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보건지표의 해외 동향과 국제 비교
The Trend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Overseas School Health Indicator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4 no.2, 2011년, pp.181 - 189  

신선미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 of overseas school health indicators and to investigate indicators comparable internationally. Methods: Using the key words, school, health, indicators and policy through formal literature and web sites, the resources were used after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식적 문헌이나 웹사이트 등을 통해 학교보건지표 동향과 국제 비교를 특징으로 하는 학교보건지표의 특성을 파악하는 문헌연구이다.
  • WHO 유럽 지역 사무소는 학교보건서비스에 대한 설문 기반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목적은 각국이 학교보건서비스에 대한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저평가된 학교보건서비스의 수행에 대한 근거를 얻기 위하여, 그리고 그 결과를 더 좋은 학교보건계획을 위해 사용하기 위함이다. 37개국에서 온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보건서비스 관리책임, 조직적 측면과 서비스 전달 모형, 직원, 내용, 그리고 주요 도전 분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학교보건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국제 비교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미 비교를 시도하고 있는 학교보건지표를 검토해 보았다.
  • 또 실제로 국제 비교를 활발히 하는 학교보건지표의 항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학교보건지표의 특성과 변화, 그리고 국제 비교를 시도하고 있는 지표항목에 대한 검토를 목표로 한다.
  • 특히 학교건강의 점진적 향상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학교보건사업에서 잘 만들어진 학교보건지표의 중요성은 더욱 클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학교보건지표 동향과 국제 비교를 시도하고 있는 학교보건지표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우리나라 학교보건지표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해외 학교보건지표의 동향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 학교건강증진과 보건교육 프로그램들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의 변화를 탐색해 보았다. 어떤 지표가 학교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 학교보건 시도에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은 1960년대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 해외의 학교보건지표의 동향과 국제 비교를 시도하고 있는 학교보건지표 항목을 문헌을 통해 파악함으로서 우리나라 학교보건지표의 향후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에서 생산되는 여러 보건지표들이 중요한 이유는? 각종 정보의 필요성은 경제사회발전에 따라 국제적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학교보건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학교에서 생산되는 각종 보건지표는 학교건강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정보로 활용될 뿐 아니라, 학생 및 교직원 그리고 학부모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서도 중요하다(Shin et al., 2010).
교육과학기술부의 표본학생건강검사와 보건복지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공동주관의 청소년 행태조사를 통해 생산되는 학교보건지표의 특성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 학교보건지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표본학생건강검사와 보건복지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공동주관의 청소년 행태조사를 통해 생산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학교보건지표의 특성을 보면, 주로 학교구성원, 특히 학생의 건강만을 주로 다루어 왔다. 또 지표를 이용한 다양한 비교, 즉 우리나라 각 지역 간의 비교, 그리고 해외 각 국가와의 비교가 활성화되지 못하였다(Shin et al., 2010).
지표란 무엇인가? 지표란 어떤 사업의 목적이나 결과의 기준이 되는 표적이나 표지를 의미한다. 영아사망률, 비만율 등 예에서처럼 보건지표를 통해 정해진 인구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orn, M. (1985). Statistical legacies of the social indicators movem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Las Vegas, Nevada. 

  2. AIHW.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2004). National report on health sector performance indicators 2003. National Health Performance Committee. Canberra [Online]. Available: http://www.aihw.gov.au/publications/ hwi/nrhspi03/nrhspi03a.pdf[2010, July 30]. 

  3. AMC(American Cancer Society). (1993). National action plan for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63 (1), 46-47. 

  4. American School Health Association. (2010a). What is school health? [Online]. Available: http://www.ashaweb.org/i4a/ pages/index.cfm?pageid3278[2010, July 30]. 

  5. American School Health Association. (2010b). How school administrators can demonstrate support for a coordinated approach to enhance student learning and health [Online]. Available: http://www.ashaweb.org/files/public/ Miscellaneous/ School_Administrator_Support_2010_No_Draft.pdf[2010, July 30]. 

  6. Barnekow, V., Buijs, G., Clift, S., Jensen, B., Paulus, P., Rivett, D., & Young, I. (2006). Health-promoting schools: A resource for developing indicators. International Planning Committee,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Online]. Available: http://www.schoolsforhealth.eu/ upload/pubs/Healthpromotingschoo lsaresour[2010, July 30]. 

