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 봉지재배시 적정한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참나무톱밥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T5의 pH는 4.7로서 T1(대조구)과 대등하였다. 균사 생장량은 T5에서 배양 35일경에 모두 생장하였으며, 대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표고 봉지재배시 적정한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참나무톱밥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T5의 pH는 4.7로서 T1(대조구)과 대등하였다. 균사 생장량은 T5에서 배양 35일경에 모두 생장하였으며, 대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suitable substrates for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We investigated the optimal additive materials and its mixing ratio in bag cultivation of L. edodes, Sanjo 701 ho. The suitable substrates for L. edodes bag cultivation were oak sawdust as new ma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suitable substrates for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We investigated the optimal additive materials and its mixing ratio in bag cultivation of L. edodes, Sanjo 701 ho. The suitable substrates for L. edodes bag cultivation were oak sawdust as new material plus deffatted corn flour, and corn husk as an additive at the ratio 8:1:1(v/v), as the result of shorter mycelial growth, higher biological efficient, and a higher yield than any other substrat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suitable substrates for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We investigated the optimal additive materials and its mixing ratio in bag cultivation of L. edodes, Sanjo 701 ho. The suitable substrates for L. edodes bag cultivation were oak sawdust as new material plus deffatted corn flour, and corn husk as an additive at the ratio 8:1:1(v/v), as the result of shorter mycelial growth, higher biological efficient, and a higher yield than any other substrat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리고 본 연구는 2007년부터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와 중국의 요녕성 농업과학원 식용균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이며, 요녕성지역에서 제조되고 있는 혼합배지의 재배안정성 검토와 국내 환경조건에 적합한 표고재배용 혼합배지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제안 방법
산조701호를 시험균주로 하였으며, 접종원 제조를 위해 PDA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온도 25℃에서 10일간 배양 하였다. 종균제조를 위한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미강을 80:20의 부피로 혼합하여 850ml 병에 입병한 후 121℃에서 90분간 고압살균한 다음 접종원을 접종하여 배양한 후 시험용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산조701호를 시험균주로 하였으며, 접종원 제조를 위해 PDA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온도 25℃에서 10일간 배양 하였다. 종균제조를 위한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미강을 80:20의 부피로 혼합하여 850ml 병에 입병한 후 121℃에서 90분간 고압살균한 다음 접종원을 접종하여 배양한 후 시험용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표고버섯의 생육에 적합한 혼합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1996년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에서 개발(농촌진흥청, 2007)된 참나무톱밥+옥수수피(80:20)를 대조로 하여 참나무톱밥+밀기울(80:20), 참나무톱밥+옥수수피+첨가제(78:18:4), 참나무톱밥+밀기울+첨가제(78:18:4)의 3가지 수준으로 배지를 제조하였다. 이 때의 첨가제는 요소+석고+CaCO3+과린산석회+MgSO4(0.
혼합배지에 따른 컬럼내에서의 균사 생장량 조사를 위하여 20mm×200mm 시험관을 이용하여 각각의 혼합배지를 충진하여 고압살균하고 종균 접종 후 25℃ 항온실에서 배양시키면서 7일 간격으로 균사 생장길이를 측정하여 균사 생장량으로 나타내었다.
배양완료 후 버섯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온도를 21℃, 상대습도는 90±5%로 조절하였고, 버섯발생 후 환기는 버섯의 형태를 관찰하면서 적절히 조절하였다.
이때의 갈변실 온도는 21±1℃이었고, 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갈변이 완료되는 시점을 후배양일수로 하였다.
혼합배지별로 전배양이 완료되는 시점을 전배양일수로 조사하였으며, 전배양이 완료된 균주별로 갈변실로 옮겨 갈변을 유도하였다. 이때의 갈변실 온도는 21±1℃이었고, 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갈변이 완료되는 시점을 후배양일수로 하였다.
배양완료 후 버섯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온도를 21℃, 상대습도는 90±5%로 조절하였고, 버섯발생 후 환기는 버섯의 형태를 관찰하면서 적절히 조절하였다. 발이유도 및 생육관리를 실시하면서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일수, 자실체 특성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1차 수확이 끝난 후 22℃에서 10일간 휴양을 시킨 후 침수(24시간)하여 2차 발생을 유도하였으며, 이때의 조건은 1차 발생의 조건과 동일하였다.
대상 데이터
표고버섯 봉지재배용 재료별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재료로 참나무톱밥, 영양원으로 하여 옥피, 옥분 및 밀기울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주재료의 pH는 4.
