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초기밀도, 생체량과 괴경량의 관계
Relationship of Initial Density, Biomass and Tuber Productivity of Scirpus planiculm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1, 2013년, pp.9 - 17  

이용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여운상 (부산발전연구원) ,  성기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에 우점하는 새섬매자기는 낙동강하구를 찾아오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1년을 주기로 성장과 생산, 분해 과정을 반복하면서 낙동강 하구의 물질순환과 먹이사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하구생물이나 조류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생체량이나 괴경생산량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면 낙동강 하구관리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르고 측정이 용이한 새섬매자기의 초기발생 밀도와 생체량을 이용하여 조류의 먹이인 괴경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구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각 항목간의 상관계수가 0.6103~0.9950로서 조사시기가 다른 새섬매자기의 밀도, 생체량, 괴경 생산량에 있어 선형 관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또한 각 항목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선형회귀식은 0.3696~0.7145의 높은 결정계수를 가짐으로써, 얻어진 추정 회귀식을 이용하여 생체량 또는 괴경생산량을 효과적으로 예측 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새섬매자기 군락의 교란이나 훼손을 최소화하며 가능한 빠른 시기에 새섬매자기의 생체량이나 괴경생산량을 예측하여 낙동강 하구를 찾아오는 철새들의 먹이원의 관리 등 하구생태계의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irpus planiculmis dominated in Nakdong river estuary is known as food for birds visiting to Nakdong river estuar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terial cycle and food web, while repeating growth and production, decomposition process in 1-year interval. Therefore, if it is able to predict eff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새섬매자기의 생체량과 괴경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4년간의 낙동강 하구 전역의 새섬매자기의 밀도, 새섬매자기 생체량, 괴경생산량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서 밀도에 대한 새섬매자기의 생체량과 괴경생산량, 추가적으로 생체량에 따른 괴경생산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역에 우점하고 있는 새섬매자기의 특징은? 낙동강 하구역에 우점하고 있는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는 4월 중순에 괴경으로부터 어린 식물체가 지상부로 생장하기 시작하여(Kim et al., 2005), 7∼9월에 최고 성장에 이르며 그 이후 시들기 시작하면서 괴경을 왕성하게 형성하여 10월에 이르면 최대치에 이른다(Yoon, 1991). 이와 같이 1년을 주기로 성장과 생산, 분해 과정을 반복하면서 낙동강 하구의 물질순환과 먹이사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4∼9월의 성장하는 과정에서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고 토양내의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자생적인 유기물을 생산한다(An et al.
새섬매자기는 4~9월의 성장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 2005), 7∼9월에 최고 성장에 이르며 그 이후 시들기 시작하면서 괴경을 왕성하게 형성하여 10월에 이르면 최대치에 이른다(Yoon, 1991). 이와 같이 1년을 주기로 성장과 생산, 분해 과정을 반복하면서 낙동강 하구의 물질순환과 먹이사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4∼9월의 성장하는 과정에서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고 토양내의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자생적인 유기물을 생산한다(An et al., 2006). 9월 이후에는 새섬매자기의 지상부가 분해되기 시작하여 탄소, 질소, 인 등의 물질이 토양내로 재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분해된 영양물질은 하구에 유입되어 이를 먹이원으로 하는 저서형 대형무척추 동물군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Kim et al.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체량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체량은 식물의 수확 후 그 식물의 건중량으로 측정되어진다(Spencer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SM, Lee, JY, Jeong, SJ (2006). Seasonal biomass and carbon, nitrogen contents change of Schoenoplectus Trigueter in Nakdong river estuary, J. of Wetlands Research, 8(3), pp. 39-49. [Korean Literature] 

  2. Busan Metropolitan City. (2011). Monitoring for Nakdong river estuary ecosystem. [Korean Literature] 

  3. Cabaco, S, Machas, R, Santos, R (2007). Biomass-density relationships of the seagrass Zostera Noltii: A Tool for monitoring anthropogenic nutrient disturbanc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4, pp. 557-564. 

