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식세포 내에서의 홍화자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rthamus tinctorious Seed Extracts in Raw 264.7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1 = no.153, 2013년, pp.55 - 62  

김동희 (한국한방산업진흥원) ,  황은영 (한국한방산업진흥원) ,  손준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홍화자 추출물이 항염증에 대한 실험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에 착안하여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홍화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염증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산화질소와 cytokine의 생산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세포는 LPS 처리 후 한 시간 뒤에 홍화자 추출물을 처리를 하였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5, 10, 25 및 50 ${\mu}g/ml$를 사용하였다. 홍화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O, $PGE_2$, TNF-${\alpha}$, IL-$1{\beta}$, IL-6, iNOS, COX-2의 생성을 저해 시켰다. $PGE_2$는 50 ${\mu}g/ml$의 농도에서 60%에 가까운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iNOS와 COX-2 역시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4%, 65%가 저해가 되었다. 게다가 홍화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 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홍화자 추출물은 염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ion effect of extract of Carthamus tinctorious seed, on skin obtained from Gyeong buk, Korea. Regulatory mechanisms of cytokines and nitric oxide (NO) involved in immunological activity of Raw 264.7 cells. Tested cells were pretreated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홍화자 분획물이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세포주에서 염증 관련 매개 물질인 NO, PGE2의 생성과 관련 단백질 및 mRNA의 발현 양상 및 염증성 cytokine을 측정함으로서 항염증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식세포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홍화자에는 비타민 E, 천연 미네랄(칼슘, 알루미늄 및 브롬)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영양상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linoleic acid와 oleic aicd의 glyceride가 주성분인 20~30%의 지방유와 acacetin, cosmosin, serotonin, serotonin conjugate, serotobenin이 밝혀져 있지만, nitric oxide 소거를 통한 염증보고는 미비한 상황이다[11,31]. 대식세포는 능동 및 수동 면역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PG) 그리고 pro-inlfammatory cytokine들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 매개물질들을 조절한다[8]. 이러한 염증성 매개물질은 효과적인 염증반응을 유도하며 생체나 조직에서 물리적이거나 화학적 물질에 의한 자극이나 세균 감염 등에 의한 다양한 기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숙주의 방어작용으로 빠르게 활성화 된다.
홍화란? 주요약용식물의 하나인 홍화(Carthamus tinctorious L.)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이다. 홍화꽃은 수용성의 황색색소와 불용성의 적색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염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아울러 한방에서 어혈, 통령 및 고지혈증 치료제로서 홍화탕, 활혈통경탕의 처방제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17].
대식세포가 만들어 분비하는 면역 조절 물질이 지나치게 생산되면 어떤 질환이 생깁니까? 이런 물질들은 선천성 및 후전성 면역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 그러나 이런 물질들이 과잉 생산 되었을 때에는 세균성 패혈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 염증, 자가면역 질환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6].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경북 약용작물 홍화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에 의한 세포 독성을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를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utler, B. and Cerami, A. 1989. The biology of cachectin/ TNF- ${\alpha}$ primary mediator of the host response. Annu Rev Immunol 7, 625-655. 

  2. Dendorfer, U. 1996. Molecular biology of cytokines. Artif Org 20, 437-444. 

  3. Dinarello, C. A. 1994.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interleukin-1. Eur Cytokine Netw 5, 517-531. 

  4. Funk, C. D., Funk, L. B., Kennedy, M. E., Pong, A. S. and Fitzgerald, G. A. 1991. Human platelet/erythroleukemia cell prostaglandin G/H synthase: cDNA cloning, expression, and gene chromosomal assignment. FASEB J 5, 2304-12. 

  5. Higuchi, M., Hisgahi, N., Taki, H., and Osawa, T. 1990.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 144, 1425-1431. 

  6. Hilliquin, P., Borderie, D., Hernvann, A., Menkes, C. J. and Ekindjian, O. G. 1997. Nitric oxide as S-nitrosoproteins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40, 1512-1517. 

  7. Hippeli, S. and Elstner, E. F. 1999. Inhibition of biochemical model reactions for inflammatory processes by plant extracts: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Free Radic Res 31, 81-87. 

  8. Iontcheva, I., Amar, S., Zawawi, K. H., Kantarci, A. and VanDyke, T. E. 2004. Role for moesin in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signal transduction. Infect. Immun. 72, 2312-2320. 

  9. Jee, S. O.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Kor J Plant Res 22, 145-151. 

  10. Jew, S. S., Bae, O. N. and Chung, J. H. 2003.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siaticoside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Raw-264.7 cell line. J Toxicol Pub Health 19, 33-37. 

