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의 연간 변동과 환경 특성
Annual Changes in Scirpus planiculmi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3, 2011년, pp.567 - 579  

이용민 (국립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여운상 (부산발전연구원 녹색도시연구실) ,  오동하 (부산발전연구원 녹색도시연구실) ,  성기준 (국립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에 우점하고 있는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의 연간 변화 양상 및 주요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2010년의 밀도, 새섬매자기 생체량, 괴경 생체량 등의 새섬매자기의 생장 특성과 기온, 강수량, 방류량, 주변해역의 염분농도, 토성 변화 등의 서식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새섬매자기의 밀도는 2005년 10.1 개체/$m^2$~87.6 개체/$m^2$ 범위에서 2009년에는 0.4 개체/$m^2$~2.2 개체/$m^2$ 로 낙동강하구 조사전역에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명지갯벌과 맹금머리등에서 각각 $18.3{\pm}7.7$ 개체/$m^2$, $17.5{\pm}20.7$ 개체/$m^2$로 다소 회복 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섬매자기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는 2005년에는 $4.54{\pm}0.70$ 이었으나 새섬매자기 생체량에 있어서 급격한 감소가 있었던 2009년에는 $1.91{\pm}0.35$로 나타나 지상부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새섬매자기 괴경의 토심에 따른 분포는 0~15 cm 에서 36.0%, 15~30 cm 에서 64.0%가 나타나 토심 15~30 cm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괴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의 급격한 감소는 고염도에 의한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irpus planiculmis is one of the most dominant species f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cent changes in S. planiculmis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y, from 2005 to 2010, an analysis of the density, total dry biomass, tuber biomass, and distrib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고 있는 새섬매자기의 중·장기간의 변동을 낙동강 하구의 여러 사주별로 파악하기 위해서 낙동강 하구역의 새섬매자기 우점지역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 새섬매자기의 생장 변동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에 우점하고 있는 새섬매자기의 2005년∼2010년간의 변동과 환경 요인을 주요 서식지별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하구 중 하나인 낙동강 하구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하구 중 하나인 낙동강 하구는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외해와 연결되어 있어 해류의 순환에 의해 강의 담수와 만나는 수역에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문성기 등, 2008). 낙동강 삼각주 지형은 크게 하중도와 배후습지로 구성된 상부 삼각주 지역과 삼각주 연안 사주섬군, 간석지, 그리고 해안평야로 이루어진 하부 삼각주로 구성되어 있으며(김성환, 2009), 삼각주 주변은 수심이 얕은 갯벌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플랑크톤과 어류, 패류, 수서곤충 등이 풍부하다(환경부, 2009).
낙동강 삼각주 지형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하구 중 하나인 낙동강 하구는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외해와 연결되어 있어 해류의 순환에 의해 강의 담수와 만나는 수역에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문성기 등, 2008). 낙동강 삼각주 지형은 크게 하중도와 배후습지로 구성된 상부 삼각주 지역과 삼각주 연안 사주섬군, 간석지, 그리고 해안평야로 이루어진 하부 삼각주로 구성되어 있으며(김성환, 2009), 삼각주 주변은 수심이 얕은 갯벌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플랑크톤과 어류, 패류, 수서곤충 등이 풍부하다(환경부, 2009). 이와 같은 천혜의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는 낙동강 하구는 겨울새의 월동지, 철새의 이동경로로서 한반도에서 매우 중요하다(van Sluis and Lijklema, 1984).
낙동강 하구역에 우점하고 있는 새섬매자기의 2005년∼2010년간의 변동과 환경 요인을 주요 서식지별로 조사한 연구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1) 낙동강 하구 주요 새섬매자기 서식지역에서 새섬매자기의 밀도를 비교한 결과, 2009년에는 대마등, 맹금머리등, 명지갯벌, 백합등, 을숙도에서 평균 밀도가 각각 1.9±2.5 개체/m2, 0.4±0.7 개체/m2, 0.4±0.6 개체/m2, 0.7±0.9 개체/m2, 2.2±2.7 개체/m2 로 모든 조사지역에서 과거에 비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2010년에는 명지갯벌과 맹금머리 등에서 각각 18.3±7.7개체/m2, 17.5±20.7 개체/m2 발생함으로서 다소 회복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2) 새섬매자기의 최대 출현지역이 매년 다르게 나타났는데, 2005년에는 대마등과 을숙도에서, 2008년에는 명지갯벌, 2009년에는 을숙도, 2010년에는 명지갯벌과 맹금머리등에서 가장 높은 밀도가 관찰되어 특정지역이 새섬매자기 서식에 적합한 환경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우며, 환경요인의 변화가 큰 낙동강 하구역에서는 환경 요인의 변화에 따라서 매년 새섬매자기의 최적 서식지역도 변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조사기간 중 나타난 새섬매자기의 지상부:지하부의 비는 3.34±1.24 였으며, 새섬매자기 생체량에 있어서 급격히 감소하였던 2009년에 가장 낮은 1.91±0.35 로 조사되어 새섬매자기의 성장감소는 지하부보다 지상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낙동강 하구역의 주요 새섬매자기 서식지역에서의 토심에 따른 새섬매자기의 괴경 분포는 0∼15 cm 에서 36.0%, 15∼30 cm에서 64.0%가 나타나 토심 15∼30 cm 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괴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조사지역의 모래, 미사, 점토 함량과 식물생장 특성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새섬매자기의 밀도 외에는 토성과 상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밀도의 경우에도 토성과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는 나타내지 않아서 토성이 새섬매자기의 발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이 새섬매자기 생장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새섬매자기 밀도와 생체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던 2009년에 새섬매자기의 출현 및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1∼6월)이 예년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새섬매자기 군락의 쇠퇴가 낙동강 하구의 방류량 감소로 인한 기수역의 염분 농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7) 기수역의 염분농도 증가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변화와 이에 영향을 받는 하구둑의 방류량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구연. 2009.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매자기) 군락의 보전 및 증식방안.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39p. 