  7. CDC. (2010). Indicators for School Health Programs. [Online]. Available: http://www.cdc.gov/healthyyouth/evaluation/ indicators/index.htm[2010, July 30] 

  8. Gord, M. (2003). Ecological Approach to School Health Promotion: The Multifaceted Potential of the School as an Environment For Health Promotion [Online]. Available: http:// www.schoolhealthresearch.org/downloads/miller.pdf[2 010 August 4]. 

  9. GSHS.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2005). GSHS [Online]. Available: http://www.who.int/chp/gshs/ en/[2010, July 30] 

  10. HBSC. (2010). Health behavior in school aged chillderen [Online]. Available: http://www.hbsc.org[2010, July 30] 

  11. JCSH. (Joint Consortium for School Health) (2010). What is Comprehensive School Health? [Online]. Available: http:// eng.jcsh-cces.ca/upload/JCSH%20CSH%20Framework% 20FINAL%20Nov%2008.pdf[2010, July 30] 

  12. Kar, S., & Berkanovic, E. (1987). Indicators of behaviours conducive to health promotion. In Abelin, T., Braezinski, Z., & Carslairs, V. (Eds). Measurement in health promotion and protection. WHO, Copenhagen. 

  13. McDonald, G. (1997). Quality indicators and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Promotion Education, 4 , 5-9. 

  14. McDonald, H., & Ziglio, E. (1994). European Schools in a changing environment: Health promotion opportunities not to be lost. In Chu, C., & Simpson, R. (Eds), Ecological public health: From vision to practice. Griffith University, Brisbane. 

  15. NHMRC.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1996). [Online]. Available: http://www.nhmrc.gov.au/ [2010, July 30]. 

  16. Nutbeam, D. (1997). Indicators of adolescent health: Expanding the framework for assessing health status among young people. Promotion & Education, 4 (4), 10-15 

  17. Resnick, M., Harris, L., & Blum, R. (1993). The impact of caring and connectedness on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Journal of Paediatric Child Health, 29 (Suppl 1), S3-S9. 

  18. SHAPES School Health Indicator. (2009). National/State reports, online wiki-discussions, webinars/presentations about monitoring & evaluation. Facilitated by the International School Health Network [Online]. Available: http://www. schoolhealthindicators.org/[2010 July 30]. 

  19. Shin, S. M., An, J., & Lee, H. W.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hool health indicatos in Korea: Based on OECD dat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St. Leger, L., & Nutbeam, D. (1999). Evidence of effective health promotion in schools. In Boddy, D. (Eds.), The Evidence of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Shaping Public Health in a New Europe. European Union, Brussels. 

  21. St. Leger, L. (2000). Developing indicators to enhance school health. Health Education Research, 15 (6), 719-728 

  22. The Inicators for School Health Program. (2010). The indicators for school health programs: The essential facts [Online]. Available: http://www.cdc.gov/healthyyouth/evaluation/ pdf/brief6.pdf 

  23. Weare, K., & Gray, G. (1994). Promoting mental and emotional health in the European Network of Health Promoting School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24. WHO. (1996a). School health promotion-series 5: Regional guidelines: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framework for action. WHO. Manila. 

  25. WHO. (1996b). The status of school health. WHO, Geneva 

  26. WHO. (1996c). Research to improv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school health programs. WHO, Geneva. 

  27. WHO. (2010).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Online]. Available: http://www.who.int/ceh/indicators/en/[2010, July 30]. 

  28. WHO European Region. (2005).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Online]. Available: http://www.hbsc.org/ [2010, July 30] 

  29. Wold, B., Aaro, L., & smith, C. (1994). Health behaviour in school-age children. A WHO Cross-National Survey (HBSC). University of Bergen, Bergen. 

  30. Young, I. (2005). Mapping indicators, relevant settings and relevant players. In: Fourth Workshop on Practice of Evaluation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Concepts, Indicators and Evidence, 9-14 [Online]. Available: http://www. schoolsforhealth.eu/upload/pubs/Fourthworkshoponpr acticeofevaluationoftheHPS.pdf[2010, July 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