데이터처리
통계분석
통계처리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을 통한 평균값들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혼합 배지의 화학성과 수량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b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do not differ significantly at p>0.05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이론/모형
배지재료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살균 후 접종하기 전의 시료를 음건하여 두었다가 상토의 표준분석법(농촌진흥청, 2002)에 준하여 총탄소는 회화법으로, 총질소는 단백질 자동분석기를(Buchi B-324)를 이용한 Kjeldal법으로 분석하였고, pH는 시료와 증류수를 1:20(w/v)비율로 혼합하여 1시간 동안 정치한 다음 pH meter(Radiometer사)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조섬유함량은 조섬유분석기(Fibertec 2010 system, Foss com)를 이용하여 건식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
1차 수확이 끝난 후 22℃에서 10일간 휴양을 시킨 후 침수(24시간)하여 2차 발생을 유도하였으며, 이때의 조건은 1차 발생의 조건과 동일하였다. 또한 3차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배지재료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살균 후 접종하기 전의 시료를 음건하여 두었다가 상토의 표준분석법(농촌진흥청, 2002)에 준하여 총탄소는 회화법으로, 총질소는 단백질 자동분석기를(Buchi B-324)를 이용한 Kjeldal법으로 분석하였고, pH는 시료와 증류수를 1:20(w/v)비율로 혼합하여 1시간 동안 정치한 다음 pH meter(Radiometer사)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조섬유함량은 조섬유분석기(Fibertec 2010 system, Foss com)를 이용하여 건식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표고버섯 봉지재배용 재료별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재료로 참나무톱밥, 영양원으로 하여 옥피, 옥분 및 밀기울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주재료의 pH는 4.8이었고, 영양원 중 밀기울의 pH가 6.1로 가장 높았고, C/N은 주재료인 참나무톱밥이 342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은 밀기울이 4.2%로 가장 높았다.
66%로 가장 높아 밀기울첨가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되었다. 조지방은 T2가 1.62%로 가장 높았고, 옥피가 첨가된 T3와 T1배지에서 조섬유 함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구)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Table 4).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 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옥피와 옥분이 각각 10%씩 첨가된 T5처리구가 T1(대조구)과 대등하였다(Table 5). 밀기울이나 첨가제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기간이 지연되고 배양율이 낮았는데 이는 총질소함량이 높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6 및 Fig. 1은 혼합배지 종류별 자실체의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갓크기는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길이 및 대굵기는 밀기울 20%첨가한 T2처리구에서 55mm 및 15mm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컸으며, 갓크기/대길이는 T4에서 1.6으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을 조사한 결과 Table 7 및 Table 8과 같다. 옥피와 옥분을 10%씩 첨가한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처리구 중 가장 많았고, 생물학적 효율(BE)도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상품화율의 경우 T2처리구에서 1주기 70%, 2주기 8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3주기에는 T2 및 T5가 72%로 가장 높았다.
옥피와 옥분을 10%씩 첨가한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처리구 중 가장 많았고, 생물학적 효율(BE)도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상품화율의 경우 T2처리구에서 1주기 70%, 2주기 8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3주기에는 T2 및 T5가 72%로 가장 높았다.
이 등(2008)에 의하면 KFRI 169균주(중온성)에 대한 톱밥 크기 및 첨가제의 혼합 여부에 따른 생산성 비교실험을 한 결과 2kg배지에서 7회 수확한 후 생물학적 효율은 27~66%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1kg배지에 3주기까지의 생산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T5처리구에서 3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선행연구결과의 우수처리구 보다는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는 배지조성, 배지량, 수확주기 등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선발배지의 배지중량에 따른 생산성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Table 9는 혼합배지의 화학성이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로서 pH(r=-0.89) 및 총질소함량(r=-0.80)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총탄소함량, C/N, 조지방, 조섬유의 경우 수량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표고 봉지재배시 참나무톱밥, 옥피와 옥분을 8:1:1비율로 혼합한 배지를 적합배지로 선발하였으며, pH와 총질소함량이 수량에 영향을 주었던 주요인으로 판단되었다.
균사 생장량은 T5에서 배양 35일경에 모두 생장하였으며, 대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후속연구
본 실험에서는 1kg배지에 3주기까지의 생산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T5처리구에서 3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선행연구결과의 우수처리구 보다는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는 배지조성, 배지량, 수확주기 등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선발배지의 배지중량에 따른 생산성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버섯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주요 나라는?
표고버섯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주요 나라는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이며, 중국이 세계 표고버섯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표고버섯 총 생산량 중 톱밥재배 생산량은 2007년에 5%미만이고, 2008년에는 10%미만이었으나, 현재는 15~20%수준이며, 앞으로도 톱밥재배방법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장 등, 2010).
표고버섯 톱밥재배의 장점은?
그러나 최근 표고버섯 생산국가 중 일본은 60, 중국은 95, 대만은 100%를 톱밥재배에 의하여 버섯을 생산하고 있어 우리나라는 톱밥재배 생산 비중이 매우 작은 편이다. 톱밥 재배의 경우 원목재배에 비해 재배기간이 짧고 회수율이 높으며, 적은 노동력이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서 등, 2008). 그러나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표고버섯 톱밥재배방법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일본 및 대만과는 달리 재배 기술에 대한 확립이 미흡한 편이며, 일부 농가에서는 배양이 완료된 배지를 중국에서 수입하여 재배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표고버섯 총 생산량 중, 표고버섯 톱밥재배 생산량이 15~20%밖에 되지 않는 이유는?
톱밥 재배의 경우 원목재배에 비해 재배기간이 짧고 회수율이 높으며, 적은 노동력이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서 등, 2008). 그러나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표고버섯 톱밥재배방법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일본 및 대만과는 달리 재배 기술에 대한 확립이 미흡한 편이며, 일부 농가에서는 배양이 완료된 배지를 중국에서 수입하여 재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한 표고버섯의 톱밥재배 방법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