  11. Kim, M. R., Seo, B. R. and Yang, C. H. 2003. Effects of safflower seeds extract on serum sex hormone levels in ovariectomized rats. Kor J Herbol 18, 33-39. 

  12. Kim, J. Y., Jung, K. S. and Jeong, H. G. 2004. Suppressive effects of the kahweol and cafestol on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macrophages. FEBS Lett 569, 321-326. 

  13. Lee, K. H., Cho, Y. L., Joo, C. G., Joo, Y. J., Kwon, S. S. and Park, C. 2011. Study on the anti-iflammatory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J Med Crop Sci 19, 426-434. 

  14. Masferrer, J. L., Zweifel, B. S., Manning, P. T., Hauser, S. D., Leahy, K. M., Smith, W. G., Isakson, P. C. and Seibert, K. 1994. Selective inhibit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2 in vivo is antiinflammatory and nonulcerogenic. Proc Natl Acad Sci USA 91, 3228-3232. 

  15. McCartney-Francis, N., Allen, J. B., Mizel, D. E., Albina, J. E., Xie, Q. W., Nathan, C. F. and Wahl, S. M. 1993. Suppression of arthritis by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J Exp Med 178, 749-754. 

  16.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17. Nava, E., Palmer, R. M. and Moncada, S. 1992. The role of metric oxide in endotoxic shock: effects of NG-monomethyl- L-arginine. J Cardiovasc Pharmacol 12, 132-134. 

  18. Pae, H. O., Lee, Y. C. and Chung, H. T. 2008. Heme oxygenase-1 and carbon monoxide: emerging therapeutic targets in inflammation and allergy. Recent Pat Inflamm Allergy Drug Discov 2, 159-165. 

  19. Sakamura, A. T., Erayama, Y., Kawakatsu, S., Ichihara, A. and Saito, H. 1980. Conjugated serotonins and phenolic constituent s in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Agric Biol Chem 44, 2951. 

  20. Schmidt, H. and Walter, U. 1994. NO at work. Cell 78, 919-925. 

  21. Seibert, K., Zhang, Y., Leahy, K., Hauser, S., Masferrer, J., Perkins, W., Lee, L. and Isakson, P. 1994.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demonstration of the role of cyclo-oxygenase 2 in inflammation and pain. Proc Natl Acad Sci USA 91, 12013-12017. 

  22. Shapira, L., Soskolne, W. A., Houri, Y., Barak, V., Halabi, A. and Stabholz, A. 1996. Protection against endotoxic shock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local inflammation by tetracyclin: correlation with inhibition of cytokine secretion. Infect Immun 64, 825-828. 

  23. Su, G. L. 2002. Lipopolysaccharides in liver injury: molecular mechanisms of Kupffer cell activation. Am J Physiol Gastro Physiol 283, 256-265. 

  24. Takeda, K., Kaisho, T. and Akira, S. 2003. Toll-like receptors. Annu Rev Immunol 21, 335-376. 

  25. Vane, J. R., Mitchell, J. A., Appleton, I., Tomlinson, A., Bishop-Bailey, D., Croxtall, J. and Willoughby, D. A. 1994. Inducible isoforms of cyclooxygenase and nitric- oxide synthase in inflamm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1, 2046-2050. 

  26. Walsh, L. J., Trinchieri, G., Waldorf, H. A., Whitaker, D. and Murphy, G. F. 1991. Human dermal mast cells contain and releas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which induces endothelial leukocyte adhesion molecule 1. Proc Natl Acad Sci USA 88, 4220-4224. 

  27. Willeaume, V., Kruys, V., Mijatovic, T. and Huez, G. 1995-1996.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duced by viruses and by lipopolysaccharides in macroph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 Inflamm 46, 1-12. 

  28. Willoughby, D. A. 1975. Heberden Oration, 1974. Human arthritis applied to animal models. Towards a better therapy. Ann Rheum Dis 34, 471-478. 

  29. Yun, H. Y., Dawson, V. L. and Dawson, T. M. 1996.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 291-316. 

  30. Zhang, H. L., Nagatsu, A. and Sakakibara, J. 1996. Novel antioxidant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us L.) oil cake. Chem Pharm Bull 44, 874. 

  31. Zhang, H. L., Nagatsu, A., Watanabe, T., Sakakibara, J. and Okuyama, H. 1997.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us L.) oil cake. Chem Pharm Bull 45, 1910-19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