  4. Choi, SH, Shon, YG, Ju, GS, Choi, JH, Kim, MH, Yu, YM and Lee, JJ (2000). Sprout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ea club rush (Scirpus Planiculmis), Korean J. of Weed Science, 20(4), pp. 276-283. [Korean Literature] 

  5. Daniels, JS, Cade, BS and Sartoris, JJ (2010). Measuring bulrush culm relationships to estimate plant biomass within a Southern California treatment wetland, Wetlands, 30, pp. 231-239. 

  6. Goraud, C, Giroux, JF, Mesleard, F and Desnouhes, L (2008). Non-destructive sampling of Schoenoplectus Maritimus in southern france, Wetlands, 28, pp. 532-537. 

  7. Gu, TH (1986). Status and Wintering Ecology of Grus Vipio Advent in Han River Estuary, Report for habitat for Grus Vipio in the Han river estuary, Kyeonggi province. 

  8. Kim, GY (2009). Plan of Conservation and Breeding for Scipus Planiculmis (Scipus Maritimus) Community, pp. 1-97. [Korean Literature] 

  9. Kim, GY, Joo, GJ, Kim, HW, Shin, GS and Yoon, HS (2002). Leaf litter breakdown of emergent macrophytes by aquatic invertebrates in the lower Nakdong river, Korean J. of Limnology, 35(3), pp. 172-180. [Korean Literature] 

  10. Kim, GY, Lee, CW, Yoon, HS and Joo, GJ (2005). Changes of distribution of vascular hydrophyt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growth dynamics of Schenoplectus Triqueter, Waterfowl food plant, Korean J. of Ecology, 28(5), pp. 335-345. [Korean Literature] 

  11. Kirwan, ML, Christian, RR, Blum, LK and Brinson, MM (2012).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level and Spartina Alterniflora production, Ecosystems, 15, pp. 140-147. 

  12. ME, UNDP/GEF, KWP. (2009). Nakdong Estuary Master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 Wise Use, Dong A University R&DB Foundation. 19p. 

  13. Post, JC (1983). Nakdong estuary barrage and land reclamation-ecological aspects, Wat. Sci. and Tec., 16, pp. 223-231. 

  14. Shin, SK, Baek, KH and Hong, SJ (2006). Analysis of Effect for Salinity and Operation Improvement Plan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Busan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12, pp. 54. [Korean Literature] 

  15. Spencer, DF, Liow, PS, Chan, WK, Ksander, GG and Getsinger, KD (2006). Estimating Arundo Donax shoot biomass, Aquatic Botany, 84, pp. 272- 276. 

  16. Yi, YM, Yeo, US, Oh, DH and Sung, KJ (2011). Annual changes in Scipus planiculmi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567-579. [Korean Literature] 

  17. Yoo, SH, Kang, TH, Kim, HJ, Lee, KS, Lee, SM, Lee, HS and Kim, IK (2010). Population decline and distribution change of the swan gees Anser Cygnoides and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by habitat loss the Scirpus Planiculmis at the Han river estuary, Korean J. of Ornithology, 17, pp. 55-66. [Korean Literature] 

  18. Yoon, HS, Yoo, CI, Kang, YK and Ryu, CR (2007). Delta developmen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literature survey, J.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1(2), pp. 22-34. [Korean Literature] 

  19. Yoon, HS, Park, S, Lee, IC and Kim, HT (2008). Spatiotemperal variations of seawater quality due to the inflow of discharge from Nakdong river barrage, J.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1(2), pp. 78-85. [Korean Literature] 

  20. Yoon, HS (1991). A study on vascular hydrophytes of intertidal area in Nakdong estuary, Korean J. of Ecology, 14(1), pp. 63-73. [Korean Literature] 

  21. Zeng, HQ, Liu, QJ, Feng, ZW and Ma, ZQ (2009). Biomass Equations for Four Shrub Species in Subtropical China, J. of Forest Research, 15, pp. 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