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약품 부작용의 심각도 조사 비교분석
Measuring the Seriousness of Adverse Drug Reactions : Comparisons between Korean Experts and WHO Working Group Member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1 no.3, 2011년, pp.237 - 242  

이진이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박세영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허지행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박미혜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하지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임상연구과) ,  이의경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easures seriousness of adverse drug reactions (ADRs) among Korean physicians and pharmacists using two times surveys based on Delphi technique. Each participant scored 20 ADR terms on a scale of one to ten (10 being the most serious). We repeated the exercise for the 49 first survey re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부작용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도가 국내와 외국의 경우가 다른지, 전문가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사용으로 인한 위해의 상대적인 가치를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조사방법에 따라서 응답수치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매회 측정시마다 일관성이 있었다는 것, 조사결과가 대상자의 국적, 직업, 측정시기에 관계없이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다는 점은 향후 위해의 크기를 계량화하는 표준화된 국제적인 지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WHO의 CIOMS에서 제시한 20가지 부작용들에 대하여, 국내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부작용 심각도에 대한 상대적인 가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들이 측정방법, 응답대상자, 측정시기와 관계없이 일관성을 유지하는지를 WHO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향후 위해의 크기를 정량화하는 지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와 외국의 의약품 부작용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도의 비교 및 전문가 집단별 차이 여부에 대한, 본 실험의 결과는? 위해의 중증도 순위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WHO 전문가들 - 주로 유럽과 미국의 제약회사 관계자들, 유럽, 북미, 일본 등의 의약품 규제당국의 전문가들, WHO 위원들로 이루어짐 - 의 결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위해의 심각도의 상대적 순위에 대해서는 국가간, 문화간 차이가 크지 않고 전문가간에 일관된 의견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1997년 영국의 일반의들 22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CIOMS의 연구결과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5) 다만 국내의 전문가들이 WHO CIOMS 전문가들에 비해 위해의 심각도에 대한 값을 전반적으로 더 심각하게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WHO의 조사가 1990년대 중반에 이루어져 본 연구가 이루어진 시점과 10년 이상의 차이가 나고, 지난 15년간 부작용의 발생으로 시장에서 판매 중단된 의약품의 사례에 대한 정보가 널리 유통되어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전세계적 경각심이 증가했다는 점, 지난 10년간 국내에서도 의약품의 위해에 대한 다양한 조치, - 예컨대 2000년 12월에 임상시험 이상반응보고 지침이 발표되고, 2004년 4월에는 의약품등안전성정보관리규정을 개정하여 즉각적, 자발적인 의약품 부작용보고가 활성화됨6) - 들이 이루어져 국내 의약전문가들 사이에 의약품 부작용의 위해에 대한 경각심이 점진적으로 상승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내의 가정의와 약사들의 의약품 부작용의 심각도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직업군별 위해에 대한 인지도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심혈관계관련 증상(심장장애, 저혈압)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에 1점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여 약사집단이 해당 증상의 심각도를 높이 평가하였는데, 약사가 부작용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환자와의 복약상담을 통해서’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한 선행연구결과를 볼 때3), 이는 주로 심혈관계증상 의약품이 약국에서 다빈도로 조제되어 해당 상병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ICH Harmonized Tripartite Guideline에 따르면 위해란?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위해(Risk)를 관리할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부각되어 왔다. “위해”는 약물 유해반응이 발생할 확률로 이해할 수 있는데, IC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Harmonized Tripartite Guideline에 따르면, 위해는 건강에 손상(harm)이 발생할 가능성과 그 심각도, 두 가지가 모두 관련된 복합적인 표현이라고 정의된다.1) 이에 의약품으로 인한 위해의 크기 및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특히 여러가지 의약품 부작용들 중 어떤 반응이 상대적으로 중증이며, 어떤 반응이 경증인지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의약품 부작용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WHO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전세계적으로 의약품 부작용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1998년 ‘의과학에 대한 국제조직 회의(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edical Sciences: 이하 CIOMS)’를 결성하여 시판중인 의약품에 대한 편익-위해 (Benefit-Risk)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가에 대한 보고서 (WHO, “Benefit-Risk Balance for Marketed Drugs: Evaluating Safety Signals”, 1998)를 발간하였고, 해당 보고서에서 CIOMS에 속한 실행회원(working group member)들을 대상으로 20가지의 흔한 부작용의 심각도에 대한 상대적 가치를 조사하여 점수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enefit-Risk Balance for Marketed Drugs: Evaluating Safety Signals, In: Report of CIOMS Working Group IV; Geneva: 1998. 

  2. 이의경 외, 의약품의 시판 후 안전관리를 위한 Risk- Benefit 분석 기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09. 

  3. 최윤희, 손의동. 3차 병원에서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현황 조사와 약물 부작용 관리를 위한 약사의 인식도 조사. 한국임상약학회지 2003; 13(2): 72-81. 

  4. 이의경 외, 의약품 안전관리 선진화 및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10. 

  5. King P, Dolan P, Martinex C, Adjusting outcomes for quality: scaling the severity of adverse drug reactions.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Meeting, Barcelona, Spain, May 1997. 

  6. 임경화, 신현택, 손현순, et al., 의약품 부작용에 관한 국제 분류체계인 WHO-ART와 MedDRA의 비교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07; 17(1): 46-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