007) Production of surfactin from Bacillus subtilis MZ-7 grown on pharmamedia commercial medium. Microb Cell Fact 6, 17-24. 

  2. Amani H, Mehrnia MR, Sarrafzadeh MH, Haghighi M, and Soudi MR (2010) Scale up and application of biosurfactant from Bacillus subtilis in Enhanced Oil recovery. Appl Biochem Biotechnol 162, 510-523. 

  3. Amezcua-Vega C, Poggi-Varaldo HM, Esparza-Garcia F, Rios-Leal E, and Rodriguez-Vazquez R (2007)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on fatty acids composition of a biosurfactant produced by Candida ingens and changes of surface tension of culture media. Bioresour Technol 98, 237-240. 

  4. Banat IM, Makkar RS, and Cameotra SS (2000) Potential commercial applications of microbial surfactants. Appl Microbiol Biotechnol 53, 495-508. 

  5. Bognolo G (1999) Biosurfactants as emulsifying agents for hydrocarbons.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152, 41-52. 

  6. Cameotra SS and Makkar RS (2004) Recent applications of biosurfactants as biological and immunological molecules. Curr Opin Microbiol 7, 262-266. 

  7. Cubitto MA, Moran AC, Commendatore M, Chiarello MN, Baldini MD, and Sineriz F (2004) Effects of Bacillus subtilis O9 biosurfactant on the bioremediation of crude oil-polluted soils. Biodegradation 15, 281-287. 

  8. Desai J and Banat I (1997) Microbial production of surfactants and their commercial potential. Microbiol Mol Biol Rev 61, 47-64. 

  9. Fonseca RR, Silva AJ, De Franca FP, Cardoso VL, and Servulo EF (2007) Optimizing carbon/nitrogen ratio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by a Bacillus subtilis strain. Appl Biochem Biotechnol 137-140, 471-486. 

  10. Haddad NIA, Wang J, and Mu B (2009) Identification of a biosurfactant producing strain: Bacillus subtilis HOB2. Protein Pept Lett 16, 7-13. 

  11. Hur SH, Yang JS, and Hong JH (2002) Production of biosurfactant using Bacillus sp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89-393. 

  12. Joo MH, Hur SH, Han YS, and Kim JY (2007)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rains from the traditional Korean soybean-fermented food, Chungkookjang. J Appl Biol Chem 50, 202-210. 

  13. Joshi S, Bharucha C, and Desai AJ (2008) Production of biosurfactant and antifungal compound by fermented food isolate Bacillus subtilis 20B. Bioresour Technol 99, 4603-4608. 

  14. Kim HS, Yoon BD, Lee CH, Suh HH, Oh HM, Katsuragi T, and Tani Y (1997)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a lipopeptide biosurfactant from Bacillus subtilis C9. J Ferment Bioeng 84, 41-46. 

  15. Lai CC, Huang YC, Wei YH, and Chang JS (2009) Biosurfactantenhanced removal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from contaminated soil. J Hazard Mater 167, 609-614. 

  16. Lang S (2002) Biological amphiphiles (microbial biosurfactants).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7, 12-20. 

  17. Maier RM, Neilson JW, Artiola JF, Jordan FL, Glenn EP, and Descher SM (2001) Remediation of metal-contaminated soil and sludge using biosurfactant technology.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14, 241-248. 

  18. Makkar RS and Cameotra SS (1998) Production of biosurfactant at mesophilic and thermophilic conditions by a strain of Bacillus subtilis. J Ind Microbiol Biotechnol 20, 48-52. 

  19. Mukherjee S, Das P, and Sen R (2006) Towards commercial production of microbial surfactants. Trends Biotechnol 24, 509-515. 

  20. Pagilla KR, Sood A, and Kim H (2002) Gordonia (nocardia) amarae foaming due to biosurfactant production. Water Sci Technol 46, 519-524. 

  21. Wei YH, Wang LF, Changy JS, and Kung SS (2003) Identification of induced acidification in iron-enriched cultures of Bacillus subtilis during biosurfactant fermentation. J Biosci Bioeng 96, 174-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