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of Reading/Writing Culture and Emerging Digital Contents-Focusing on Bakhtin's "The prose of everyday life"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2 no.3, 2011년, pp.371 - 382  

구모니카 (한국외대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도서기획출판 M&K)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류가 고대로부터 물려받은 읽기/쓰기 행위는 인류의 의사소통 체계이자 지식정보 전달 체계로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특히 디지털적 읽기/쓰기로 개개인의 일상사에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 그야말로 혁명적으로 일상적 담론과 대화들이 증폭된 지금 본 연구자는 이 시대의 '디지털적' 읽기/쓰기 방식과 이에 따른 의사소통 수단을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그러한 현상이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로 재창조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과거 읽기/쓰기는 '기록'의 과정을 통해 '서사의 창조'라는 지점에서 신성성을 부여받아왔다. 그러나 이는 현대로 오면서 데이터 간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변모하고 있다.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와 쓰기는 선형적 서사성의 결여로 비난 받아야 할 현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변화의 한 과정이며 결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읽기와 쓰기 방식의 변화는 콘텐츠의 층위, 지위, 의미, 가치의 변화를 수반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디지텔링'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읽기/쓰기 방식을 새로운 대중문화 현상으로 접근해야 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ding and writing in the past make noble significance in 'narration', in other words, in 'the creation of nar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cording'; but in the modern times, it engenders controversies over narration and linearity. In other words, reading/writing in digital era, is devalued 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텔링의 개념은? 우리는 이러한 ‘일상생활의 산문’과 대화주의를 통해 평범한 사람들이 매일매일 읽고 쓰는 디지털 콘텐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디지텔링’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이다. ‘디지텔링 Digitelling’은 디지털(digital)과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합성어로서 연구자가 디지털 읽기/쓰기 현상에 대해 당대적 읽기와 쓰기의 가치와 의미를 실현코자 학계에 제안하는 개념이다. 이는 디지털 콘텐츠가 서사성과 선형성이 결여된 무의미한 정보 덩어리가 아니라 당대적 읽기/쓰기 현상으로서 이야기성을 지닌 일상생활의 산물이자 작품이며, 정보 사회에서 대화 사회로 이르는 길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 아래 우리가 접한 위기론은 무엇이 있는가? 디지털미디어 환경 아래 우리는 다양한 ‘위기론’을 접하고 있다. 특히 읽기/쓰기 문화의 위기, 책의 위기, 독서의 위기, 기성 언론과 기성 작가의 위기 등이 그것이다. 2010년 조선일보는 대대적으로 읽기/쓰기 문화의 위기에 대해 보도한 바 있다.
하이퍼텍스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인류의 텍스트적 본능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며, 정보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이러한 본성이 ‘하이퍼텍스트’라는 개념을 낳게 된다. 과연 하이퍼텍스트는 무엇이며, 어디서 온 것일까? 1960년대 초기 넬슨이 만들어낸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는 전자적 텍스트 형식과 형태 일체를 의미하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테크놀 로지 형태로 받아들여졌다.[28] 뉴미디어 학자인 마이클 조이스(Michael Joyce)는 “하이퍼텍스트는 텍스트가 텔레비전에게 복수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조선일보, '글과 담쌓은 세대 上', 2010.11.01. 

  2. Vilem Flusser, Nancy Ann Roth(TRN), Does Writing Have a Future?, Univ of Minnesota Pr, 2011, pp. 154-155. 

  3. 미셸 푸코, "담론의 질서", 이정우 역, 새길, 2011, p. 148. 

  4.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Writing, Reaktion Books, 2004, p. 56. 

  5. 미하일 바흐친, 말의 미학, 김희숙, 박종소 역, 길, 2006, p. 48. 

  6. 미하일 바흐친, 말의 미학, 김희숙, 박종소 역, 길, 2006, p. 425. 

  7.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93쪽. 

  8.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107. 

  9.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Language, Reaktion Books, 2003, pp. 167-179. 

  10.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Reading, Univof Chicago Pr, 2004, p. 20. 

  11.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Reading, Univof Chicago Pr, 2004, p. 281. 

  12. Walter J. Ong, Orality and Literacy, Taylor & Francis, 1988, p. 82. 

  13. Lev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2, p. 123. 

  14. Lev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2, p. 125. 

  15. Walter J. Ong, Orality and Literacy, Taylor & Francis, 1988, p. 216. 

  16. Jay David Bolter & Rich Grusin,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1999, p. 19. 

  17. Jay David Bolter, Writing Space, Routledge, 2001, p. 4. 

  18. Lev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2, p. 286. 

  19. Lev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2, p. 294. 

  20.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75. 

  21. J. David Bolter, Writing Space, Routledge, 2001, p. 66. 

  22. 김기태,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출판'의 재개념화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제36권 제1호(통권 제58호), pp. 247-248, 2010, 

  23. Marshal Mcluhan, The Gutenberg Galaxy; The Making of Typographic Ma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2, p.198. 

  24. J. David Bolter, Writing Space, Routledge, 2001, p26. 

  25.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Reading, Univof Chicago Pr, 2004, p. 400. 

  26.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4. 

  27. Michael Joyce, Of Two Minds: Hypertext Pedagogy and Poetic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5, p. 47. 

  28.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4. 

  29.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4. 

  30.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107. 

  31.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125. 

  32.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88. 

  33. 자크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김성도 역, 민음사, 2010, p. 43. 

  34. 자크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김성도 역, 민음사, 2010, p. 58. 

  35. 롤랑 바르트, 텍스트의 즐거움, 김희영 역, 동문선, 1997, p. 98. 

  36. 롤랑 바르트, S/Z, 김웅권 역, 동문선, 2006, 참조, 

  37.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역, 민음사, 2000, p. 77. 

  38.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역, 민음사, 2000, pp. 62-78 참조. 

  39.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천 개의 고원, 김재인 역, 새물결, 2001, 참조. 

  40.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183. 

  41. George P. Landow, Hypertext 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 188. 

  42. 미하일 바흐친, 발터 벤야민, 롤랑 바르트 외, 작가란 무엇인가, 박인기 편역, 지식산업사, 1997, pp. 43-57 참조. 

  43.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p. 45-69 참조. 

  44.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82. 

  45.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83. 

  46.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81. 

  47.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Reading, Univof Chicago Pr, 2004, p. 415. 

  48. Steven Roger Fischer, A History Of Reading, Univof Chicago Pr, 2004, pp. 420-421. 

  49. 앙리 르페브르, 현대 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옮김, 기파랑, 2005, p. 8. 

  50. 앙리 르페브르, 현대 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옮김, 기파랑, 2005, p. 12. 

  51. 앙리 르페브르, 현대 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옮김, 기파랑, 2005, p. 355. 

  52. Gary S. Morson, Caryl Emerson, Mikhail Bakhtin : Creation of a Prosa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 82 

  53. 미하일 바흐친, 발터 벤야민, 롤랑 바르트 외, 작가란 무엇인가, 박인기 편역, 지식산업사, 1997, p. 369. 

  54. Nicholas Negroponte, Being Digital, A.Knopf, 1995, p. 201. 

  55.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포스트모던적 조건, 이현복 옮김, 서광사, 1992, p. 87. 

  56. 롤랑 바르트, 글쓰기의 영도, 김웅권 역, 동문선, 2007, pp. 77-78. 

  57. Pierre Levy, World Philosophie, Odile Jacob, 2000, p. 2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