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식 다시마의 수심과 부위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Cultured in the Different Depths of Seawater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17 no.4 = no.55, 2011년, pp.395 - 405  

신태선 (전남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부) ,  정설 (전남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부) ,  도예원 (전남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부) ,  전상일 (전남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부) ,  우희철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남길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해 해조류 바이오매스의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시마에 대한 고밀도 양식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기장과 완도 해역양식장에서 수심을 달리하여(0.5 m, 3 m) 다시마를 양식하고 다시마의 주요 부위별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다시마의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보다 많은 조단백질 함량을 나타냈으며, 조지방은 중간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p<0.05). 조회분은 하측부위에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지역 간, 계절 간의 함량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대조구(0.5 m)와 수심 3 m의 다시마 간에 일반성분 조성의 차가 없었다. 구성당의 함량은 실험군에서 부위별 함량 차이는 있었으나, 부위에 따른 증감의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역, 계절, 수심에 의한 뚜렷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모든 실험군에서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다시마의 상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지역과 계절에 따라 일부 실험군 간에 아미노산 함량이 차이를 보였지만 수심에 따른 아미노산의 함량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많고 적은 지방산들이 있었고 불포화지방산들이 하측부위보다 상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반면 포화지방산은 하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시마의 양식 수심에 따라 이러한 조성들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원소 N는 상측부위가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원소 C는 실험군에 따라 원소 N과 비교하여 경향을 띠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cultivation of high-density seaweed, sea tangle was cultured from varying depths(0.5 m, 3 m) of seawater at Gijang and Wando area. Proximate composition, component sugar, total amino acid, fatty acid composition, and element composition of different parts of sea tang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청정액체연료와 기능성 식의약 제품, 고부가 바이오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체계적인 해조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적정 해조류를 선정하고,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시마가 많이 생산되는 기장과 완도에서 수심별로 다시마를 양식하여 다시마의 주요 화학적 성분 함량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를 원료로 하는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은 국내 실정에 매우 적합하며 경쟁력 있는 기술이라고 판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조류는 비식량계 바이오매스로써 경작지 잠식으로 인한 식량생산 감소 및 식량 수급 불균형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육상바이오매스 자원에 비해 단위면적 당 생산 수율이 높아, 해조류를 원료로 하는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은 국내 실정에 매우 적합하며 경쟁력 있는 기술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더불어 해조류는 목질계 원료에서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리그닌 성분이 없어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정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닌다[1].
해조류의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정이 간편한 이유는 무엇인가? 해조류는 비식량계 바이오매스로써 경작지 잠식으로 인한 식량생산 감소 및 식량 수급 불균형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육상바이오매스 자원에 비해 단위면적 당 생산 수율이 높아, 해조류를 원료로 하는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은 국내 실정에 매우 적합하며 경쟁력 있는 기술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더불어 해조류는 목질계 원료에서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리그닌 성분이 없어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정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닌다[1].
다시마 부위에 따른 지방산 함량 경향은 어떠한가? 모든 실험군에서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다시마의 상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지역과 계절에 따라 일부 실험군 간에 아미노산 함량이 차이를 보였지만 수심에 따른 아미노산의 함량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많고 적은 지방산들이 있었고 불포화지방산들이 하측부위보다 상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반면 포화지방산은 하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emirbas, A., "Progress and Recent Trends in Biofuels," Prog. Energ. Combust. Sci., 33, 1-8 (2007). 

  2. Kim, J., Lee, Y., Jung, S., Lee, J., and Cho, M.H., "Productrion of Methane from Anaerobic Fermentation of Marine Macroalgae," Clean Technol., 16, 51-58 (2010). 

  3. Lee, D. S., Kim, H. R., Cho, D. M., Nam, T .J., and Pyeun, J. H., "Uronate Compositions of Alginates from The Edible Brown Algae," J. Dkorean Fish Soc., 31, 1-7 (1998). 

  4. Bojakowski, K., Abranczyk, P., Bojakowska, M., Zwolinska, A., Przybylski, J., and Gaciong, Z., "Fucoidan Improves th Renal Blood Flow in the Early Stage of Renal Ischemia/Reperfusion Jnjury in the Rat," J. Physiol. Phamacol., 52, 137-143 (2001). 

  5. Haroun-Boihedja, F., Ellouali, M., Sinquin, C., and Boisson-Vidal, C.,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ucans," Thrombosis Res., 100, 453-459 (2000). 

  6.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95. 

  7. Folch, J., Lees, M., and Sloane-Stanley, G. 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57). 

  8. Chaplin, M. F., and Kennedy, J. F., Carbohydrat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New York, 1994, pp. 74-76. 

  9. Kim, H. Y., Kim, E., Kim, D. H., Oh, M. J., and Shin, T. S.,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Diets with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Kor. J. Fish Aquat. Sci., 42, 215-223 (2009). 

  10. Lee, K. H., Park H. C., and Her, E. S.,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Method, Hyoil Press, Seoul, Korea, 1998, pp. 277-345. 

  11. Park, Y. H., Jang, D. S., and Kim, S. B., "Processing of the Sea Food", Hyungsul Press, Seoul, Korea, 166-168 (1997). 

  12. Khotimcheno, S. V., and Kulikova, I. V., "Lipids of Different Parts of the Lamina of Laminaria japonica Aresch," Botanica Marina, 43, 87-91 (2000). 

  13. Choi, J. S. Shin, S. H., Ha, Y. M., Kim, Y. C., Kim, T. B., Park, S. M., Choi, I .S., Song, H. J., and Choi, Y. J., "Miner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Life Sci., 18, 474-481 (2008). 

  14. Choe, S. N., and Choi, K. J.,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15, 58-63 (2000). 

  15. Dembitsky, V. M., Rosentsvet, O. A., Pechenkina, E. E., "Glycolipids, Phospholipids and Fatty Acids of Brown Algae Species", Phytochem., 29, 3417-3421 (1990). 

  16. Fleurence, J., Gutbier, G., Mabeau, S., and Leray, C., "Fatty Acids from 11 Marine Macroalgae of The French Brittany Coast," J. Appl. Phycol., 6, 527-532 (1994). 

  17. Harwood, J. L., Plant Acyl Lipids: Structure, Distribution and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pp. 1-55 (1980). 

  18. Hayashi, K. Kida, S. Kato, K., and Yamada, M., "Component Fatty Acids of Acetone-Soluble Lipids of 17 Species of Marine Benthic Algae," Nippon Suisan Gakkaishi, 40, 609-617 (1974). 

  19. Jamieson, J. M., and Reid, E. H., "The Component Fatty Acids of Some Marine Algal Lipids," Phytochem., 11, 1423-1432 (1972). 

  20. Kaneniwa, M., Itabashi, J., and Takagi, T., "Unusual 5-olefinic Acids in the Lipids of Algae from Japanese Waters," Nippon Suisan Gakkaishi, 53, 861-866 (1987). 

  21. Kato, M., and Ariga, N., "Studies on Lipids of Marine Algae: 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rine Algae," Gifu Daigaku, 18, 53-55 (1983). 

  22. Kim, M., Dubacq, J. P., Thomas, J. K., and Giraud, G., "Seasonal Variations of Triacylglycerols and Fatty Acids in Fucus serratus," Phytochem., 43, 49-55 (1996). 

  23. Pohl, P., and Zurheide, F., "Fatty Acids and Lipids of Marine Algae and the Control of Their Biosynthesis by Environmental Factor," Pharma. Science, Walter de Gruyter, New York, 1979, pp. 473-5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