  2. 김구연, 이찬우, 윤해순, 주기재. 2005. 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변화와 수금류(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 환경생태학회지 28(5): 335-345. 

  3. 김구연, 주기재, 김현우, 신건성, 윤해순. 2002. 낙동강 하류에서 수서무척추동물에 의한 정수식물의 낙엽분해. 한국육수학회지 35(3): 172-180. 

  4. 김성환. 2009.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퇴적환경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6(4): 119-129. 

  5. 김종원, 류승원, 이진국, 박정원, 이율경, 심재원, 강영훈, 김수경, 주기재, 김구연, 도윤호, 이찬우, 윤주덕. 2009. 하천생태학 그리고 낙동강. 계명대학교 출판부. pp 289-290. 

  6. 문성기, 성정숙, 이정훈. 2008. 낙동강 하구 사주섬의 식물상. 한국환경과학회지 17(12): 1331-1341. 

  7. 부산광역시. 2011.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9p 

  8. 신성교, 백경훈, 홍석진. 2006. 낙동강하구둑 건설에 따른 해역의 염분 영향 분석 및 하구둑운영 개선방안, 현안연구 보고서. 부산발전연구원. 54p. 

  9. 안순모, 이지영, 정신재. 2006. 낙동강 하구 갯벌에 생육하는 세모고랭이(Schoenplectus triqueter)의 생체량 및 탄소, 질소 함량의 계절 변화. 한국습지학회지 8(3): 39-49. 

  10. 여운상. 2009. 새섬매자기 보전과 복원. 하구 습지 생태계 보전 전략 세미나. pp 43-45 

  11. 유영한. 2008.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서 새섬매자기 개체군의 쇠퇴 원인과 복원 방안. 한국습지학회지 10(2): 165-172. 

  12.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2): 22-34. 

  13. 윤해순. 1991. 낙동강하구 간석지의 수생관속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4(1) 63-73. 

  14. 이강수, 유숙종, 박석홍, 최선영. 1991. 간척지 우점잡초 새섬매자기의 생육특성. 한잡초지 11(2): 111-121. 

  15. 이자연, 김창수, 이중헌, 김보라, 여운상, 성기준. 2009. 낙동강 하구의 서식지별 토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공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회. pp 191-193. 

  16. 최성환, 손영걸, 주경섭, 최주호, 김만호, 유용만, 이증주. 2000. 새섬매자기의 출아 및 생육특성. 한잡초지 20(4): 276-283. 

  17.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단. 2009. 낙동강하구의 습지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종합계획.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19p. 

  18. 황인택, 최정섭, 이병회, 홍경식, 조광연. 1994. Screening을 위한 새섬매자기 초기 생육 및 제초제 반응성. 한잡초지 14(4): 245-251. 

  19. 해양수산부. 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20. Barko JW and Smart RM. 1978. The growth and biomass distribution of two emergent freshwater plants. Cyperus esculentus and Scirpus validus, on different sediments. Aquatic Botany 5: 109-117. 

  21. Chistopher N. 1993. Seasonal flooding, soil salinity and primary production in northern prairie marshes, Oecologia 95: 499-505. 

  22. Gedroc JJ, McConnaughay KDM. Coleman JS. 1996. Plasticity in root/shoot partitioning : optimal, ontogenetic, or both? Functional Ecology 10: 44-50. 

  23. Moller and Spencer T. 2002. Wave dissipation over macro-tidal salt marshes : Effects of marsh edge typology and vegetation change.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6: 506-521. 

  24. Pennings SC, Grant MB. Bertness MD. 2005. Plant zonation in low-latitude salt marshes: disentangling the roles of flooding, salinity and competition. Journal of Ecology 93(3): 159-167. 

  25. Rogel JA, Silla RO, Ariza RA. 2001. Edaphic characterization and soil ionic composition influencing plant zonation in a semiarid Mediterranean salt marsh. Geoderma 99: 81-98. 

  26. Tilman D. 1988. Plant strategies and the dynamics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USA. pp 363. 

  27. van Sluis JW, Liklema L. 1984. Water quality aspect of the Nakdong Estuary barrage. Water Science & Technology 16: 243-252. 

  28. Zhang JT. 2002. A study on relations of vegetation, climate and soils in Shanxi province, China. Plant Ecology 162: 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